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식비, 교통비 늘어 부담... 알바 구하기도 어렵고 시급도 낮아
그런 분위기를 저만 모르겠나 봐요. 아니 오히려 아닌 것 같아요. 친구들과 얘기하다 보면 학생들의 재정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느끼거든요."우리 시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입버릇처럼 뱉어져요."사과값이 올랐다","채솟값이 올랐다"라고 하는 건 솔직히 크게 와닿지 않아요. 대학생이 장 보는 일은 많이 없으니까요.대신 대학교 후문에서 밥을 먹을 때면 깨닫게 돼요.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다는 걸요. 제가 좋아하는 보쌈 가게가 있어요. 8500원이라는 합리적인 가격에 기분 좋게 즐길 수 있었어요. 그런데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올해 들어 9500원으로 올랐어요.
사장님 사정은 충분히 이해되요. 하지만 이해가 되는 거랑 속상한 건 다른 것 같아요. 식당들의 가격이 하나둘 오르면서 한 달 식비가 정말 늘었어요. 매 끼니를 사 먹기 부담스러울 정도에요. 친구들과 도시락을 싸 와서 먹기도 해요. 지출도 줄고 친구들과 같이 앉아 먹으니 재밌더라고요.오르는 건 식비만이 아니에요. 교통비도 많이 늘었어요. 저는 집과 학교 거리가 지하철로 20분 정도 걸려요. 교통비가 3만 원대에서 4만 원대가 되었어요. 겨우 만 원이 아니에요. 만 원 차이는 학생들에게 많이 커요. 매달 10일 교통비가 빠져나갈 때면 놀라곤 하죠. 교통비가 오른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또 오른다고 하니, 벌써 부담이 돼요. 이젠 교통비 지원 프로그램을 찾는 게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어요. 저는 집이 가까운 편인데도 이런데 거리가 먼 친구들은 얼마나 큰 변화를 체감할까요.알바를 구하는 것도 일이에요. 알바몬, 알바천국 등에 들어가면 올라오는 알바도 줄어들었어요. 할 만한 알바를 찾기가 쉽지 않아요.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넉넉하지 않다 보니 고용에 대한 비용을 줄이고 있어요. 매일 앱에 들어가지만, 새롭게 추가되는 일자리가 많이 없어요. 일 자체의 감소도 있지만 공장같이 힘든 알바를 피하려고 하는 분위기도 큰 것 같아요.어렵게 알바를 구해도 끝이 아니에요. 학생들의 알바 시급은 턱없이 부족해요. 물가가 오르면서 실질적으로 최저임금은 너무 모자라게 느껴져요.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곧 시작된다는데 최저임금이 만 원을 넘었으면 좋겠어요.
어른이 되고 세상이 살기 쉽지만은 않다는 걸 체감하게 됐어요. 부모님에게 용돈을 받기보다 스스로 자립하려고 노력하고 있거든요. 이런 경제적 부담들이 저출산, 비혼을 많이 야기하는 것 같아요. 나 혼자 생활하는 것도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누군가의 인생을 책임진다는 게 정말 막연하게 느껴져요. 물론 전 아직 대학생이지만요. 사회에 나가면 달라질까요? 사실 잘 모르겠어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월급은 오르는데 저축 못 하는 진짜 이유[리뷰] EBS 돈의 얼굴- '3부 돈이 떨어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대학가 반전 시위대 수백 명 체포···“경찰 과잉 진압” 비판도미국 대학 캠퍼스에서 가자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가 확산하고 있다. 경찰은 미 전역 대학교 곳곳에서 일어나는 시위대를 강제 해산하려 진압 수위를 높였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억 원 춤추는 경매무대의 지휘자 “돈이 아닌 눈을 본다”“이우환 작가의 작품 ‘다이얼로그(dialogue)’. 8,600만 원에 시작합니다!” 경매사의 말이 떨어지자마자 공간의 분위기가 바뀐다. 이우환 작가의 작품은 이날 경매 최고의 관심 작품. 30초 만에 작품 가격은 1억 원을 넘어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권 변화를 이끄는 8가지 요인과 상가 투자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대한민국 상권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19가 대유행했던 지난 4~5년간 정부 주도하의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집합금지명령, 영업시간제한 등)가 대한민국 상권을 변화의 소용돌이에 빠지게 만든 것이다. 문제는 코로나19 대유행이 끝나고 완연한 탈코로나 시대가 자리했건만 상가시장의 침체는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그 중심에는 상권의 변화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우의 수’만 8가지...더 꼬여버린 글로벌 경제, 최대 변수는 중동사태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경제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은 날씨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내일 비가 올지 안 올지를 예측하고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다. 비가 오면 우산을 갖고 나가고 비가 안 오면 그냥 나가면 된다. 경우의 수가 2개인 비교적 단순한 시나리오다. 여기에 태풍까지 불 것 같으면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비와 태풍까지 감안하면 시나리오는 4개로 늘어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가가 ‘분당 흉기 난동’ 유족에 준 돈, 왜 ‘살인자 감형’ 사유 되나“왜 국가가 범죄피해자 유족한테 준 돈이 살인자에겐 ‘돌파구’가 되는 건가요?” 2023년 8월3일 퇴근 인파로 가득했던 경기 성남시 분당구 일대는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