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매년 치솟는 가운데 지난해 3.3㎡당 평균 2천만원대로 민간 분양이 이뤄진 자치구는 단 ...
윤동진 기자=원자재 가격 인상 등의 여파로 아파트 분양가가 계속 오르면서 전국 곳곳에서 지역 내 최고 분양가 기록을 갈아치우는 단지가 속속 나오고 있다. 3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조사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올해 들어 민간아파트 3.3㎡당 분양가 최고 기록이 나온 지역은 총 6곳이었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아파트 재건축 현장. 2024.6.3 [email protected]반면 4천만원 이상인 자치구는 10곳으로 전년 대비 100% 증가했다.
12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부동산R114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민간 아파트가 공급된 서울 19개 자치구 중 평균 분양가가 2천만원대인 곳은 금천구와 구로구 2곳뿐이었다.2021년에는 관악, 양천, 성북, 강동 등 모두 8곳에서, 2022년에는 강서, 중랑, 영등포 등 5곳에서 2천만원대 민간 분양 아파트를 찾을 수 있었다.전년에 양천, 용산, 마포, 광진, 동작 5개 구가 이에 해당했던 것과 비교하면 100% 증가했다.이 중 광진구가 1억84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1월 1억3천770만원에 공급된 '포제스 한강'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 아파트는 당시 역대 최고 분양가로 공급됐음에도 평균 경쟁률이 6대1을 나타냈다. 이 중 '국민 평형'이라 불리는 84㎡ 타입의 평균 경쟁률이 25.35대 1에 달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집값이 고점이던 2021년과 비교하면 72.2% 상승했다.올해의 경우 현재까지 민간 분양은 이달 초 서초구에 공급된 '래미안 원페를라' 1곳이 유일한 가운데 평균 분양가 6천만원대로 스타트를 끊게 됐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지난 5년간 건설공사비지수가 약 30% 이상 올랐고, 환율 불안과 관세 부과 등의 이유로 원자잿값은 더욱 오를 전망"이라면서"최근 이어지고 있는 분양가 상승세는 더욱 가파르게 진행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소득은 그대로인데”…훌쩍 뛴 집값, 서울서도 양극화 더 커졌다25개 서울 자치구 평당 가격보니 절반이 10년전 강남 넘어섰지만 연소득 1위·25위간 격차 더 커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평당 2억원 쾌거 기록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에서 공급면적 기준 3.3㎡당 2억원이 넘는 거래가 체결됐다.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평당 2억원을 넘는 가격으로 판매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래미안 원베일리' 28층, 공급면적 52평 아파트가 지난달 106억원에 거래된 것으로, 평당 가격은 약 2억400만원에 달한다. 이 아파트는 지난해 8월에도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었으며, 최근 서울 아파트 거래가 감소하고 가격이 보합세를 나타내는 상황 속에서도 반포·압구정·대치동 등 강남권 주요 지역에서 최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규제로 공사비 급등”…국회서 ‘주52시간’ 제외 호소한 건설업계평당 공사비 7년 만에 490만원→850만원 “분상제가 시장 부작용 키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대학가 원룸 월세·관리비, 작년 대비 6~8% 상승서울 주요 대학 인근 원룸의 평균 월세와 관리비가 작년 대비 모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성균관대 인근 지역의 월세가 33% 폭등하는 등 대학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14일부터 전국으로 단계적 확대(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행정안전부는 작년 말부터 시범 운영해온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발급 지역을 14일부터 3월 14일까지 3단계에 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당정 '직장내 괴롭힘 처벌 강화'…'오요안나법' 제정 추진(서울=연합뉴스) 류미나 조다운 기자=정부와 국민의힘은 작년 8월 사망한 MBC 고(故) 오요안나 씨가 생전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렸다는 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