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 담당 장관들이 양국 간 무역 현안을 다룰 대화 채널을 열기로 합의했다. 일반 무역 분야에서 미·중간 불...
28일 중국 베이징에 있는 중 상무부에서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회담하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담당 장관들이 양국 간 무역 현안을 다룰 대화 채널을 열기로 합의했다. 일반 무역 분야에서 미·중간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려는 의도로 보인다. 하지만, 양국은 반도체 제재 등 핵심 현안에 대한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29일 중국 상무부 발표와 로이터 통신 보도 등을 보면,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전날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2시간가량 논의하고 2시간 동안 점심을 먹는 등 약 4시간 동안 대화했다. 이번 대화에서 미·중은 양국의 무역 현안을 정기적으로 논의할 대화 채널을 열기로 합의했다. 차관급 관리를 대표로 실무 그룹을 꾸리고, 무역 현안에 대해 연간 두 차례 대화하기로 했다. 내년 초 미국에서 첫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이번 회담에서 양국 갈등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반도체 규제 등에 대해서는 의견을 나누는 수준에 그친 것으로 보인다. 왕원타오 부장은 미국 쪽에 “미국의 통상법 301조와 반도체 정책, 투자 제한,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 등에 대해 얘기했다”고 중 상무부는 전했다. 러몬도 장관도 “중국 쪽과 마이크론 메모리 반도체 구매 중단에 대한 우려를 논의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앞서 러몬도 장관은 방중 전 “안보 문제에 대한 타협이나 협상은 없다”고 말했다. 첨단 반도체와 인공지능, 양자컴퓨터 등 미국의 대중 디리스킹 정책의 핵심 분야에 대해서는 중국과 협상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은 것이다. 미국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첨단 반도체와 인공지능 등의 대중 수출과 기술 이전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이번 만남에 대한 중국 쪽 평가는 비교적 긍정적이다. 중국 상무부는 “중·미 경제·무역 관계와 공동 관심사에 대해 합리적이고 솔직하며 건설적인 의사소통을 진행했다”고 평가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중, 무역 문제 실무그룹 구성…수출 통제 정보교환 합의이날 회담 직후 미 상무부는 '미·중이 수출 통제 시행에 관한 정보 교환을 시작하고 무역 문제를 다룰 새 실무그룹을 구성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러몬도 장관은 회담에 앞서 모두 발언에서 '양국이 안정적인 경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의 국내 투자가 중국의 경제 발전을 저지하려는 목적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 상무장관 방중은 7년 만으로 바이든 행정부 고위급 인사 방중 가운데 가장 중요한 방문일 수 있다'며 '러몬도 장관은 미·중 경제 이슈에서 가장 중심에 있는 인물'이라고 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상무장관 중국 도착…중 매체 “건설적 대화” 잇단 기대감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27일부터 나흘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해, 미·중간 주요 무역 현안에 대한 논의에 나선다.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잿더미 하와이’의 분노가 말하는 것위험수위를 향해 치닫는 미·중 경쟁지구촌은 극한 기후로 큰 고통 겪어‘실존적 위협’에 맞설 중지 모아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협 '메모리반도체 수출 10월부터 회복...연말엔 월 70~80%씩 급증'한국무역협회(무협)는 28일 서울 강남구 트레이드타워에서 ‘무역현안 관련 언론간담회’를 열고 올해 꾸준히 감소해온 메모리반도체 수출이 10월부터 증가세로 전환(전년동기 대비 26.9%)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만기 무협 부회장은 '내년 상반기부터 ICT(정보통신기술)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고, 반도체는 ICT 수요 회복에 따른 선행 수요로 나타난다'라며 '이에 더해 AI(인공지능) 관련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증가까지 더해지면서 올해 4분기부터 반도체의 글로벌 회복세 전환이 전망된다'고 말했다. 정 부회장은 '그동안에는 수출 부진 원인을 환율, 중국, 반도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봤지만, 사실 중국과 반도체 수출 부진은 맞물려 있는 것으로 ICT 시장 침체 자체가 가장 큰 원인인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中 발전 저지 목표 아냐'…中 '양호한 정책 환경 만들어야'러몬도 장관은 이튿날 베이징에서 왕원타오(王文濤) 중국 상무부장과 회담을 열고 세계 경제 1·2위 국가 간 경제·무역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러몬도 장관은 지난 석 달 사이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재닛 옐런 재무장관, 존 캐리 기후특사에 이어 네 번째로 중국을 방문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고위급 인사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 통신은 '미 상무장관의 방중은 7년 만으로 바이든 행정부 고위급 인사의 방중 중 가장 중요한 방문일 수 있다'며 '러몬도 장관은 기술 수출을 통제하면서 무역을 촉진하는 (미국의 정책을 이끄는) 등 미·중 경제 이슈에서 가장 중심에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정은, 한·미·일 정상에 “깡패 우두머리들”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한군 해군사령부를 방문해 한·미·일 정상을 “깡패 우두머리들”이라고 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