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업계, 미국 '수출 통제 유예 연장'에 '불확실성 해소' SBS뉴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미국 기업이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 통제를 발표했습니다.다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선 1년간 수출 통제를 유예했습니다.이런 가운데 미국이 '당분간'이라는 단서를 달면서도 한국 기업에 대한 수출 통제 유예 연장 방침을 밝힌 만큼 국내 반도체 업계는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현재 중국에서 가동하는 메모리 생산 라인이 지속가능하려면 기술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며"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미국의 조치가 이어지면 불확실성이 많이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 공장을 운영 중입니다.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에서 낸드 생산량의 40%를,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 생산량의 각각 40%와 20%를 우시 및 다롄 공장에서 각각 생산합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WSJ “미국, 한국 반도체 기업 중국 내 장비 반입 규제 유예 방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월 무역수지도 적자로 출발…'반도체 부진 계속'이달에도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수출부진은 계속 무역수지 적자 반도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 최고 권위자' 범죄에 업계 충격…유출 대책 없나앞서 보셨던 전직 삼성전자 임원은 반도체 업계에서는 이름 대면 누구나 알만한 최고 전문가여서 더 충격을 주고 있는데요. 이렇게 우리 주력 산업의 핵심 기술을 외국으로 빼돌리는 사례가 끊이지를 않고 있는데, 피해에 비해 처벌은 부족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韓기업 中공장 반도체장비 수출통제 유예 연장 방침 확인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미국이 반도체 생산 첨단장비의 대(對)중국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에 대해선 반도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삼성·SK 대중국 반도체장비 수출통제 유예 연장'[앵커]미국이 첨단 반도체 장비를 중국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에 적용한 한시적 유예 조치를 연장할 거라는 방침이 전해졌습니다.하지만 최근 중국의 마이크론 제재 이후 우리 기업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어서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도 나옵니다.워싱턴 권준기 특파원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