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원 버스에 서서 멀미를 참으며 멍하니 창밖을 바라보다 생각했다. “너무 힘들다.” 그리고 또 생각했다. “그런데 이거 기사 되겠는데.” 📝 김연희 기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쏘아 올린 장애인 이동권 문제는 대학 언론인들 사이에서도 단연 화두였다.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응모작 가운데 상당수가 배리어프리 이슈를 다루었다. 최종 수상작 6편 중 3편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조명했다. 매체마다 접근법은 달랐다. 서울대 〈대학신문〉은 휠체어를 타고 시내를 이동하는 서울과 도쿄 대학생의 하루를 비교했다. 부산대 〈채널PNU〉는 제보에서 출발해 교내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작했다. 경상국립대 〈개척자〉는 진주를 대표하는 ‘남강 유등축제’의 배리어프리 실태를 조사했다. 2022년 1월부터 11월까지 나온 보도물을 대상으로 한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에는 취재보도 90편, 뉴커런츠 14편, 방송·영상 11편, 사진·그래픽 13편, 특별상 5편으로 총 133편이 출품되었다. 〈시사IN〉 편집국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1심, 팀장급 기자들이 평가하는 2심을 거쳐 14편이 최종 심사에 올랐다.
https://sgunews.sogang.ac.kr/front/cmsboardview.do?currentPage=1&searchField=ALL&searchValue=&searchLowItem=ALL&bbsConfigFK=3611&siteId=sgunews&pkid=885549 ■ 취재보도 심사평 꼼꼼하고 참신한 시선으로 이동권·기숙사 문제를 짚다 최지향 〈서강학보〉의 ‘경인 지역 대학생, 기숙사 들어가기 어려운 이유 있었다’ 보도는 대학 사회에서 익숙한 기숙사 문제를 다루긴 했지만, 그간 논의되지 않았던 경기·인천 지역 대학생의 불이익에 집중했다. 참신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배상'이라 왜 말 못 하나?…강제동원 특별법 제정하라'대법원 판결로 배상이 확정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 외에 다른 피해자와 유족들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가 오늘 처음 마련됐습니다. 이들은 포괄적인 배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조속히 특별법을 만들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산대 배리어 지도 제작하고, 휠체어로 직접 다녀보고 [대학기자상]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쏘아 올린 장애인 이동권 문제는 대학 언론인들 사이에서도 단연 화두였다.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응모작 가운데 상당수가 배리어프리 이슈를 다루었다. 최종 수상작 6편 중 3편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조명했다. 매체마다 접근법은 달랐다. 서울대 〈대학신문〉은 휠체어를 타고 시내를 이동하는 서울과 도쿄 대학생의 하루를 비교했다. 부산대 〈채널PNU〉는 제보에서 출발해 교내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작했다. 경상국립대 〈개척자〉는 진주를 대표하는 ‘남강 유등축제’의 배리어프리 실태를 조사했다.2022년 1월부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성애 부부 자녀 대법원 판결로 국적 상실…'매우 불행'동성애 자녀 국적 아들 동성애 부부의 아들이 대법원의 판결로 국적을 상실하게 됐다고 AFP 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6만원 탓에 16만원 토한다…'연금 올리지 말라' 원성 왜 | 중앙일보피부양자에서 탈락하면 지역 건보 가입자가 되는데, 소득 건보료뿐만 아니라 재산에도 건보료를 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