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의 90% 이상을 타국에서 수입해야 하는 ‘에너지 절대 빈국 한국’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이오성 기자
이 또한 지나가리라. 가스비와 전기료를 더 올려야 하느냐 마느냐, 정부가 난방비를 얼마나 지원해야 하느냐, 나아가 공기업인 가스공사와 한국전력의 운영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결국 언젠가 어떻게든 매듭을 지을 수 있는 문제다. ‘난방비 폭탄’ 국면이 지나가도 남을 거대한 이슈는 이것이다. 에너지의 90% 이상을 타국에서 수입해야 하는 ‘에너지 절대 빈국 한국’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높아진 보호주의 무역장벽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뚜렷하다. 남의 나라 에너지를 값싸게 수입해 쓰는 시대는 끝났다. 에너지가 곧 무기인 시대가 왔다. 우리 앞에 두 가지 길이 있다. 원전과 재생에너지다. 가장 손쉬운 길은 원전을 가동하는 것이다. 안전과 핵폐기물 처리 문제는 여기서 논외로 하자. 한번 지어놓으면 별다른 연료비 없이도 계속 전기를 생산하는 원전은 에너지 빈국에게 선택이라기보다는 필수에 가까웠다. 게다가 탄소배출도 거의 없다.
공급이 부족해도 문제, 넘쳐나도 문제다. 전력 수요가 크게 떨어졌는데 원전 같은 대용량 발전기가 계속 가동되면 사고 가능성이 커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수·가스 발전 등 실시간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 발전원’을 함께 사용한다. 전력 공급이 넘칠 때 양수 발전소는 수문을 닫고, 가스 발전소는 불을 끄면 그만이다. 그러니까 원전과 재생에너지는 서로 ‘제로섬’ 관계다. 한쪽 생태계가 흥하면 다른 쪽은 망할 수밖에 없다. 특히 국내 원전은 1기당 발전량이 1GWh 이상인 대용량이다. 1GWh는 4인 가구 기준 약 10만 가구가 하루 동안 쓸 수 있는 전력량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많은 날 원전이 함께 가동되면 전력망에 과부하가 걸린다. 재생에너지의 출력을 사람의 뜻대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원전을 운영하는 국가에서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늘어나면서 오래전부터 문제가 생기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카카오택시 '호출 몰아주기' 시정 명령…과징금 257억원카카오택시 '호출 몰아주기' 시정 명령…과징금 257억원 매주 금요일엔 JTBC의 문이 열립니다. 📌 '오픈 뉴스룸' 방청 신청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사 격분시킨 '두 철자'...삼성병원 쏘아올린 'PA간호사' 논란 | 중앙일보의료계 내 해묵은 논쟁거리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습니다.\r삼성서울병원 PA간호사 논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블링컨·왕이 뮌헨서 회담 가능성…中정찰풍선 사태 이후 처음'(종합)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오는 17~19일(이하 현지시간)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 기간 왕이 중국 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튀르키예·시리아 강진 피해 구호·기부 손길 이어져...사칭 기관 조심해야 - BBC News 코리아튀르키예·시리아 강진 피해 구호·기부 손길 이어져...사칭 기관 조심해야 지진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잘 전달할 수 있을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요금동결은 인기 영합... 시장에 반항하면 안 돼'한덕수 국무총리가 '난방비 폭탄' 사태를 두고 '오르는 공공요금을 짓누르는 인기 위주의 정책으로 해결할 수 없다'면서 전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또한 '시장에 반항하면 안 된다', '우리 모두의 각오가 있어야 한다'면서 향후 에너지 가격 인상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난방비 충격’은 모두에게 같지 않다 [The 5]난방비 쇼크에 대한 충격, 모든 사람이 똑같이 느낄까요? 정부는 누구를 얼마나 지원해야 할까요? 앞으로는 난방비를 올리지 않는 게 답일까요? 기후변화팀 기민도 기자에게 물었습니다. ⬇️‘난방비 쇼크’에 익숙해져야 하는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