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다퉈 대출 이자 내리는 시중은행들…'정치권 눈치도' SBS뉴스
20개 은행이 지난해 이자로만 사상 최대인 46조 원을 벌었고, 이것저것 다 제하고 남은 순이익도 17조 원에 육박했습니다.[서지용/상명대 경영학과 교수 : 공급자 위주의 시장으로 전환되면서 은행들이 마음먹고 금리를 올리게 되는 경향들이 사실 대출 금리 상승의 요인이 됐던 거고.]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이 3%대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을 팔기 시작했고, KB국민은행도 내일부터 각종 대출 이자를 최대 0.55%포인트까지 낮추기로 했습니다.[김득의/금융정의연대 대표 : 마이너스통장·신용대출 이걸 이제 늘려서라도 고객을 유치하겠다는 게 은행의 입장이거든요. 대출자 수가 줄어들다 보니까 수입원이 줄 수밖에 없기 때문에.]윤석열 당선인이"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의 과도한 격차를 해소하겠다"고 공약했고, 인수위도 여기 맞춰서 예대금리차를 매달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김정우 기자와 이 문제 더 짚어보겠습니다.
승진이나 취업 등을 해서 내 신용 상태가 나아지면 내가 내는 이자를 좀 낮춰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인데, 최근 10명 중에 3명 정도만 받아들여지고 있고 이마저도 점점 줄어드는 추세여서 기존에 대출을 받은 소비자들에게는 큰 효과가 없습니다.][김정우 기자 : 그렇습니다. 지금 은행들은 예금 이자와 대출 금리의 차이, 그러니까 예대금리차를 세 달에 한 번 공개합니다. 그리고 대출 금리같은 경우에는 코픽스라는 공개된 기준금리에 각 은행이 정한 내부 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정하거든요. 이 내부 금리를 가산금리라고 하는데 가산금리는 어떻게 구하는지 그 방식이 지금 공개돼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 보니까 대출을 받는 사람들이 많으면 이자를 더 받고 줄어들면 덜 받는 것 아니냐, 이렇게 마음대로 하는 것 아니냐라는 비판이 있어 왔거든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덕수 총리 후보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은 문제…부작용 많아”'최저임금을 너무 급속도로 2∼3년 가까이 두 자릿수로 올리다 보니 부작용이 많아졌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현 정부의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의 부작용이 크다고 비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동권 ‘100분 토론’ 앞둔 박경석 “21년간 외면…이번엔 물러서지 않겠다”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 이를 공격해온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조만간 얼굴을 맞대고 토론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장연이 이 대표에게 ‘조건없는’ 100분 토론을 제안하고, 이 대표가 ‘전장연이 상당 기간 시위를 중단하면 만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들은 왜 릴레이 삭발 투쟁에 나섰나[그래?픽!]지난 2001년 1월부터 목소리를 꾸준히 내오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휠체어 리프트 추락 사고가 이어졌고 장애인권리예산이 현실적으로 마련 되지 않는 등 후속 조치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뒤따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철수 “항체양성률 조사, 거리두기 완화, 소상공인 대출 연기...모두 성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규제 풀겠다' 은행 대출 열렸지만…'뛰는 금리에 불안'은행들이 새로 대출받는 사람에겐 금리를 깎아주고, 기존 대출자의 금리는 계속 올리고 있습니다. 인수위가 규제를 풀겠다고 하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