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대 자연계열 정시 모집의 합격점수가 처음으로 고려대·성균관대보다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대 자연계열 정시 모집의 합격점수가 처음으로 고려대·성균관대보다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쏠림’으로 인해 높은 점수를 받고 타 대학 의대로 지원한 학생들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일 종로학원이 2023학년도 정시모집 자연계열 합격생의 국어·수학·탐구영역 백분위 평균 70% 합격점수를 비교한 결과, 서울대가 고려대와 성균관대보다 각각 0.8점, 0.2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의 자연계열 정시 합격선이 고려대와 성균관대보다 뒤처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세대는 백분위 점수가 아닌 자체 환산점수를 발표해 비교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의약학계열을 제외한 순수 자연계열의 정시 합격선도 서울대가 고려대보다 낮았다. 서울대 의대의 합격점수는 2022학년도 99.2점에서 2023학년도 99.3점으로 상승했다. 치의학과와 수의대의 합격점수도 각각 2.0점, 0.5점 상승했다. 반면 순수 자연계열의 합격점수는 95.0점에서 93.9점으로 하락했다.
최근 심화하고 있는 ‘의대쏠림’ 현상이 자연계열 합격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대의 순수 자연계열 학과에 지원하는 대신 같은 점수로 타 대학 의학계열에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대 쏠림’은 서울대뿐만 아니라 나머지 대학의 정시 합격선 변화에서도 확인됐다. 고려대 의대의 합격선은 2022학년도보다 1.4점 상승했으나, 순수 자연계열은 1.1점 상승했다. 성균관대도 의예과와 약학과의 합격선이 전년 대비 각각 0.4점, 0.9점 올랐으나 순수 자연계열 학과는 0.2점 상승하는 데 그쳤다.지난해 서울대가 처음으로 정시에 학교 내신을 반영한 영향도 배제하지 못한다. 서울대는 2023학년도 정시모집부터 ‘수능 100%’로 평가하지 않고 ‘교과 평가’를 도입했다. 1단계에서 수능 점수만으로 2배수를 선발한 후, 2단계에서 ‘수능 80점+교과 평가 20점’으로 평가하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정시모집에서도 내신 성적과 학생부 내용 등 정성적인 요소가 반영됐다. 그러나 임성호 대표는 “인문계열에서 합격선 변동은 없었기 때문에 학교 내신을 반영한 영향으로 해석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조민 학생부' 공표 주광덕 고발 교사 '검찰을 압수수색하라'검찰 해당 사건 제대로 수사 않고 불기소..."조민과 한동훈 개인정보, 왜 다르게 취급하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컨텍스트 레터] '전쟁나면 꼼짝 없이 죽겠구나 싶었다'늦었을 뿐만 아니라 메시지도 모호... "왜"도 "어떻게"도 없는 문자, 일본은 달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정은이 직접 챙겼는데... 北 '천리마 로켓' 왜 실패했나북한은 지난해부터 올해 4월을 목표로 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했는데, 당초 일정보다 한 달 늦게 쐈는데도 체면을 구겼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제해산 당한 비정규직의 눈물 '민주노총 왜 가입했냐 물으신다면'강제해산 당한 비정규직의 눈물 '민주노총 왜 가입했냐 물으신다면' 집회자유 윤희근 윤석열 자유 비정규직 조혜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남시의회 박진희 부의장 '시민께 진심으로 죄송', 왜?하남시의회 박진희 부의장 '시민께 진심으로 죄송', 왜? 하남시의회 하남시 박진희 의회사무국 박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부터 시공하는 아파트 사지말라'는 건설노동자, 왜?[현장] 국회 토론회 "건설노조 사라지면 시민이 피해"... 전문가들 "경찰, 노조 너무 몰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