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서울에서 8억~12억원 사이 아파트 매매가 가장 활발한 곳은 성북구와 영등포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중앙일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 1년(2023년 3월 5일~24년 3월 5일 기준)간 서울에서 실거래 신고된 아파트 5만7430건 중 8억~12억 아파트 매매 비중은 27.9%(1만6030건)였다. 같은 기간 영등포구(1242건)와 강동구(1165건), 동작구(1138건), 성동구(1053건)도 상대적으로 이 가격대 아파트 거래가 많았다.
최근 1년간 서울에서 8억~12억원 사이 아파트 매매가 가장 활발한 곳은 성북구와 영등포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권 에선 이 가격대 소형 거래 비율이 높았다.
7일 중앙일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 1년간 서울에서 실거래 신고된 아파트 5만7430건 중 8억~12억 아파트 매매 비중은 27.9%였다. 2월 기준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9억8750만원이다. 통상 8억~12억원대 아파트는 서울 근로자 평균소득 수준의 맞벌이 부부가 금융권 대출을 한도까지 받아 살 수 있는 수준으로 통한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이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구매한 가구의 평균소득은 8000만원 안팎이었고, 이들은 9억~10억 아파트를 많이 구매했다.25개 자치구 중 중간 가격대 아파트 매매가 가장 많은 곳은 성북구였다. 특히 장위뉴타운에 있는 래미안장위퍼스트하이, 래미안포레카운티, 꿈의숲아이파크 등이 거래가 활발했다. 래미안장위퍼스트하이 84㎡형 최근 매매가는 11억원 안팎이다. 장위동 인근 A공인중개사 관계자는 “5년 갓 넘은 신축 대단지인 데다, 가격도 상향 추세여서 30~40대 실수요자가 많이 찾는 곳”이라고 설명했다.중간 가격대 아파트 거래 중 2020년 이후 준공된 신축 비중은 11.6%였다. 특히 소형으로 분류되는 59㎡ 이하 거래 중 16.8%는 5년 미만 아파트였다.
특히 강남 3구와 마용성은 이 가격대 전체 거래 중소형 매매 비율이 높았다. 강남구의 경우 이 가격대 매매 338건 중 82%가 59㎡ 이하였다.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까치마을 아파트, 개포동에 있는 성원대치2단지 등 재건축 또는 리모델링 기대감이 큰 곳의 거래가 눈에 띈다. 용산구와 광진구, 서초구, 송파구 등도 소형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이 지역 집값이 상대적으로 비싼 영향이 크지만 좁더라도 강남권이나 한강 벨트에서 살고 싶은 1~2인 가구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김태윤 기자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23년 주택 거래, 아파트 비율 역대 최고치 기록2023년 주택 매매 거래에서 아파트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주택 시장 변화를 보여준다. 역전세와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 등 비아파트 시장이 쪼그라들면서 아파트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MZ세대 “정년 연장 해주세요”…희망 연장연령은 65세가 최다행정연구원, ‘정년 연장에 대한 공공·민간조직 세대별 인식 차이’ 전체 57% 정년연장 찬성…민간이 공공보다 찬성비율 높아 민간 MZ세대가 정년연장 59% 찬성…기성세대보다 찬성 비율 높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보수·중도·진보까지…상속세 최고세율 ‘50%→40% 인하’ 목소리 높았다한국갤럽 여론조사 절반 이상 ‘지금보다 낮아야’ 유산취득세 도입 여론도 높아 부자 기준 응답엔 ‘평균 33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구, '억' 뚫는 할인 분양도...아파트 미분양 적체, 지역 경제 침체대구에서 아파트 미분양 적체가 심각해지면서 건설사 재무 위협, 부도 증가, 서민 일자리 감소 등 지역 경제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최고 47층, 258가구 규모의 '빌리브 루센트' 아파트 등 대구역 초역세권의 주요 아파트 단지들은 2022년 최초 청약 이후 약 3년이 되도록 미분양을 다 털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최대 20% 할인 분양을 진행해도 국민평형인 전용 84㎡만 겨우 완판한 상황이며, 길 건너 있는 대구역자이 더스타(424가구)도 미분양으로 곤경에 처해 있습니다. 이러한 미분양 현상은 옆 공사 중단 현장까지 발생하게 되었으며, 공인중개소도 하나둘씩 문을 닫는 상황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얼죽신' '얼죽재' 다 있다…서울 아파트 매매 52% 폭증한 이곳올해 1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3000건을 넘어섰다. 영등포구는 부동산 비수기에도 신축·구축 아파트가 고루 매매되며 서울에서 가장 높은 거래 증가율을 보였다. 21일 중앙일보가 서울부동산광장을 분석한 결과, 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2월 21일 실거래 신고 기준)은 3040건으로 전년 같은 달(2687건)보다 13.1% 증가했다. - 영등포구,영등포구 증가율,아파트 거래,서울 아파트,부동산 시장,토허제,아파트값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빌라‧단독 안 팔리는 이유 있었네...아파트 거래 비중 77% 역대 최고아파트 선호 현상이 심화하며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6년부터 2019년까지 사고 팔린 주택 중 아파트 거래 비중은 62.2~72.6% 사이를 오갔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 대비 19.5% 늘었고, 비아파트는 5.1% 증가에 그치면서 아파트 거래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 아파트,편식,비아파트 거래량,아파트 편식,아파트 선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