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소득금액 조정 따라 인상직장인은 회사와 절반씩 부담
직장인은 회사와 절반씩 부담 국민연금 보험료를 산정하는 기준소득금액이 오르면서 오는 7월부터 보험료가 최대 월 1만8000원 인상된다. 30일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월 소득이 637만원 이상인 가입자의 월 보험료는 기존 55만5300원에서 57만3300원으로 1만8000원 오른다. 이는 올해 기준소득월액 상한액과 하한액이 조정된 데 따른 것이다.국민연금 보험료는 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에 보험료율인 9%를 곱해 매긴다.직장가입자는 회사와 절반씩 보험료를 부담한다. 이 때문에 월 최대 9000원 수준에서 보험료가 오른다. 반면 지역가입자는 인상된 보험료 전액을 본인이 내야 한다.
사회보험인 국민연금은 상·하한선을 정해두고 일정 수준에서만 보험료를 부과한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인 월 637만원 이상의 소득이 있더라도 월 소득을 637만원으로 가정하고 보험료를 산정한다는 의미다.기존 상한액 617만원과 새 상한액 637만원 사이에 있는 가입자는 월 소득에 따라 월 0원~1만8000원 미만으로 보험료가 오른다. 기존 상한액과 새 하한액 사이에 있는 가입자는 보험료 변동이 없다.지난해 9월 65만4471원이었던 노령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급액은 올해 1만5052원 올라 66만9523원이 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직장인 국민연금 보험료 7월부터 최대 1만8000원 인상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과 하한액이 조정되면서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최대 월 1만8000원까지 인상될 예정이다. 직장인은 회사와 반으로 보험료 부담을 나누기 때문에, 본인 기준으로 월 9000원 인상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연금 보험료 7월부터 월 최대 1만8000원 올라··· 소득 수준 따라 안 오를 수도국민연금 보험료를 책정하는 기준소득금액이 달라지면서 오는 7월부터 보험료가 최대 월 1만8000원 오른다. 직장인 기준 보험료는 최대 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연금 보험료 7월부터 月 최대 1만8000원 오른다올해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인 월 637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더라도 월 소득이 637만원이라고 가정하고 보험료를 거둔다는 뜻이다. 정부는 매년 국민연금심의위원회를 열어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 평균소득의 최근 3년간 평균액(A값) 변동률에 맞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을 조정한다. 기존 상한액인 월 617만원과 새 상한액인 637만원 사이의 가입자도 자신의 월 소득에 따라 '0원' 초과에서 월 1만8000원 미만 사이에서 보험료가 오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연금 보험료, 7월부터 최대 1만8000원 인상기준소득금액 조정으로 국민연금 보험료가 7월부터 최대 월 1만8000원까지 인상됩니다. 월 소득 637만원 이상 가입자의 보험료가 가장 크게 인상되며, 직장가입자는 회사와 절반씩 부담합니다. 반면 지역가입자는 인상된 보험료 전액을 본인이 지불해야 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국민연금액, 물가 상승률 맞춰 2.3%↑…기초연금도 오른다국민연금 보험료를 산정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은 오는 7월부터 기존 대비 각각 20만원·1만원 상향된다. 올해는 지난해 소비자 물가변동률인 2.3%를 반영해 현재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수급자 약 692만명의 연금액을 이달부터 인상한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정하는 기준인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617만원에서 637만원으로, 하한액은 39만원에서 40만원으로 조정된다. - 국민연금,기초연금,연금액,연금 보험료,기준연금액,기준소득월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설연휴 병의원·약국 이용때 본인부담 진료비 30∼50% 더 낸다(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이번 설 연휴에 병의원이나 약국을 이용하면 평일보다 본인 부담 진료비를 30∼50% 더 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