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사람들에게 우리나라 농가에서 농사로 버는 돈이 연평균 얼마쯤 될 것 같냐고 묻고는 한다. 대개는 3000만~6000만원 정도를 말한다. 어디선가 들은 액수가 있어서일 것이다. 2022년 농가소득이 평균 4610만원이었으니 대략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중에서 실제 농사로 버는 농업소득은 950만원에 불과하다. 5분의 1 수준이다. 나머지는 농업 외 소득..
주변 사람들에게 우리나라 농가에서 농사로 버는 돈이 연평균 얼마쯤 될 것 같냐고 묻고는 한다. 대개는 3000만~6000만원 정도를 말한다. 어디선가 들은 액수가 있어서일 것이다. 2022년 농가소득이 평균 4610만원이었으니 대략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중에서 실제 농사로 버는 농업소득은 950만원에 불과하다. 5분의 1 수준이다. 나머지는 농업 외 소득과 이전소득, 비경상소득이다. 다른 데서 장사로 벌거나 정부 직불금 혹은 보조금 등으로 번 돈이 농가소득의 80%를 차지하는 셈이다.
농업소득에는 또 한 가지 불편한 진실이 있다. 전체 농가의 20%를 차지하는 1인 농가는 소득 통계에서 제외된다. 나 홀로 고령농이 소득 통계에 포함되면 농가소득이 더 줄어들기 때문으로 보인다. 농업소득만 놓고 보면 한국 농업은 자생력을 완전히 잃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표적인 잘못이 농업에 대한 소득세 면제다. 38개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농업소득에 세금을 걷지 않는 나라는 한국 외에 딱 4개 나라가 더 있다. 3곳은 구소련 연방국이고, 한 곳은 정치적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노르웨이다. 가까운 일본을 비롯해 나머지 모든 선진국은 농업소득에도 세금을 매긴다. 물론 여러 가지 특례를 통해 실질 세 부담은 매우 낮게 유지되고 있다. 우리는 소득세가 없다 보니 농업 활동에 대한 신고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농가별 농업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 농가소득 통계는 표본조사나 구간조사로 이뤄지다 보니 대략의 숫자만을 알 수 있을 뿐 개별 농가 단위 농업소득 파악은 거의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들이 이 구호를 걸고 파업했다면 어땠을까[주장] 의대정원 증원과 의료개혁에 관한 불편한 진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문기자 칼럼] 캄보디아에서 빛난 K기업가정신지난달 말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을 찾았다. 제32차 매경 글로벌포럼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공항에 내려 행사장인 프놈펜 소피텔호텔로 가기 위해 모니봉대로를 달렸다. 반듯한 도로 옆에 우리에게 익숙한 회사명이 눈에 띄었다. '현대자동차'. 현대차 쇼룸에는 팰리세이드, 스타리아, 산타페, 스타게이저 등이 전시돼 있었다. 이 차들은 DKD(Disassembled..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문기자 칼럼] 소비자 관점에서 본 차이나 커머스중국 '알리·테무·쉬인(알테쉬)' 등 차이나 커머스가 '초저가' 상품을 무기로 한국 유통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국내 유통기업, 중소 생산 업체, 수입 업체는 차이나 커머스의 공습에 정부가 대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다면 '소비자' 관점에선 어떤가. 로버트 보크 예일대 교수는 1978년 저서 '반독점 역설(The Antitrust Parado..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문기자 칼럼] 우주피스공화국을 아십니까'1인 1억9000만원. 쥐라기 타임머신 여행.' 지난 1일 전자상거래 플랫폼 티몬이 내건 '만우절' 여행 이벤트다. 첫 상용화에 성공한 타임머신을 타고 쥐라기 시대 또는 서기 3000년 미래로의 여행을 제안했다. 가격은 1인 기준 1억9000만~2억9000만원. 여기서 그칠 티몬이 아니다. 첫 오픈 기념으로 무려 401% 파격 할인, 여기에 1200개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범의 불편한 진실]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불길한 공약나는 이번 총선에 투표하지 못했다. 박사과정을 밟느라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데, 국외부재자 신고 기간을 깜빡 놓친 것이다. 나에게 투표할 기회가 있었다면, 아마도 ‘지민비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선데이 칼럼] ‘한국 정점론’의 불편한 진실과 대응코로나 사태 이후 국제적 화두로 떠오른 ‘중국 정점론’은 과도한 국가부채(Debt), 부동산 시장 부실화(Default), 저출산·고령화의 취약한 인구구조(Demography)라는 ‘3D’ 악재에서 기인한다. 첫째, 정부의 3대 개혁 과제 중 특히 연금 개혁에 속도를 내고 저출산·고령화 대책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 현재 논란이 된 연금 개혁의 경우, ‘더 내고 더 받자’라는 접근은 국민적 수용성 개선의 장점이 있으나 장기적 재정 안정화라는 연금 개혁의 본래 목적에 부합 여부가 관건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