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석문 축산단지 반대여론 거세지자 충남도 '중국 축산 단지 답사' 추진
당진시민들의 반대가 거세지자 충남도는 축산단지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 도의원, 충남도 관계자 등과 함께 중국 축산단지 혹은 축산빌딩 현장 방문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현지 방문을 계기로 비판 여론을 잠재우겠다는 복안으로 해석된다.취재를 종합하면, 충남도의 축산단지 건설 계획은 각지에 산재한 시설이 열악한 돈사들을 한 곳으로 모아 관리하고 악취 민원을 해소하겠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축산단지 규모는 최소 3만~6만 두에서 최대 30만 두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대규모 축산단지는 공산국가에서나 가능한 일"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축산 단지화를 강행할 경우 방역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데다, 사료 선택과 경영 방식 등 양돈업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충남도의 축산단지 건설 계획에 대해 당진 시민들뿐 아니라 양돈업계에서도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중국의 축산단지 모델을 국내에 적용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다는 것이다.양돈업계 관계자 A씨는"돼지는 산업 동물이다. 사업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위생과 질병 문제이다"라며"농장이 한곳에 모일 경우, 위생과 질병 대응 등 관리 수준이 오히려 하향 평준화될 수 있다. 1990년대에도 양돈 단지 건설을 시도했다가 실패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축산단지를 졸속으로 진행해선 안된다. 실패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단일 경영체로 3만두 수준의 단지를 건설하는 것은 가능할 수 있다"라며"하지만 개별 농장이 모인 30만 두 규모의 축산단지는 현실적으로 성공 가능성이 거의 없다. 양돈업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는 농장주라면 축산단지에 입주를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중국도 대형 축사를 짓고 초기에는 질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정이 달라진 것으로 안다"라며"방역 문제는 거의 신의 영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그만큼 완벽한 방역이 어렵다는 뜻이다"라고 지적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당진시민들 '간척지에 대규모 축산단지, 절대 허용해선 안돼'반대 여론 커지는 지역사회... 시민들 농식품부 방문해 반대 의견서 전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 담배 안피는 슈퍼건강체야”…974만원 보험료 절감한 김과장, 건강할인 아시나요?보험사 건강체 할인 특약 최대 40% 보험료 할인 종신·정기·건강보험 대상 기존 가입자도 소급 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업계 '다시 물꼬 튼 K칩스법 국회서 막히면 투자 물줄기 마를 것''투자세액공제 일몰 연장3년이상 해야 전략수립 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파서 병원오니 웬 외국인이?…“제가 의사인데요”‘외국 의사’ 다음주 진료 시작 소통 가능 조건·전공의 업무 대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명품 옷가게부터 길거리 음식점까지...전자결제가 인도 휩쓰는 이유는? [★★글로벌]600개 은행과 핀테크업체서 즉시 송금 가능 지난해 전자결제 거래 건수 1000억건 돌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빠도 눈치 안보고 육아휴직 씁니다”...달라진 포스코, 4배 늘었다자녀당 최대 2년까지 휴직 가능 휴직 기간도 근속 연수로 인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