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차 영양사도 이건 꼭 먹는다…한겨울 건강 지키는 이 채소 [쿠킹]

Cooking푸드 뉴스

20년차 영양사도 이건 꼭 먹는다…한겨울 건강 지키는 이 채소 [쿠킹]
시금치나를바꾸는음식영양학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72 sec. here
  • 14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70%
  • Publisher: 53%

영양사 경력 20년이 넘는 전문가도 이런 악순환에서 빠지며 염증 수치는 제자리로, 체중은 20㎏ 감량한 정성희 소장은 아픈 후에야 음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체감했다고 하죠. 스스로 임상 실험하며 어떤 음식을 어떻게 먹었는지, COOKING〈나를 바꾸는 음식〉에서 확인해보세요. 나를 바꾸는 음식 ⑦ 시금치 ‘피로’ ‘무기력’ 그리고 ‘소화불량’.

자잘하게 아픈 게 일상일 때, 또는 크게 아픈 후 컨디션이 예전 같지 않을 때. 이때의 문제는 무엇을 어디서부터 바꿔야 하는지 감조차 잡히지 않는다는 거죠. 영양사 경력 20년이 넘는 전문가도 이런 악순환에서 빠지며 염증 수치는 제자리로, 체중은 20㎏ 감량한 정성희 소장은 아픈 후에야 음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체감했다고 하죠. 건강관리에 진심인 영양사가 ‘애정’하는 식재료는 어떤 것들일까요. ‘밝은영양클래식연구소’의 정성희 소장이 치열하게 겪은 경험담입니다. 스스로 임상 실험하며 어떤 음식을 어떻게 먹었는지, COOKING〈나를 바꾸는 음식〉에서 확인해보세요.‘피로’ ‘무기력’ 그리고 ‘소화불량’. ‘간이 좋지 않을 때’를 검색하면 나오는 증상들이다. 그런데, 피로하고 무기력하다는 것을 글로 이해하는 것과 이 증상을 몸소 체험했을 때의 느낌은 참 달랐다. 평소의 내 텐션이 아니구나, 하는 이 불편한 느낌을 대체 어떻게 해야 잘 설명할 수 있을까.

특히 컨디션이 저하되고 의기소침해지는 시기가 겨울이었다. 일단 날씨가 추우면 몸이 더 고단했다. 낮이 짧고 밤이 긴 겨울의 특징도, 연말과 연초에 불현듯 찾아오는 복잡한 감정의 변화도 한몫했을 거라고 본다. 여기에 미세먼지까지 입혀진 무거운 공기의 압력이 나를 누르기라도 하면 무기력함과 피로함은 배가 됐다. 나는 의기소침한 일상을 잘 받아들이지 못했다. 아니, 받아들일 수 없었다. 원래의 활력과 텐션을 되찾기 위해, 또 몸의 장기 중에 가장 취약했던 ‘간의 회복’을 위해 녹색 채소를 찾아 먹기로 했다. 당시 심사숙고하며 고른 재료가 바로 ‘시금치’다. 그렇게 나는 겨울마다, 의기소침할 때마다 시금치를 항상 곁에 두고 먹었다.인도의 전통의학 체계인 아유르베다에서는 “시금치의 쓴맛과 차가운 성질이 소화를 돕고 간을 정화해, 해독과 항염증의 효능이 있다”고 설명한다. 또 “시금치의 가벼운 성질이 혈액 순환을 돕고 신체의 소화 흐름을 촉진하며, 몸과 마음에 경쾌함을 준다”라고도 말한다.

앞서 말했듯, 아유르베다에서는 시금치의 성질이 가볍다고 정의한다. 반면, 아유르베다에서 말하는 나의 체질은 ‘무거워지기 쉽고 잘 쌓는 체질’이다. ‘살이 찌기 쉬운 체질’이란 뜻인데, 이런 내게 시금치의 가벼운 성질은 몸의 균형점을 찾는 여정에 많은 도움을 줬다.시금치를 섭취할 때 자주 활용한 메뉴는 스무디다. 시금치·아보카도·레몬 등을 넣고 만든 ‘그린 스무디’인데, 생으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고 재료를 잘게 부수어 먹기 때문에 소화도 잘된다. 주의할 점도 있다. 시금치를 생으로 먹을 때는 결석 등의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꼭 레몬즙과 함께 먹어야 한다는 점이다.그린 스무디와 함께 즐겨 먹던 조합은 지방이 적은 부위로 만드는 소고기구이다. 이 두 가지 조합만으로 단백질과 비타민·미네랄을 한 번에 채울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실제로 이 식단으로 3주 정도 관리하자 컨디션과 체력이 향상되는 것을 체험했다.

가볍고 차가운 성질을 가진 시금치는 따뜻하게 데워서 기름과 함께 섭취하면 소화가 잘되는 것은 물론이고 영양소 흡수에도 더 좋다. 시금치와 버섯·양파를 올리브유에 볶다가 달걀물을 부어 만든 시금치오믈렛은 아침 식사로 자주 애용하던 메뉴다. 조금 색다른 맛을 원할 때는 시금치에 생강·캐슈넛을 넣고 볶거나, 시금치·바질·올리브유·견과·마늘·레몬즙을 넣은 시금치 페스토를 만들어 통밀빵에 발라 먹기도 했다. 시금치를 곁에 두고 먹은 지 몇 번의 겨울이 지나고 나니, 차갑고 척박했던 몸과 마음에도 어느새 초록의 싱그러움이 차오르기 시작하는 느낌이 들었다. 신기하게도 체력이 좋아지면 마음의 의기소침함도 옅어진다. 한겨울 차가운 땅에서도 진한 초록색 잎을 피우는 시금치가 내게 따뜻한 에너지를 전달해준 게 분명하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시금치 나를바꾸는음식 영양학 시금치영양 시금치스무디 시금치요리 건강식재료 건강식단 피로해소 겨울식재료 겨울제철식재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기름진 명절 음식 뒤 ‘애사비’ 한 잔…주의할 점은?기름진 명절 음식 뒤 ‘애사비’ 한 잔…주의할 점은?홈쇼핑 채널과 소셜미디어 공구(공동구매)를 지배했던 화제의 건강 음료 ‘애사비(애플 사이다 비니거)’가 꼭 필요한 시점은 바로 지금일지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안한 정국 속 몸과 마음 건강 지키는 방법불안한 정국 속 몸과 마음 건강 지키는 방법12·3 비상계엄과 무안 제주항공 참사로 국민들이 깊은 상처를 받았다. 정치적 불안 속에서 대형 인명사고가 겹치면서 트라우마가 심각해질 수 있다. 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김관욱 교수는 특정 정치적 사건들이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한 고민과 대처법에 대해 제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커버그의 쓴소리 “애플, 20년동안 아이폰만 깔고 앉아 있다”저커버그의 쓴소리 “애플, 20년동안 아이폰만 깔고 앉아 있다”“그들(애플)은 얼마간 아무런 대단한 것을 발명하지 못했습니다. 이건 마치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발명했고, 애플은 20년 뒤에도 그냥 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로 헹궈서까지 먹는다…이 나라에 한강라면 뒀더니 일어난 일물로 헹궈서까지 먹는다…이 나라에 한강라면 뒀더니 일어난 일CU 관계자는 '한국의 ‘한강 라면’ 문화를 전파하기 위해 라면 조리기를 도입했다'라며 '기존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컵라면 형태로 라면을 즐기는 게 일반적이었는데, 즉석 조리기 도입 이후부턴 끓여 먹는 라면 문화가 빠르게 퍼지는 중'이라고 전했다. 카자흐스탄 CU 편의점에서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상품이 라면에 넣어 먹는 멜트 치즈 슬라이스(2위)와 라면 그릇인 일회용 호일 용기 2종(각 5, 7위) 등 즉석 라면 관련 상품일 정도다. 지난해 이 3개국 편의점의 라면 매출 순위를 봤더니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라면 1~10위에는 불닭볶음면 시리즈 4개가 포함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공식 천만영화, '이 영화가 꼭 필요한 이유'비공식 천만영화, '이 영화가 꼭 필요한 이유'2006년 개봉한 영화 '이 영화', 극장 개봉 당시는 큰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2차 판권 시장을 통해 남성,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영화에는 사람이 죄를 지었으면 벌을 받는 것이 세상의 이치라는 노래, 폭력 배역, 사극 장면 등이 담겨 있다. 특히, '이 영화'는 전직 깡패 오태식이 개과천선하고 주변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고통을 감내하는 이야기를 통해 희망과 가망을 보여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위 악!' 해군 SSU 심해잠수사들, 한겨울 바다서 혹한기 훈련(종합)'추위 악!' 해군 SSU 심해잠수사들, 한겨울 바다서 혹한기 훈련(종합)(서울·창원=연합뉴스) 김지헌 김동민 기자=해군의 심해잠수사들이 한겨울 바다로 뛰어들며 혹한기 훈련에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09:4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