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에만 11명이 조용히 숨졌다…‘현장’ 빠진 위기가구 대책 KBS KBS뉴스
이웃 주민들은 40대 김 모 씨의 해사한 얼굴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먼 타지에서 온 김 씨가 경기도 광주의 조용한 마을에 자리를 잡은 건 지난해 가을.하루는 아랫집 아주머니가 찰밥을 나눠주러 김 씨 집 문을 두드렸지만, 응답이 없었습니다.집 우편함에는 여전히 각종 고지서가 겹겹이 포개져 있었습니다. 그간의 어려웠던 사정을 짐작게 합니다.여러 번의 경고 끝에, 끝내 끊겨버린 전기. 집도 김 씨도 서서히 어둠에 잠겨갔습니다.정부가 몰랐던 건 아닙니다. 김 씨에게 발생된 위기 신호는 정부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수집되고 있었습니다.전기요금이 석 달 이상 밀려 전기가 끊기고, 건보료가 9개월 째 체납되고, 1,000만 원에 달하는 금융연체 정보까지 확인됐을 때 정부는 김 씨를 위기가구로 발굴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만 '위기가구' 11명 사망…반복되는 비극지난 8월 투병과 생활고로 숨진 수원 세 모녀와 비슷한 처지에 놓여 있는 사람들이 우리 사회 곳곳에 있었던 겁니다.2014년 송파 세 모녀 사건이 발생하고 8년이 지난 지금, 왜 비극은 아직도 반복되고 있을까요?정부의 위기가구 분류 기준과 절차를 들여다봤습니다.이렇게 발굴된 가구 가운데 소재가 불명확하거나 연락이 되지 않으면 '연락두절'이라는 이유로 지원 대상에서 배제시킵니다. 어쩌면 더 큰 위기에 빠져 있을지도 모르는 이들이 완전히 관리 바깥으로 밀려나는 겁니다.정부는 수원 세 모녀 사건 이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우선, 지금까지는 단전과 단수 등 34가지의 위기정보를 수집해오던 것을 앞으로 39가지로 늘리기로 했습니다.하지만 정보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현장에서 벌어지는 저마다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장애인과 연대'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의 선택'장애인과 연대'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의 선택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 성소수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선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빨간 고추가 흰색으로…김장 못 하는 날 옵니다500평 남짓한 고추밭에는 하얗게 탈색돼 부패한 작물이 여기저기 떨어져 있었습니다. 예년보다 고추 종자를 4배 이상 비싸게 사서 심었지만, 기후변화 앞에서는 힘을 쓰지 못했습니다. 🔽사라지는 것들의 초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기에 대구 찾은 국힘... '대구·경북, 든든한 뒷배이자 자산'위기에 대구 찾은 국힘... '대구·경북, 든든한 뒷배이자 자산' 정진석 안보위기 비대위원장 대구경북 국민의힘 곽우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장제원 빠진 '민들레' 국감 뒤 출범…여당 절반 이름 올렸다 | 중앙일보'사조직 변질' 우려에도 불구, 국힘 전체 의원의 절반 이상이 이름을 올린 배경은 이렇습니다. 국민의힘 민들레 민심들어볼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다에 빠진 모녀 구하려다”…뒤늦게 밝혀진 ‘유희왕’ 작가 사망 이유 | 중앙일보물놀이 중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알고 보니...유희왕 작가 다카하시카즈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