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연고 장애인의 유서 깊은 장례: 한국 사회 법적 사각지대

사회 뉴스

무연고 장애인의 유서 깊은 장례: 한국 사회 법적 사각지대
무연고자장애자립생활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27 sec. here
  • 8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5%
  • Publisher: 51%

장애인이 유기되어 발견된 후 시설에서 36년을 살아 법적 무연고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그의 장례는 현행 법률 체계에서 복잡해지는 문제를 제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법령 정비와 공영장례 제도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지난 11월14~16일에는 어느 무연고 시민의 장례가 치러졌다. 장애가 있었던 고인이 법적 무연고자 인 이유는 그가 유아일 때 유기된 상태로 발견되어 아동시립병원을 거쳐 시설에 들어가 36년을 살았기 때문이었다. 시설에서 나온 후 어느 장애인 자립생활 센터에서 일하면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났으나, 이때 관계를 맺은 사람들은 연고자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다행히 고인의 장례는 지연되지 않고 진행되었다. 고인의 생전 공동체였던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식구’들이 보여준 적극적 의지 덕에 가능했다. 아니, 처음부터 조마조마할 일이 아니어야 했다. 장애인들의 탈시설과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단체들은 고인과 같은 사례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법령 정비를 제안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참에 탈시설 장애인뿐 아니라 노숙인과 독거노인 등 다양한 이유로 법적 무연고 상태로 생을 마감하는 시민들의 공영장례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삶을 살아가는 시민들은 가족의 의미를 되묻는다. 장애인, 탈가정 청소년, 독거노인, 노숙인 등은 혈연이 아닌 관계의 가치, 혈연이 끊긴 삶의 처지를 법이 인지하고 보호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한국 사회는 많은 영역에서 그럴 준비가 되어 있지 않지만, 동시에 현재의 법이 소중하게 여기고 있는 정상 가족은 해체되고 있다. 수많은 저소득층 노령자들과 장애인들은 연락이 두절된 가족의 소득 때문에 기초생활보장수급 자격을 인정받지 못해 열악한 삶을 지탱해 왔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무연고자 장애 자립생활 장례 법령정비 공영장례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불안정노동자와 한국 사회: 변화 속에서의 소외불안정노동자와 한국 사회: 변화 속에서의 소외중央大社會福利學部教授李勝勻在其著作中闡釋了在韓國社會快速變遷中,不穩定勞工所面臨的挑戰和社會制度的缺失。作者深入探討了新科技對勞動市場的影響,以及這些改變對年輕勞工產生的不安全感。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대표 판결로 한국 사회 법과 정치 긴장 관계 재조명이재명 대표 판결로 한국 사회 법과 정치 긴장 관계 재조명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공직선거법 위반과 위증교사 사건의 1심 판결이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정치의 긴장 관계를 재조명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우 정우성, 혼외자 인정으로 한국 사회 논란 촉발배우 정우성, 혼외자 인정으로 한국 사회 논란 촉발영국 BBC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 인정이 한국 사회의 비전통적 가족 구조 논쟁을 촉발했음을 보도했습니다. 이는 여전히 혼외 출산을 금기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지만, 일부 진보적인 의견은 이를 비판하며 한국 사회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우성 혼외자 인정, 한국 사회 논란정우성 혼외자 인정, 한국 사회 논란영국 BBC는 정우성의 혼외자 인정과 문가비의 출산이 한국 사회에서 비판과 옹호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고 보도했다. 이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 가치와 젊은 세대의 변화하는 가치관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 여성이 남성의 3배“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 여성이 남성의 3배국민 4명 중 1명은 한국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 불안 요인으로는 범죄와 경제적 위험을 꼽은 비중이 2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백나무가 환히 밝혔던 공간, 그 이유를 알았다동백나무가 환히 밝혔던 공간, 그 이유를 알았다남원 만행산에서 섬진강 상류인 요천을 바라보는 산자락 연화봉(527.9m) 아래에 승련사(勝蓮寺)가 있다. 11월 중순, 만행산 단풍이 연화봉을 거쳐 승련사 사찰로 내려오는 늦가을 계절에, 유서 깊은 승련사를 찾아갔다. 고려 시대부터 수백 년 세월 동안 연화봉 아래의 유서 깊은 승련사가 있었다. 조선 시대 어느 때에 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31 08:3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