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명의 사상자를 낸 '가습기살균제 사건'으로 재판에 넘겨진 제조·판매업체 관계자들에게 유죄가 선고된 원심이 대법원에서 뒤집혔다. 대법원은 성분이 다른 가습기살균제 제조·판매회사를 공동정범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애경·SK케미칼, 공동정범 으로 보기 어렵다” 파기환송 대법원 전경. 한수빈 기자 98명의 사상자를 낸 ‘ 가습기살균제 사건’으로 재판에 넘겨진 제조·판매업체 관계자들에게 유죄가 선고된 원심이 대법원 에서 뒤집혔다. 대법원 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26일 업무상 과실치사 등 혐의로 기소된 홍지호 전 SK케미칼 대표와 한순종 전 SK케미칼 상무, 안용찬 전 애경산업 대표에게 금고 4년형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에 돌려보냈다. 1심에서 무죄 선고가 나왔다가 항소심에서 유죄 판결이 나왔는데 대법원 에서 다시 뒤집힌 것이다. 성분이 다른 가습기살균제 제조·판매회사를 공동정범 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파기환송 의 취지다. 홍 전 대표 등은 독성 화학물질을 이용한 가습기살균제 제품 ‘가습기메이트’의 안전성을 검증하지 않고 제조·판매해 98명의 사상자를 낸 혐의로 2019년 7월 기소됐다. 1심은 이들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가습기메이트 주원료인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과 폐질환의 연관성을 입증할 연구결과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2심에선 유죄로 뒤집혔다. 2심 재판부는 CMIT·MIT 성분 가습기살균제와 폐질환 간 인과관계를 인정하고 가해기업들이 안전성을 검증할 주의의무까지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 피해뿐 아니라 그간 겪었던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거듭 호소하며 피고인들에 대한 엄벌을 호소했고, 현재까지도 피해의 완전한 회복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피고인들은 그 책임에 따른 엄정한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대법원은 성분이 다른 가습기살균제 제조·판매회사를 공동정범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피고인들이 제조·판매에 관여한 가습기살균제의 주원료와 이번 사고와 관련이 있는 주원료 CMIT·MIT는 주원료의 성분과 채내분해성, 대사물질이 전혀 다르다고 봤다. 또 가습기살균제에 결함이나 하자로 인해 피해자들이 사망 혹은 상해사고를 예측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과실범의 공동정범 성립을 인정한다면, 인터넷망 등을 통해서 국경을 초월한 상품의 구매·소비가 용이하게 이뤄지는 현대사회에서 상품 제조·판매자들 등에 대한 과실범의 공동정범 성립범위가 무한정 확장된다”고 밝혔다. 대법원 관계자는 “성분이 다른 가습기살균제 제조·판매회사와의 공동정범은 성립하기 어려우므로, 이 사건 가습기살균제만으로 복합사용 피해자들의 사망 또는 상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더 심리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 점에서 무죄 취지로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법원, 1964년 성폭력 저항 혀 깨물었다 징역 판결 최말자씨 재심개시 파기환송1964년 성폭력 가해자에게 저항하다 혀를 깨물었다는 이유로 중상해죄 판결을 받은 최말자(78)씨에 대한 재심개시 기각 결정이 지난 18일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됐다. 최씨는 20일 오전 서울 중구 상연재에서 한국여성의전화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사실을 알리고 감사를 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6년만의 미투' 최말자씨 재심 길 열려... 대법원 파기환송10대 때인 1964년 자신을 성폭행하려던 가해자의 혀를 깨물었다가 상해를 입혔다는 이유로 오히려 징역형을 받은 한 여성이 있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뒤바뀐 삶을 살아야 했던 그는 70살이 넘어서야 여성단체의 도움을 받아 재심청구 절차를 밟을 수 있었다. 정당방위를 인정해달라는 간절한 요구에도 부산지법과 부산고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법원, 1964년 '혀 절단 사건' 최씨 재심 결정 파기최말자 씨의 재심 청구를 다시 검토하도록 부산고법으로 사건을 돌려보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헌재, 탄핵심판 사건 ‘송달 간주’ 근거 “우편송달 수령 없어도 효력 인정” 대법원 판례헌법재판소가 23일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한 탄핵심판 관련 서류 송달을 ‘송달 간주’로 결정하면서 탄핵심판 열차를 출발시켰다. 헌재는 윤 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법원, 간호사 골수검사 허용 판단… 의료계 논란대법원이 간호사의 골수 검사가 의사만의 업무가 아니라고 판단하며 의료계에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의사들은 간호사의 업무 범위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는 반면, 간호사들은 새로운 업무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는 찬성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내년 시행을 앞둔 간호법 시행령 제정 과정에서 간호사의 업무 범위, 특히 침습적 행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법원, 60년 만의 재심 기회 주어1964년 성폭력 가해자 저항으로 중상해죄 판결받은 최말자씨 재심개시 기각 결정 파기환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