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사업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기업은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r롯데 중국 철수 궈차오\r
국내 유통·패션 업체가 중국 내수 사업을 속속 정리하고 있다. 롯데는 중국에 하나 남아있던 백화점을 정리 중이고, 화장품·패션 업체도 하나둘 현지에서 철수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2008년 중국 시장에 처음 진출한 이후 톈진과 웨이하이, 청두, 선양 등지로 지점을 확장했다. 그러나 2017년 시작된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치로 사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현지 매장을 정리해왔다. “제로 코로나19 정책도 악재” 아모레퍼시픽도 중국 사업을 축소하고 있다. 이 회사가 운영하는 에뛰드하우스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 있는 모든 오프라인 매장을 접었고, 헤라도 철수했다. ‘이니스프리’는 280개였던 중국 내 매장 중 절반을 올해 안에 철수하기로 했다.실적도 하락세다. 아모레퍼시픽이 최근 발표한 2분기 실적에 따르면 중국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 이상 줄었다. 제로 코로나19 정책에 따라 상하이 등 주요 도시 봉쇄 조치로 생산, 물류 및 매장 운영이 제한된 영향이 컸다. 중국 토종 브랜드의 약진과 젊은 층을 중심으로 불고 있는 ‘궈차오’ 열풍도 원인으로 꼽힌다.
中 진출 기업 55.3% “사업 축소·중단 고려” 이처럼 중국에서 사업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기업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가 지난 6월 중국에 진출한 177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55.3%는 향후 중국에서 사업 축소·중단·철수·이전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응답 기업 중 97.4%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고, 95.5%는 매출 감소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대중국 수출 실적도 좋지 않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날 ‘최근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 진단’ 보고서를 통해 “애국주의 성향을 띄는 중국의 20~30대를 중심으로 자국산 소비가 확산하면서 중국으로 화장품 수출이 11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특히 수출의 85%를 차지하는 기초화장품 수출이 20.6% 급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 망한 청나라 같아'…중국, '인플레 감축법'에 날 선 비판, 왜인플레이션 감축법은 바이든 대통령 대선 공약인 '더 나은 재건' 법안의 축소·수정판입니다중국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논두렁에 반쯤 빠진 장갑차…'이게 군대냐' 말 나온 사진 두장이 게시물에는 '이거 이래도 제재 안 먹어' '어질어질' 등 비판 댓글이 달렸습니다.군 군대 육대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강제징용 보상, 일본 우려하는 주권충돌 없도록'윤 대통령 '강제징용 보상, 일본 우려하는 주권충돌 없도록' 윤석열_대통령 한일관계 과거사 강제징용_피해자_배상 이경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난·취업난에서 도망치고 싶은 사람들은 어떻게 됐을까죽기 전에 북한에 두고 온 처자식을 만나려 했던 채 씨는 어떻게 됐을까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기현 '이준석 가처분 기각될 것…법원 개입은 웃기는 얘기''전문가적 시각에서 봤을 때 가처분이 인용될 수가 없다'며 이렇게 밝혔습니다.국민의힘 김기현 이준석 가처분신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