중국 정부는 지난달 비야디(BYD)ㆍ니오(Nio) 등 9개의 차량업체에 레벨 3·4 자율주행 시범 운행을 승인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자율주행 기술에선 보행자의 안면을 분석해 보행자가 자동차를 인지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라며 '중국 정부는 기업이 얼굴 인식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눈감아주며 기업을 밀어주고 있다'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자율주행 안전성과 관련한 온라인 토론을 제한하며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부정 여론을 통제하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을 두고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중국의 완성차 기업과 테크 기업은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글로벌 자율주행 경쟁에서 한국이 뒤처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나온다. 사진 중앙포토.올해 초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가 보고한 ‘첨단 모빌리티 기술 수준 평가 결과’다. 미국의 기술력을 100으로 봤을 때, 그 뒤를 쫓는 국가들의 기술력을 점수로 표기한 것이다. 중국은 자율주행 으로 대표되는 첨단 모빌리티 기술에서 한국과 일본을 앞지른 상태다.
중국은 이미 세계 최대의 자율주행 시험장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비야디ㆍ니오 등 9개의 차량업체에 레벨 3·4 자율주행 시범 운행을 승인했다. 레벨3은 차량이 운전자 개입을 요청하는 경우 운전자가 운전대를 잡아야 하는 수준이다. 레벨4는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주행하는 수준으로 완전 자율주행 전 단계다. 허용 도시는 우한을 포함해 베이징ㆍ상하이 등 7곳이다.바이두는 3년 전 베이징에서 자율주행 로보택시 상업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로보택시들이 잇따른 인명 사고로 주춤한 상태지만 중국은 아랑곳 하지 않는다.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지난 4월 출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첸쿤ADS 3.0’은 지금도 매일 1000만㎞ 이상 가상 주행을 하며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중국은 해외 기업에도 시험장을 내주고 있다. 지난달 테슬라에 ‘완전 자율주행’ 시범 운행을 승인하며 시장에 ‘테슬라 메기’를 풀었다.
게다가 중국은 개인정보 수집과 활용에서 제약이 거의 없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자율주행 기술에선 보행자의 안면을 분석해 보행자가 자동차를 인지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라며 “중국 정부는 기업이 얼굴 인식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눈감아주며 기업을 밀어주고 있다”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자율주행 안전성과 관련한 온라인 토론을 제한하며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부정 여론을 통제하고 있다.중국 기술 기업들은 정부의 보호막 아래 기술과 시장을 동시에 키우고 있다. BYD 왕촨푸 회장은 지난 1월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1000억 위안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리자동차는 지난 2월 자율주행차 내비게이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11개의 저궤도 위성을 쏘아 올렸다. 게다가 각 지방 정부들도 경쟁적으로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전기차처럼…中 속도전에 밀리는 韓 이런 중국의 자율주행 속도전에 한국은 다시 밀리고 있다. 자율주행차가 도로 운행을 통해 데이터를 쌓기부터 어렵다. 자율주행 시험 운행 중 보행자의 데이터를 어떻게 익명 처리할지에 대한 규정도 아직 마련돼 있지 않다. 전국 17개 시도 34곳이 자율주행 실증구역으로 지정돼 있지만, 이같은 기본적인 규제가 정리돼 있지 않다 보니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적이다. 주행 데이터 규모도 아직 턱없이 작다. 국내 자율주행 누적 운행 거리 1위 기업인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운행 데이터는 약 40만㎞. 중국은 이미 지난해 9월 7000만㎞의 자율주행 데이터를 쌓으며 미국과 동등한 수준에 이르렀다.이런 와중에 중국에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이 슬금슬금 유출되는 일도 일어나고 있다. 지난 5월 대법원은 자율주행 연구 자료를 중국에 유출한 한국과학기술원 소속 이모 교수에게 징역 2년을 선고했다.
국내 모빌리티 업계는 자율주행 기술 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지원 법규부터 마련해야한다고 입을 모은다. 만약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 규정된 안전 조치를 다 갖췄다면 면책 받을 수 있는 규정 등 신기술 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황면중 서울시립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실험실 주행 데이터가 아니라 공공도로에서의 주행 데이터”라며 “제도와 투자 이전에 ‘자율주행이 우리에게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자율주행 테슬라 글로벌 자율주행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자율주행 기술 더차이나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반도체∙AI∙OLED 전방위 역습…中 첨단기술 연구, 美 제쳤다 [차이나테크의 역습]7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중국 첨단기술 학계의 연구 수준은 이미 미국을 넘어섰다. 연구기관 중 네이처 인덱스 세계 1위를 차지한 중국과학원 등 10위권 내 7곳이 중국의 대학부설 및 정부 연구소들이었다. 대외경제정책원 오종혁 연구위원은 '한국 상황에 필요한 지원을 제때 속도감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며 '정부가 기술 개발의 큰 그림을 그리는 건 중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 추세'라고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가 막아도 첨단기술 다 키웠다...생성AI 특허 中 1위 [차이나테크의 역습]틱톡으로 미국 소셜미디어(SNS) 시장을 이미 위협하고 있는 중국이 이번엔 생성 AI 기술의 최고봉인 동영상 분야에서 위협적인 기술을 들고 나온 것이다. 최근 패키징이 첨단 반도체 제조를 위한 핵심 기술로 떠오르면서 관련 투자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중 패키징 기술 격차도 좁혀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2일 대만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통푸 마이크로·JCET 같은 중국의 칩 패키징 및 테스트 기업들은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SMIC와 함께 첨단 패키징 기술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강인의 결승골에 눈물 흘린 중국, 벼랑끝에서 살아남다[2026 FIFA 월드컵 아시아지역 2차 예선 C조] 한국 1-0 중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강인 결승골' 한국, 중국 제치고 3차 예선 톱시드 확보[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6차전] 한국 1-0 중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해외로 가는 제조업체들... 세계적 한국기업의 뼈아픈 지적[오기출의 기후 리터러시] 녹색무역장벽 세운 미국과 중국, 비전 절실한 한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플라스틱 국제협약 마지막 개최국 한국 '실현 가능한 절충안 만들 것'22대 국회 기후정치인, 플라스틱 국제협약서 한국 리더십 발휘 강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