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이 세입자가 임대차 계약갱신을 요구한 이후 그 집을 산 새 주인도 실거주를 이유로 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다는 판결을 냈습니다.아파트 임대차 계약갱신 대법원
19일 대법원 3부는 임대인 A씨가 임차인 B씨를 상대로 낸 건물인도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중앙지법으로 돌려보냈다고 밝혔다.
B씨는 C씨가 소유한 아파트를 2019년 4월부터 2년간 임차하는 계약을 맺은 뒤 해당 주택에 거주해왔다. 그로부터 1년3개월 뒤인 2020년 7월 아파트의 주인은 C씨에서 A씨로 바뀌었다.A씨는 2020년 10월 아파트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뒤"실거주해야 한다"며 B씨를 상대로 아파트의 인도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2심 재판부는"B씨가 임대차 계약갱신을 요구할 당시 A씨는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않아 임대인의 지위에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임대인의 '실거주'를 이유로 한 계약갱신 거절 가능 여부는 임차인이 계약갱신을 요구할 당시의 임대인만을 기준으로 봐야 한다는 취지다.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정한 기간 내라면 집주인뿐 아니라 집주인의 지위를 승계한 양수인도 임차인의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다고 봤다.
A씨는 임대차계약이 끝나기 6개월 전인 2020년 10월 실거주를 목적으로 한 갱신거절권을 행사했다. 대법원은"'임대인'을 임차인이 갱신을 요구할 당시의 임대인만으로 제한해 해석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판단했다.대법원 관계자는"갱신거절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 내에는 임대인이 실거주를 이유로 임차인의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고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양수인도 그 주택에 실거주하려는 경우 갱신거절 사유를 주장할 수 있다는 법리를 최초로, 명시적으로 설시했다"고 설명했다.하수영 기자 ha.suyoung@joongang.co.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연장 또 연장'에 민생은 뒷전...예산안 처리 언제쯤?[앵커]연장에 연장을 거듭한 내년 예산안 협상이 여전히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습니다.여야의 샅바 싸움에 민생은 뒷전으로 밀렸다는 비판을 피하긴 어려워 보입니다.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여야가 내년 예산안 처리 시한을 미룬 건 벌써 세 번째입니다.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 건의안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집주인 연락이 안돼요' 출범 두달만에 1000명 넘게 찾은 곳 | 중앙일보지역별로는 서울이 585건(55%)으로 피해 접수 비중이 높았고 인천(18%)이 뒤를 이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명희 회장 집, 20억 올랐는데...되레 종부세 1억 줄어든 까닭 | 중앙일보이 집은 용산구 한남동 대지 1700여㎡에 2011년 지은 연면적 2800여㎡의 1층짜리 철근콘크리트 주택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 건보료 내년 17.6% 오른다고? '여야 대치' 국회 뜻밖의 파장 | 중앙일보국회는 지난 15년간 해당 조항의 일몰규정을 세 차례 연장하며 건보료 인상을 막아왔습니다.\r국민건강보험 건보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번아웃'에 사표 던진 흉부외과 전공의…'운명' 외치며 돌아온 사연 | 중앙일보병원 문을 나선지 1년 3개월 만에 흉부외과로 다시 돌아온 이유는 뭘까요.\r서울대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UN까지 '언론 자유 위협' 비판하자...머스크, 기자들 계정 복구한다 | 중앙일보전날 ‘지금’ 복구와 ‘일주일 뒤’ 복구를 두고 투표를 진행했습니다.\r트위터 일론머스크 계정정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