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대대적 개각에도 냉담한 여론…지지율 35% ‘제자리’

대한민국 뉴스 뉴스

기시다, 대대적 개각에도 냉담한 여론…지지율 35% ‘제자리’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3%

개각·자민당 인사 ‘부정 평가’ 월등히 많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국정쇄신을 위해 지난 13일 대대적인 개각과 자민당 간부 인사를 단행했다. 새로운 기시다 내각의 모습. 총리 관저 누리집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국정쇄신을 위해 13일 대대적인 개각과 자민당 간부 인사를 단행했지만 낮은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데는 실패했다. 요미우리신문은 개각 직후인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 동안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시다 내각의 지지율이 직전 조사와 같은 35%에 머물렀다고 15일 보도했다. 관방장관과 당 간사장 등 핵심 요직을 유임시키며 변화보다 안정을 택한 인사 기조에 대한 부정 평가가 높은 것이 핵심 원인으로 꼽힌다. 전체 각료 19명 중 13명을 새 인물로 채운 이번 인사에 대해 부정 평가한다는 응답이 50%로 ‘긍정 평가’에 견줘 두배 가까이 높았다. 여성 각료가 현재 2명에서 5명으로 늘어난 것에는 72%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당의 핵심 요직인 간사장과 선거대책위원장 등 개별 인사에 대한 불만이 컸다.

기시다 총리가 야심차게 발탁한 오부치 유코 신임 선거대책위원장에 대해서도 부정적 평가가 44%로 긍정 평가를 웃돌았다. 요미우리신문은 “오부치 위원장의 경우 정치 자금 문제로 경제산업상을 그만둔 것과 관련해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고 전했다. 기시다 총리에 대한 불신도 큰 상태다. 기시다 총리가 얼마나 계속했으면 좋겠다는 질문에 임기가 끝나는 ‘내년 9월까지’ 54%, ‘당장 바꿨으면 좋겠다’는 27%로 연임에 반대하는 여론이 80%를 넘었다. ‘가급적 길게’라는 응답은 14%에 머물렀다. 특히 당장 교체를 선택한 응답이 지난 5월에 견줘 12%포인트나 늘었다. 기시다 내각이 우선시 하기 원하는 정책으로는 경기와 고용, 고물가 대책 등 경제 문제를 꼽은 이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 뒤로는 저출산 대책, 연금 등 사회보장 등이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본 여성 외무상 21년 만에 등장…기시다, 대대적 개각일본 여성 외무상 21년 만에 등장…기시다, 대대적 개각핵심 요직 관방장관·자민당 간사장 유임“내년 총재 선거 재선 굳히기 인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시안컵 결과로 평가해달라” 클린스만의 선택은 정면 돌파“아시안컵 결과로 평가해달라” 클린스만의 선택은 정면 돌파“한국서 많이 기다린대서 들어와”여론 악화 의식, 일정 바꿔 입국“팀 내부적으로 강하게 뭉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 새 내각, 대북·대중 외교 강온 균형 맞추나?日 새 내각, 대북·대중 외교 강온 균형 맞추나?[앵커]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대규모 개각을 통해 꾸려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시다 일 총리 “자위대 근거 마련하는 개헌은 매우 중요한 과제”기시다 일 총리 “자위대 근거 마련하는 개헌은 매우 중요한 과제”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자위대의 헌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개헌 작업을 매우 중요한 과제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대적' 외치고 '무늬만' 개선…예술 요원 병역 특례 그대로'대대적' 외치고 '무늬만' 개선…예술 요원 병역 특례 그대로지금은 없던 일이 됐고, 이미 멤버 일부가 군 복무 중이긴 하지만 그룹 BTS의 군 면제 문제가 한동안 뜨거웠죠. 군 복무를 아예 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29 06:2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