땜질에 땜질 더하는 의대 증원 문제, 원칙이 뭔가 [정치에 속지 않기]

대한민국 뉴스 뉴스

땜질에 땜질 더하는 의대 증원 문제, 원칙이 뭔가 [정치에 속지 않기]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0%
  • Publisher: 51%

의대 정원 확대는 윤석열 정부의 야심작이었다. 전 정부가 못한 일을 과감하게 하겠다는 결기도 있었다. 연초에는 상당한 지지를 받기도 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른 지금은 걱정의 대상이 됐다. 전공의, 의사협회, 의대생, 의대 교수의 반발이 연쇄적으로 있었고, 응급실 뺑뺑이로 대변되면 의료 파행 속에 “지금은 아프면 안 된다”라는 말이 안부 인사가 됐다. 이 사

의대 정원 확대는 윤석열 정부의 야심작이었다. 전 정부가 못한 일을 과감하게 하겠다는 결기도 있었다. 연초에는 상당한 지지를 받기도 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른 지금은 걱정의 대상이 됐다. 전공의, 의사협회, 의대생, 의대 교수의 반발이 연쇄적으로 있었고, 응급실 뺑뺑이로 대변되면 의료 파행 속에 “지금은 아프면 안 된다”라는 말이 안부 인사가 됐다.

이 사안은 대통령 지지율과 관련해서 양날의 칼이기도 하다.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의대 정원 확대가 윤석열 대통령 긍정 평가 이유 2위, 부정 평가 이유 1위에 올랐다. 지지율을 올리는 이유이자 끌어내리는 이유다.우선 증원 규모다. 2000명을 올해 입시부터 단박에 늘리겠다고 했다. 왜 2000명이냐는 질문이 쏟아졌고 정부는 근거가 있는 최소치라고 강조했다. 그 뒤에 대학들의 신청을 받는 절차가 진행됐고, 최종적으로 1500명으로 확정됐다. 2000명과 1500명은 상당히 큰 차이다.정부는 증원에 반대하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에게 초기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더니 병원 복귀를 유도한다면서 이런저런 유화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복귀한 전공의는 미미하다. 정부는 밀면 밀린다는 사례만 남겼다.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의대생들에 대해 정부는 휴학 불가 입장이었다. 그런데 이젠 내년에 학교에 복귀하는 약속을 조건으로 휴학을 허용한다고 한다. 복귀하는 의대생을 위해 대학이 …비공식‘ 학습지원자료인 …족보’를 지원한다는 안까지 나왔다. 여기에 더해 현행 6년의 의대 교육과정을 5년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견해도 내놨다. 올해 한 해 의대 교육 공백이 생긴 것을 고려한 듯한데, 수의대도 6년인데 무슨 소리냐는 비판이 단박에 나왔다. 그러자 강제가 아니라며 대학이 원하지 않으면 안 하는 것이란 설명이 뒤따랐다. 땜질에 땜질을 가하고, 예외에 예외를 더하는 상황이 아닌가. 의료 파행을 해결하려는 타협책이라지만, 이런 모습을 보노라면 의대 증원을 놓고 꼼꼼한 준비와 시나리오, 문제를 해결하는 원칙 자체가 없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지울 수 없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의대 증원, 부실한 과정 탓에 목표가 무너질 판이다 [정치에 속지 않기]의대 증원, 부실한 과정 탓에 목표가 무너질 판이다 [정치에 속지 않기]의사 수를 늘리는 정책은 여론의 지지를 받았고 지금도 지지를 받고 있다. 필수과 의사가 부족하다는 것, 이전부터 벌어져 온 ‘응급실 뺑뺑이’에 대한 걱정이 배경이다. 게다가 증원을 반대하는 의료계에서 나온 “정부는 의사를 못 이긴다”라는 말이 여론을 자극했다. 한국갤럽의 지난 6월 11~13일 조사(1000명 대상)를 보면 내년도 입시에서 의대 정원을 15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지지율, 6개월째 20%대...'체코 순방' 효과 미미 [한국갤럽]윤 대통령 지지율, 6개월째 20%대...'체코 순방' 효과 미미 [한국갤럽]진보·중도·보수 가릴 것 없이 부정평가 높아...부정평가 이유 1위는 '의대 증원' 문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대표에게 험난한 가을이 다가오고 있다 [정치에 속지 않기]이재명 대표에게 험난한 가을이 다가오고 있다 [정치에 속지 않기]선선한 아침 공기에 가을을 실감한다. 한 주 전까지 해도 해도 너무한 무더위를 경험한 터라 갑작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래도 반가운 것임은 분명하다. 반가운 날씨가 돌아온 이 가을, 그러나 정치권은 험난할 수 있다. 특히 제1야당 대표이자 ‘국회 권력자’라는 소리를 듣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 말이다. 일단 지지율 상으로는 좋다. 한국갤럽 차기 대선주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당과 대통령 지지율 동반 최저, 왜일까 [정치에 속지 않기]여당과 대통령 지지율 동반 최저, 왜일까 [정치에 속지 않기]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과 여당인 국민의힘 지지율이 현 정부 출범 후 동반 최저를 기록했다. 시시때때로 움직이는 지지율에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고 일축할 수도 있지만, 여권으로선 뼈아픈 대목이 지지율 속에 있다. 한국갤럽 9월 2주 차 조사(10~12일, 1002명 대상,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긍정 평가)은 20%(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과 한 싸늘한 거리감, 이대로 방치돼도 괜찮은가 [정치에 속지 않기]윤과 한 싸늘한 거리감, 이대로 방치돼도 괜찮은가 [정치에 속지 않기]사람들이 무리수라고 수군거렸다. 제1야당인 민주당 인사들이 대통령과 여권을 향해서 최근 쏟아낸 의심과 주장 말이다. 계엄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 나오더니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테러 가능성까지 나왔다. 그리고 툭하면 탄핵, 퇴진을 말한다. 국회 공간에선 ‘탄핵의 밤’ 행사까지 열렸다. 이쯤 되면 보통 역풍이 불기 마련이다. 딱히 뾰족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과 한 사이에서 보수가 갈라졌다 [정치에 속지 않기]윤과 한 사이에서 보수가 갈라졌다 [정치에 속지 않기]보수가 갈라졌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하는 보수와 여전히 지지하는 보수로 갈라졌고, 이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에게 기대를 거는 보수와 그를 신뢰하지 않거나 지지를 망설이는 보수로 연결돼 있다. 여론조사(한국갤럽) 결과에서 나타난 몇가지 모습이 이를 말해준다. 최근 여론조사(8월 27~29일, 1002명 대상)에서 보수성향 응답자의 43%가 윤 대통령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3 23: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