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이 직접 휠체어를 탄 채 캠퍼스를 돌아다녀보고, 교내 배리어 지도를 완성했다. 부산 지역에서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 앱을 개발한 단체도 취재했다. 📝 김연희 기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쏘아 올린 장애인 이동권 문제는 대학 언론인들 사이에서도 단연 화두였다.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응모작 가운데 상당수가 배리어프리 이슈를 다루었다. 최종 수상작 6편 중 3편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조명했다. 매체마다 접근법은 달랐다. 서울대 〈대학신문〉은 휠체어를 타고 시내를 이동하는 서울과 도쿄 대학생의 하루를 비교했다. 부산대 〈채널PNU〉는 제보에서 출발해 교내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작했다. 경상국립대 〈개척자〉는 진주를 대표하는 ‘남강 유등축제’의 배리어프리 실태를 조사했다. 2022년 1월부터 11월까지 나온 보도물을 대상으로 한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에는 취재보도 90편, 뉴커런츠 14편, 방송·영상 11편, 사진·그래픽 13편, 특별상 5편으로 총 133편이 출품되었다. 〈시사IN〉 편집국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1심, 팀장급 기자들이 평가하는 2심을 거쳐 14편이 최종 심사에 올랐다.
유튜브 영상: https://youtu.be/gWUFeDr0MBs ■ 취재보도 부문 심사평 꼼꼼하고 참신한 시선으로 이동권·기숙사 문제를 짚다 최지향 〈채널PNU〉의 ‘배리어프리’ 기획보도를 두고 심사위원들은 충실하고 짜임새 있는 보도라고 입을 모았다. 장애인 이동권이 사회적 의제로 떠오른 상황을 반영하듯 학내 배리어프리 이슈를 다룬 출품작이 다수 있었으나 〈채널PNU〉의 보도는 그중 단연 돋보였다. 이 보도의 가장 큰 장점은 꼼꼼한 취재에 있다. 〈채널PNU〉는 휠체어 이용의 어려움을 일화적으로 서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학내 시설을 샅샅이 살펴 단차, 좁은 통행 폭, 부실한 바닥마감, 높은 경사로 인해 휠체어 이동이 어려운 지점 137곳을 특정한 후, 이에 바탕해 교내 배리어 현황을 지도로 그려냈다. 데이터에 기반을 둔 휠체어 이동경로 안내 앱 개발업체를 취재해 소개함으로써 장애인 이동권 해결 방안에 대해 고심했다는 점에서도 훌륭 평가를 받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위기와 설렘 속에서 ‘배리어’를 저격하다 [대학기자상]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쏘아 올린 장애인 이동권 문제는 대학 언론인들 사이에서도 단연 화두였다.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응모작 가운데 상당수가 배리어프리 이슈를 다루었다. 최종 수상작 6편 중 3편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조명했다. 매체마다 접근법은 달랐다. 서울대 〈대학신문〉은 휠체어를 타고 시내를 이동하는 서울과 도쿄 대학생의 하루를 비교했다. 부산대 〈채널PNU〉는 제보에서 출발해 교내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작했다. 경상국립대 〈개척자〉는 진주를 대표하는 ‘남강 유등축제’의 배리어프리 실태를 조사했다.2022년 1월부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로또 당첨됐어' '암 걸렸어'…이런 연락 다 스토킹입니다 | 중앙일보어디까지 재회 노력으로 봐줄 수 있고, 어디서부터 스토킹이 되는 걸까요.\r스토킹 범죄 연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내 독살살인 혐의로 체포된 치과의사…경찰 '계획범죄'치과의사 아내 독살 살인 40대 치과의사가 아내를 독살한 혐의로 체포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