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된 주요 원인으로 문재인 정부 시절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의 인상 요인이 발생했는데도 서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요금을 인위적으로 묶어둔 게 지목된다. 감사원은 지난해 10월 ‘공공기관 재무건전성 및 경영관리 실태’ 감사보고서를 통해 '2021년 이후 에너지 가격 상승 국면에서 전기·가스요금 조정이 지연됨에 따라 공기업이 전기·가스를 공급하고서도 이에 소요된 연료비 등 원가를 회수하지 못 한 데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공공요금과 밀접한 5대 인프라 공기업의 총 부채 규모가 320조원을 돌파했다. 정부가 장기간 공공요금 인상을 막으며 ‘밑지는 장사’를 하게 해서다.
두 공기업은 빚 돌려막기를 하게 된 모양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지난 5월1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계에 봉착했다”고 호소했다. 엿새 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도 기자들을 만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고 했다.이렇게 된 주요 원인으로 문재인 정부 시절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의 인상 요인이 발생했는데도 서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요금을 인위적으로 묶어둔 게 지목된다. 감사원은 지난해 10월 ‘공공기관 재무건전성 및 경영관리 실태’ 감사보고서를 통해 “2021년 이후 에너지 가격 상승 국면에서 전기·가스요금 조정이 지연됨에 따라 공기업이 전기·가스를 공급하고서도 이에 소요된 연료비 등 원가를 회수하지 못 한 데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김미루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필요한 공공요금 인상을 미루면 현재 세대가 감당해야 할 부담을 미래 세대에 떠넘기는 셈인 게 큰 문제”라며 “적정 수준보다 싼 요금에 따라 전기·가스를 과소비하게 하는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기의 경우 한국의 전력소비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4위로 높다.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저렴한 전기요금 때문으로 풀이된다.현 정부도 비판의 화살을 피하기 어렵다. 전기·가스 요금 인상만 신경쓰고 나머지 고속도로·철도·상수도 요금은 사실상 외면하고 있어서다. 3가지 요금에 대해 문 정부는 물론 윤 정부 들어서도 인상 필요성을 회피하며 미래 세대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를 키우고 있다는 이야기다.
한국가스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수자원공사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입이 쩍 벌어진다”…한전·LH·코레일 등 다 합치면 빚이 700조기재부,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 한전·LH·코레일 등 14곳 57조 고강도 재무개선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담금만 4억5천만원…'재건축 못하겠다'서울 31곳 등 전국 68곳 대상재초환 부담금 예상단지 분석대전 등 지방도 1억 이상 속출지자체서도 검증 요청 쏟아져김은혜 의원 '폐지 서둘러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재건축 들떴더니 4억5000만원 내라고?...억소리 부담금에 조합원들 포기서울 31곳 등 전국 68곳 대상 재초환 부담금 예상단지 분석 대전 등 지방도 1억 이상 속출 지자체서도 검증 요청 쏟아져 김은혜 의원 “폐지 서둘러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터미널 개발·신축 공급·GTX…중랑구 들썩상봉터미널 복합개발 착공 임박2029년 '직주락 랜드마크' 탄생주택개발사업 27곳 서울 최다상봉역, GTX 등 복합환승지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눈덩이 부채 시달리는 한전 두달새 채권 4조6천억 발행하반기 만기 물량 10.3조원안덕근'전기료 4분기 인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택 공급대책 ‘구원투수’ LH…향후 4년간 부채 62조 는다정부가 35개 주요 공공기관의 재무관리에 고삐를 바짝 조인 가운데, 주택 공급대책의 ‘구원투수’로 나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부채비율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4~2028년 공공기관 중장기재무관리계획’을 보면, 중장기 재무관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