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안전하게 원치않는 임신을 중단할 권리가 시대의 상식으로 자리잡아 가는 가운데 나온 미 대법원 판결에 국제사회는 충격을 금치 못하는 모양새입니다.
"여성 인권 시계를 거꾸로 되돌린 판결이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여성의 임신중지권을 보장한 '로 대 웨이드' 판례를 뒤집자 여성 인권의 후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미국 안팎에서 잇따르고 있다. 누구나 안전하게 원치않는 임신을 중단할 권리가 시대의 상식으로 자리잡아 가는 가운데 나온 미 대법원 판결에 국제사회는 충격을 금치 못하는 모양새다.서구 정상들"임신중지는 모든 여성의 기본 권리" 한목소리 2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엄청난 후퇴"라며"나는 항상 여성이 선택할 권리를 가진다고 믿어왔고, 그 관점을 고수하고 있으며, 영국법도 이 같은 기조를 견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임신중지는 모든 여성의 기본 권리로 반드시 보호돼야 한다"며"미 대법원에 의해 자유에 도전을 받은 모든 여성에게 연대를 표시한다"고 썼다. 미국의 이웃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도 SNS에"미국서 전해진 뉴스는 끔찍하다"며"정부나 정치인 혹은 남성이 여성에게 그들의 몸과 관련해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할 수 없는지 말해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UN·WHO"매우 실망… 진보 흐름에서 멀어져"미첼 바첼레트 유엔 인권 최고대표도 이날 성명을 내고"여성 인권과 성평등에 있어 큰 타격"이라며"수백만 미국 여성에게서 자주권을 박탈한 판결"이라고 지적했다. 그는"안전하고 합법적이며 효과적인 낙태 권리는 국제 인권법에 기반하며, 자신의 신체와 삶에 있어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여성·소녀 자주권의 핵심"이라며"지난 25년 간 전 세계 50여 개국이 임신중지 관련 법률을 완화해온 가운데 미국은 이번 판결로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진보 흐름에서 멀어졌다"고 비판했다.
전날 미 대법원은 15주 이후 임신중단을 금지한 미시시피주 법률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다. 1973년 임신중지권을 여성의 기본권으로 인정한 '로 대 웨이드' 판례를 파기하면서다. 이로 인해 지난 반세기 헌법으로 보호 받던 여성의 임신중지권이 박탈되면서 여성 인권과 건강권 후퇴는 불가피해졌다. 댓글 쓰기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임신중지권’ 판례 없애버린 미 대법…“49년 전으로 후퇴”일부 주들은 임신부 목숨이 위태롭지 않다면 어떤 경우라도 임신중지를 못하는 법률을 만들었다. 전체 50개 주 가운데 절반가량이 임신중지권을 부정하는 법을 갖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대법원 낙태권 판결 폐기에 '슬픈 날…싸움 안 끝나'(종합)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대법원이 낙태를 합법화한 이른바 '로 대(對) 웨이드' 판결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세기만에 뒤집힌 미국 임신중지권… 정치권은 폭풍속으로미국 사회에서 생명권(pro-life)과 임신중지권(pro-choice) 중 어느 것이 우선하느냐를 둘러싼 논란에도 더욱 불이 붙게 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신중지권’ 판례 없애버린 미 대법…“49년 전으로 후퇴”일부 주들은 임신부 목숨이 위태롭지 않다면 어떤 경우라도 임신중지를 못하는 법률을 만들었다. 전체 50개 주 가운데 절반가량이 임신중지권을 부정하는 법을 갖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