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군이 미국 정부가 대만에 F-16 전투기용 적외선 탐색·추적 장비(IRST)를 비롯한 5억 달러(약 6600억원) 규모의 무기 판매를 승인한 데 반발해 대만을 겨냥한 고강도의 군사적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교훈’ 삼아 대만 침공 준비에 나설 것이라고 대만 외교 부장(장관)이 말했다. 27일 자유시보 등 대만 현지언론에
중국군이 미국 정부가 대만에 F-16 전투기용 적외선 탐색·추적 장비를 비롯한 5억 달러 규모의 무기 판매를 승인한 데 반발해 대만을 겨냥한 고강도의 군사적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교훈’ 삼아 대만 침공 준비에 나설 것이라고 대만 외교 부장이 말했다.우 부장은 중국 내부의 정책 결정 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국면에서 러시아가 겪은 좌절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우 부장은 대만이 이같은 가능성에 대해 엄중히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우 부장은 중국이 1971년 중국의 유엔 가입을 결정한 결의안 2758호를 왜곡하고 있다고 봤다. 그는 “대만이 중국의 일부분이고 대만 문제가 중국 내정이라면서 대만해협은 이른바 ‘국제수역’이 없다는 ‘내해’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일본 쿠릴열도와 대만 동쪽, 필리핀 서쪽, 믈라카 해협을 잇는 가상의 선인 ‘제1도련선’을 넘어 동중국해, 남중국해, 태평양 및 인도양, 아프리카 등지로 이같은 움직임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우 부장은 “전세계 화물 물동량의 50%가 대만해협을 통과하는 가운데 대만이 전세계 반도체 제조의 60%, 첨단 반도체의 세계 점유율 92%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며 “이런 가운데 중국이 대만을 무력 침공하면 반드시 전세계 경제공급망에 대한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우 부장은 지난 11일 스위스 유력신문인 노이어취리허차이퉁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대만을 봉쇄하는 경우 국제법상 전쟁행위로 국제 사회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켜 전세계 경제의 중대한 재난을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대만군은 지난 24일 오전 6시부터 25일 오전 6시 사이에도 대만 주변 공역과 해역에서 인민해방군 군용기 22대와 군함 5척을 각각 식별한 바 있다.앞서 미 국무부는 지난 24일 IRST 및 IRST 관련 장비 등 모두 5억 달러 규모의 무기에 대한 대만 판매를 의회에 통보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영문도 모른채 죽는다…사람의 실수가 치명적인 '극한의 무기' [이철재의 밀담]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샹(商)급(093형) 공격 핵추진잠수함(SSN)이 대만 해협 근처에서 심각한 사고를 당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다. ‘ ’라는 X(트위터) 유저는 '21일 오후 2시쯤 공격 핵잠 창정(長征) 4XX함이 대만 해협에서 임무를 수행하던 중 사고를 당했다는 보고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로 올라갔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만 에 따르면 순리팡(孫立方) 국방부 대변인이 22일 중국 잠수함의 사고에 대한 정보는 없다고 관련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서방' 구심점 될까?...몸집 불리는 브릭스 [앵커리포트]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앞 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만 국가주의·민족 문제가 덮어버린 자본주의 모순[한겨레S] 홍명교의 이상동몽 : 대만 노동운동의 과제식민지 시절 노동운동 역사 시작독재·노동착취 등 한국과 닮은꼴미·중 수교 등 국제적 외부충격노동 외면…자본친화적 민주화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제주 찾은 외국인 18만명…최애 음식은 치킨 아닌 '이것'올해 상반기 제주를 찾은 외국인은 한식집을 가장 많이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제주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미국·중국·일본·대만·싱가포르·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태국 등 8개국 관광객 18만5166명이 제주를 찾았다. 한식업 외 선호 음식을 분석한 결과 중국과 대만 관광객은 한식 다음으로 '치킨'을 선호했고, 미국과 싱가포르 관광객 등은 제과점과 피자 전문점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중, 유엔 안보리 '북한 위성 발사' 논의서 '일본 오염수' 협공김성 주유엔 북한 대사(왼쪽)와 겅솽 주유엔 중국 부대사. 〈사진=유엔 TV〉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北 위성 발사 문제 논의하다...북한-중국 갑작스러운 협공미국과 영국, 프랑스, 일본, 알바니아 등 대부분의 이사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