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파리올림픽조직위원회는 ‘저탄소 올림픽’을 강조하고 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곳곳에서 확인된다. 선수촌에 에어컨을 설치하지 않은 것은 대표적이다. 선수촌에 머무는 한국 관계자는 “실제 습도가 낮기 때문에 밤에 덮지 않다”고 말한다. 일부에서는 파
2024 파리올림픽이 열리는 파리에서 100년 이상 운행되는 메트로 지하철 1호선의 내부. 좌석은 크지 않고 배치도 다양하다. 한 여름이라 유리창 위쪽의 창문을 열어놓고 다니는 게 예사인데, 미세먼지가 들어와도 마스크를 낀 사람은 거의 없다. 몹시 더워서 부채를 부치는 사람들이 많은데, 에어컨 냉방이 되는 한국과 차이가 크게 났다. 부채에만 의존한 채 무던하게 참는 파리 시민들을 보면 우리가 너무 더위에 민감하게 반응해 에너지를 과잉 소비하지 않는가를 생각해본다.
2024 파리올림픽 기간에 대회조직위원회는 기자들에게 병에 든 먹는샘물을 공급하지 않는다. 호텔에서 첫날 받은 생수병을 일주일 내내 쓰면서, 병이 많이 찌그러져 있다. 한번 먹고 버리던 생활에 익숙했던 기자는 파리에서 페트병이 닳고 닳도록 쓰면서, 자원을 아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2024 파리올림픽 메인 미디어센터는 파리 중심의 콩그레 드 팔레에 자리 잡고 있다. 기자들의 책상 위에는 전원을 꽂을 수 있는 콘센트가 전부다. 설치된 텔레비전 화면도 크지 않다. 전원만 있으면 기자들은 불평할 것이 없지만, 텔레비전이 너무 작은 것은 아쉽다. 파리올림픽조직위원회는 대형보다는 소형, 외형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두는 것 같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여행 경비’도 없었던 한국 스포츠, 이제는 K문화 메신저로 [봉주르 프리주]‘변방에서 중심으로.’ 25일(현지시각) 파리 중심가 ‘메종 드 라 시미’에 문을 연 코리아 하우스 개관식을 지켜보면서 든 느낌이다. 두 개 건물의 고풍스러운 외관도 차분하지만, 내부의 전시공간은 한국이 자랑할 수 있는 문화 소품들도 꽉 찼다. 1층에 마련된 전통, 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르포] 찜통더위 지친 시민들…계룡산 계곡 '북적북적'(공주=연합뉴스) 이주형 기자='너무 덥고 습하니까 에어컨 바람도 꿉꿉하고, 퇴근하자마자 못 참고 계곡으로 달려왔어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림픽] 펜싱 김창곤 심판위원 '모든 선수가 연습의 공정한 대가 얻도록'(파리=연합뉴스) 최송아 기자=26일(현지시간) 막을 올리는 2024 파리 올림픽 펜싱 경기에는 '태극 검객'들 외에 심판 업무를 총괄하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림픽] 수영 경영과 스피드 클라이밍, 선수가 시간 멈추는 '유이' 종목(파리=연합뉴스) 홍규빈 기자=수영 경영과 스포츠클라이밍 스피드는 언뜻 보면 아무런 공통점이 없어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메달 김우민 “마지막 50m 사지가 타들어 가는 것 같았다”남자 자유형 400m 3분 42초 50 세계선수권 金때 보다 0.21초 빨라 韓수영 두번째 올림픽 메달리스트 지옥 훈련 떠올리며 눈물 쏟아내 “그동안 준비과정 너무 힘들었다 동메달로 모든 것 보상받은 느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엄마, 나 최초 메달 먹었어”…‘발복싱’ 임애지, 금펀치를 부탁해韓 여자복싱 최초 올림픽 메달 체육인 부모 둔 ‘운동 금수저’ 너무 무서웠지만 전략 통해 한국 복싱 메달은 12년 만 결승서 남북대결 가능성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