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에서 공급면적 기준 3.3㎡당 2억원이 넘는 거래가 체결됐다.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평당 2억원을 넘는 가격으로 판매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래미안 원베일리' 28층, 공급면적 52평 아파트가 지난달 106억원에 거래된 것으로, 평당 가격은 약 2억400만원에 달한다. 이 아파트는 지난해 8월에도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었으며, 최근 서울 아파트 거래가 감소하고 가격이 보합세를 나타내는 상황 속에서도 반포·압구정·대치동 등 강남권 주요 지역에서 최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 래미안 원베일리 '에서 공급면적 기준 3.3㎡(평)당 2억원이 넘는 거래가 체결됐다. 전국 아파트 가운데 '평당 2억원'을 웃도는 가격에 팔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 래미안 원베일리 ' 28층, 공급면적 52평(174㎡, 전용 133㎡)이 지난달 26일 106억원에 중개 거래됐다. 평당 기준으로 약 2억400만원에 매매가 이뤄졌다. 해당 면적은 지난해 8월 1일 72억5000만원에 팔렸는데, 불과 5개월여 만에 가격이 33억5000만원(46%) 뛰었다. 이 아파트는 지난해 8월에도 공급면적 34평(112㎡, 전용 84㎡)이 60억원에 거래되며 화제를 모았는데, 당시 평당 가격은 1억7600만원 수준이었다. '아파트 평당 1억원 시대'는 이 아파트 바로 옆에 위치한 '아크로리버파크'에서 2019년 처음 열었다. 공급면적 34평 아파트가 그해 10월 34억원(평당 1억원)에 거래됐다.
이후 6년 만에 반포 아파트의 가치는 두 배로 뛰었다. 최근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으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가 크게 줄고 가격이 보합세를 나타내는 중이지만, 반포·압구정·대치동 등 강남권 주요 지역에선 최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 아파트 가격은 8월보다 10.8% 상승했다. 노원·도봉·강북구(노도강)는 이 기간 3% 하락한 것도 대비된다. 이는 핵심 입지의 이른바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수요가 시장 상황과는 달리 여전히 살아있다는 걸 의미한다. 다만 ‘평당 2억원’이 강남권 전반으로 확산하기에는 시간이 좀 더 걸릴 가능성이 있다. 실제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가 지난해 8월 60억원에 거래된 이후 해당 면적은 48억~54억9000만원으로 손바뀜했다. 이재국 금융연수원 겸임교수는 “한강 조망권에 따라 ‘래미안 원베일리’ 52평 기준 80억~100억원 사이에 거래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같은 단지, 같은 동에서도 한강 조망 여부에 따라 20억원가량 차이가 나는 가격 세분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원 기자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호가 2억씩 낮춰도 안 사요”…강남 초고가 아파트도 못 피한 부동산 한파부동산 한파 강남까지 영향 반포 원베일리·청담 르엘 등 탄핵 정국에 매수심리 꺾여 조만간 하락세 전환 불가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배 '래미안 원페를라' 분양가, 반포 원펜타스에 60만원 차이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 분양가가 3.3㎡당 6833만원으로 책정되어 역대 최고 분양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반포동 '래미안 원펜타스'(6893만원)와의 차이가 60만원까지 좁혀졌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공사비 등 원가 상승 기조와 핵심지 분양물량 감소로 인해 강남권 분양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래미안 원페를라, 7억 시세차익 기대삼성물산은 서초 방배동에서 '래미안 원페를라' 아파트 분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새해 벽두 전국 1만가구 주인찾기…수도권 1400가구 그쳐일반분양 8000가구 못미쳐서울 서초구 분상제 눈길'래미안 원페를라' 482가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초등학교 입학 대상자 역대 최저치 기록, 4만 명대 감소 우려2025학년도 서울 초등학교 입학 대상자가 지난해보다 9.3% 감소하여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실제 입학생 수가 4만 명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저출생으로 인해 학령인구 감소세가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남 최고가 아파트, 호가 뚝 1억~2억원 내려 '가격 조정기' 눈여겨본다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으로 부동산 매수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지방과 수도권, 서울 외곽을 넘어 강남권 최고가 아파트까지 조정기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래미안 원베일리, 압구정 신현대 등 강남권 최고가 아파트에서도 호가를 1억~2억원씩 낮추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