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여시간 미안내·고장·장애물로 인해 유명무실한 신호등 음향신호기
신호등 앞에서 이같은 소리를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신호등의 음향신호기다. 이 신호기는 시각장애인의 신호등 보행에 도움을 주는 필수 장치다. 그런데 이 음향신호기를 시각장애인들은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을까?그러나 신호등 녹색불이 유지되는 잔여시간은 음성으로 나오지 않는다. 비장애인들은 잔여시간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지만, 시각장애인들은 그렇지 않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신호기인데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권'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음향신호기가 고장난 경우가 있고, 음향신호기 앞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 또한 문제다.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서 살고 있는 중증 시각장애인 김필우씨는"신호기 버튼을 찾아 헤매는 일이 많아 어렵다"라며"버튼이 있어도 고장난 경우도 많다"라고 전했다. 김씨는 선천성 녹내장으로 인해 오른쪽 시야로 사물을 조금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의 장애를 갖고 있다.
김씨는"신호가 깜빡 거릴 때 고민하다가 못 건넌 적도 많았다"라며"신호등 초록불의 잔여시간이 음성으로도 안내되면 건널지 안 건널지 정확하게 정할 수 있을 거 같다"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신호등 리모컨 앱'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나마... 서서히 반영되는 장애인들의 목소리 각 지역별로 음향신호기를 개선해 나가는 움직임이 보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대구광역시는 지난해 시각장애인 및 교통약자의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지능형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를 도입했다. 지능형 음향신호기는 디지털 방식의 음향신호기로 고장 여부 및 작동상태 등을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고, 음향 크기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현재 대구광역시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를 2878대 운영하고 있는데 이중 558대가 지능형 음향신호기다.
부산광역시는 음향신호기를 직접 가동하지 않아도 시각장애인용 리모컨과 스마트폰 앱을 통해 원격으로 가동할 수 있는 음향신호기를 설치하고 있다. 원격관리는 부산경찰청의 교통신호운영실이 맡아 24시간 모니터링한다. 서울특별시는 올해부터 신호등의 잔여시간 음성 기능을 시범 운영 중이다. '언제부터 잔여시간 음성 기능이 도입되느냐'는 질문에 다산콜센터 관계자는 "현재 정부서울청사 교차로 앞에서 규격을 제정하기 위한 시범 운영 중이고, 시범 결과를 토대로 경찰청에서 심의를 통과한 후 확대 설치할 예정"이라며"빠르면 내년 1월 정도에 확대 설치될 예정"이라고 답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범의 불편한 진실]국민연금 개혁, 진보의 ‘평등’ 개념을 혁신해야흔히들 보수 혹은 우파가 ‘자유’를 좀 더 중시한다면, 진보 또는 좌파는 ‘평등’을 좀 더 중시한다고 한다. 그런데 국민연금을 두고 일어나는 지금의 논의를 보고 있자면 한국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태일의 좋은 정부 만들기]불편한 진실 외면 않기: 국민연금 지속 가능성 확보연금개혁을 위한 500인 공론화위원회 선택이 이뤄진 지도 제법 지났다. 보험료율은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50%로 높이는 안(대안 1), 보험료율은 12%로 올리고 소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문기자 칼럼] 농업소득에 대한 불편한 진실주변 사람들에게 우리나라 농가에서 농사로 버는 돈이 연평균 얼마쯤 될 것 같냐고 묻고는 한다. 대개는 3000만~6000만원 정도를 말한다. 어디선가 들은 액수가 있어서일 것이다. 2022년 농가소득이 평균 4610만원이었으니 대략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중에서 실제 농사로 버는 농업소득은 950만원에 불과하다. 5분의 1 수준이다. 나머지는 농업 외 소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버님 댁에 에어컨 놔드려야겠어요”...보일러 팔던 회사의 변심?보일러업계 성수기·비성수기 사라져 귀뚜라미, 가정용 선풍기 2일 첫 출시 경동나비엔, 콘덴싱에어콘 내년 출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일 군사교류 걸림돌' 초계기 갈등, 5년반 만에 봉합(싱가포르·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김지헌 기자=한국과 일본이 2018년 말 이래 진실 공방을 벌이며 5년 넘게 끌어온 이른바 '초계기 갈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아, 김건희 여사 향해 '남편 잘 만나 수사도 처벌도 안 받아'김순덕 대기자, "탄핵 당시 외치던 이게 나라냐 소리 절로 나올 판" 대통령 비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