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난민 인정된다면 ‘불법 입국’이라도 형 면제”

대한민국 뉴스 뉴스

대법 “난민 인정된다면 ‘불법 입국’이라도 형 면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3%

난민으로 인정된다면 불법으로 입국했더라도 형을 면제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습니다. 난민협약은 불법 입국한 난민을 처벌할 수 없다는 규정을 두고 있는데, 가입국인 우리나라에서는 난민협약이 법률과 동일한 효력이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게티이미지뱅크. 난민으로 인정된다면 불법으로 입국했더라도 형을 면제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난민협약은 불법 입국한 난민을 처벌할 수 없다는 규정을 두고 있는데, 가입국인 우리나라에서는 난민협약이 법률과 동일한 효력이 있다. 대법원 2부는 위계공무집행방해 및 출입국관리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이란 국적 난민 ㄱ씨의 형을 면제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란 국적인 ㄱ씨는 대한민국에 입국해 취업 및 난민신청을 할 계획이었지만 사업 목적으로 초청된 것처럼 속여 단기방문 비자를 부정하게 발급받은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형을 받았다.

이란에서 기독교 세례를 받은 ㄱ씨는 기독교 예배를 드리다가 체포됐는데, 당시 폭행과 고문을 당하는 등 큰 두려움을 느껴 우리나라에 왔다고 주장했다. ㄱ씨는 당초 난민 신청이 거절됐지만 2심 진행 중에 별도의 행정소송에서 승소해 난민으로 인정됐다. 이에 따라 2심 재판부는 ㄱ씨가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른 ‘형 면제’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판단하고 ㄱ씨의 형을 면제했다. 1993년부터 우리나라에서 발효된 이 협약의 제31조 제1호는 생명 또는 자유가 위협되는 곳에서 온 난민에게 불법 입국을 이유로 형벌을 부과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출입국 관련 제도에 이란과 같이 사증면제국가가 아닌 나라에서 입국할 경우 처음부터 난민인정을 위한 사증을 받을 방법이 없다는 점도 고려됐다. 정혜민 기자 jh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비자 허위로 받고 입국한 이란인 난민…대법 '형벌 면제'비자 허위로 받고 입국한 이란인 난민…대법 '형벌 면제'난민 신청자가 사업상 입국인 것처럼 속여 허위로 비자를 발급받았더라도 국제협약에 따라 처벌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대법원 2부는 최근 위계공무집행방해와 출입국관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이란인 A 씨의 형을 면제한 원심을 최근 확정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핵어뢰·ICBM 발사' 등 부각…'원쑤의 아성에 공포의 해일' | 연합뉴스北, '핵어뢰·ICBM 발사' 등 부각…'원쑤의 아성에 공포의 해일'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핵무인수중공격정'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발사 등을 지도했던 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두환 손자 '내일 한국 입국...5·18 유족에 사죄'전두환 손자 '내일 한국 입국...5·18 유족에 사죄'[앵커]일가의 '검은돈' 의혹 등 각종 폭로를 이어갔던 고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내일(28일) 한국에 온다고 밝혔습니다.입국 즉시 광주로 가서 5·18 민주화운동 유가족들에게 사죄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우철희 기자입니다.[기자]고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의 SNS입니다.오늘(27일) 미국 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회복무도 종교적 신념 이유로 거부...대법 '처벌해야'사회복무도 종교적 신념 이유로 거부...대법 '처벌해야'집총이나 군사훈련이 없는 사회복무요원이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복무를 거부한 것은 정당한 병역거부 사유가 아니라는 대법원 첫 판단이 나왔습니다.대법원은 병역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1살 A 씨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대전지법으로 돌려보냈습니다.재판부는 사회복무요원에게 집총이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3 20: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