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직구 쇼핑몰 사기 급증”…10건 중 7건은 인스타·유튜브 연결

소비자원 “직구 쇼핑몰 사기 급증”…10건 중 7건은 인스타·유튜브 연결 뉴스

소비자원 “직구 쇼핑몰 사기 급증”…10건 중 7건은 인스타·유튜브 연결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0%
  • Publisher: 51%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등을 통해 해외직구 쇼핑몰에 접속했다가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

1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1∼2023년 국제거래소비자포털에 접수된 해외직구 사기성 쇼핑몰 상담 건수는 모두 2064건으로 집계됐다. 연간으로는 2021년 251건, 2022년 441건, 2023년 1372건 등 매년 가파른 증가세다.

관련 상담 2064건 중 접속 경로가 확인된 1821건을 살펴보면, 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톡·카페·트위터·틱톡 등 소셜미디어를 통한 접속이 1499건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 중에서도 인스타그램이 762건으로 가장 많았고, 유튜브가 460건으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페이스북 137건, 인터넷 광고 192건, 웹서핑과 검색 94건, 지인 추천 등 기타 36건 순이다.또 판매자가 광고와 달리 저품질 제품을 판매한 경우는 959건에 달했다. 해당 쇼핑몰들은 저품질 제품의 환불을 거부하고 소비자에게 구매대금의 일부 환급만 제안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 외에 유명인을 사칭해 관련 없는 제품을 판매한 사례가 43건, 성분 및 제조사가 불분명한 식품·의약품을 판매한 경우가 31건이다.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는 콘텐츠와 광고를 게시할 때 준수해야 할 자율규제 규정이 있고, 이용자들이 불법·유해 콘텐츠 등을 직접 신고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원이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해본 결과, 422명은 자율규제의 존재를, 597명은 신고 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각각 알지 못했다. 소비자원은 메타와 구글에 불법·유해 콘텐츠와 광고 차단을 위한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불법 사기 쇼핑몰의 주소를 추려 방통위 등과 협력해 접속 차단을 추진한다. 아울러 해외직구 시 유명 브랜드 상품을 지나치게 싸게 판매하는 소셜미디어 광고를 일단 의심하고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해 인터넷 주소 비교, 구매 후기도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해외직구 사기, 소셜미디어 광고로 접속 82.3%...해외직구 사기, 소셜미디어 광고로 접속 82.3%...소셜미디어 광고를 통해 접속한 해외직구 사기 쇼핑몰 피해자가 대다수. 한국소비자원은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이용자에 대한 자율규제 규정 및 신고 기능 알리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계 독버섯처럼 번지는 사기꾼들”...SNS 확산의 그림자 [★★글로벌]“전세계 독버섯처럼 번지는 사기꾼들”...SNS 확산의 그림자 [★★글로벌]日 SNS 관련 사기 피해 2.2배 급증 美피해액 45억弗...英·호주도 피해액 눈덩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세로 계약할게요”...지난해 임대계약 10건 중 6건은 월세 왜?“월세로 계약할게요”...지난해 임대계약 10건 중 6건은 월세 왜?지난해 아파트를 비롯해 연립과 다세대 등 주택 월세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금리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31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계약 총 247만6870건 중 월세 계약은 142만8950건으로 전체 계약의 57.7%를 차지했다. 이는 대법원에 확정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해외직구 쇼핑몰, 소셜미디어 광고에 숨겨진 사기해외직구 쇼핑몰, 소셜미디어 광고에 숨겨진 사기한국소비자원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제거래소비자포털에 접수된 해외직구 사기성 쇼핑몰 상담 건수는 총 2064건으로, 연도별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를 통해 접속한 쇼핑몰에서 피해를 본 사례가 전체의 67.1%를 차지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튜브·페북·X, 허위·혐오 콘텐츠 146건 신고했는데 삭제 조치는 1건뿐유튜브·페북·X, 허위·혐오 콘텐츠 146건 신고했는데 삭제 조치는 1건뿐유튜브, 페이스북, X(트위터) 등에서 퍼지고 있는 허위·조작정보나 혐오·폭력 조장 게시물을 해당 플랫폼에 따라 신고해 봤더니 삭제나 후속...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사기 범죄, 역대 최다 '43만 건' 기록...경기 불황 속 '솜방망이' 양형 논란작년 사기 범죄, 역대 최다 '43만 건' 기록...경기 불황 속 '솜방망이' 양형 논란사기 범죄 발생 건수가 지난해 42만9949건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하며 전문가들은 경기 불황과 온라인 플랫폼 발달 등이 사기 범죄 증가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2023년 4분기 사기 범죄가 처음으로 11만 건을 넘어서는 등 최근 사기 범죄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5 02:2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