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서 누가 누굴 가르쳐?'…사범대 쓰레기통에 '경악'

대한민국 뉴스 뉴스

'이래서 누가 누굴 가르쳐?'…사범대 쓰레기통에 '경악'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SBS8news
  • ⏱ Reading Time:
  • 2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63%

'이래서 누가 누굴 가르쳐?'…사범대 쓰레기통에 '경악' SBS뉴스

지방의 한 국립대 사범대에서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은 모습이 공개되면서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이번 주말 사범대 쓰레기통 근황'이라는 글과 사진 한 장이 올라왔습니다.쓰레기 문제가 이슈가 되자 사범대 학생회 측이 나서 긴급 공지를 했는데요.

"사범대 건물에 악취가 나고 음식물 쓰레기 무단 배출로 정화조가 막히면서 사범대 건물 전체 화장실을 쓸 수 없게 됐다"면서"미화원분들이 계시지만,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쓰레기로 얼마나 힘드실지 가늠조차 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이어"학생회 차원에서 쓰레기통 증설 등 조치를 행정실에 요청하겠다"면서 '나 하나쯤이야 괜찮겠지'라는 생각을 버리고 쓰레기 배출을 제대로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누리꾼들은"저런 학생들이 교사가 된다는 건가","학생들이 알아서 치우라 해라 미화원분들은 무슨 죄냐","쓰레기통 찼으면 다른 곳에 버려야지 계속 쌓는 게 말이 되냐"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SBS8news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폭증한 김건희 여사 일정·사진에 “누가 이 나라 대통령이냐”폭증한 김건희 여사 일정·사진에 “누가 이 나라 대통령이냐”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최근 부쩍 늘어난 공개 행보가 논란이다. 대통령이 책임있게 해야 할 법한 발언을 하는가 하면, 대통령실이 상이군경의 자녀를 안고 있는 김 여사의 사진 등 논란이 되는 사진도 게재하는 등 조용한 내조를 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야당은 정책으로 해결해야 할 일을 김 여사가 언급한 것을 두고 대체 대통령이 누구냐고 따지기도 했다.김건희 여사의 공식일정을 보면, 이달 들어서만 11건, 지난달 31일 순천만 국제정원 박람회와 수산인의 날 기념식까지 포함하면 14건의 일정을 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받았는데 누가 쫓아와서 불편'…캠프서도 '은밀하게' 전달[단독] '받았는데 누가 쫓아와서 불편'…캠프서도 '은밀하게' 전달■ JTBC 뉴스룸이 단독 보도한 '돈 봉투 전대' 녹취파일의 저작권은 JTBC에 있습니다. 인용보도시 'JTBC 뉴스룸' 출처를 분명하게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건희 여사 광폭행보에 민주당 '누가 이 나라 대통령인가?'김건희 여사 광폭행보에 민주당 '누가 이 나라 대통령인가?'김건희 여사 광폭행보에 민주당 '누가 이 나라 대통령인가?' 김건희_여사 민주당 박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민정 '김건희 여사 지난주만 일정 7건…누가 대통령인가' | 중앙일보고민정 '김건희 여사 지난주만 일정 7건…누가 대통령인가' | 중앙일보'대통령이 몇 명인지 모르겠다'\r고민정 김건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르륵' 창문 열더니 손을‥왜 그랬냐 했더니 변명도 '노답''스르륵' 창문 열더니 손을‥왜 그랬냐 했더니 변명도 '노답'긴 패딩을 입은 남성이 담벼락 사이를 걸어 들어갑니다. 누가 따라오는지 돌아보더니 익숙한 듯 창문 앞에 섭니다. 쇠창살 안으로 이리저리 손을 넣어보는 남성. 곧 창문을 열어 방 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주에 한 번만 맞으면 체중감량?…선풍적 인기에 우려도1주에 한 번만 맞으면 체중감량?…선풍적 인기에 우려도SNS를 통해 오늘 하루 관심사와 누리꾼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최근 미국에서는 주사형 비만치료제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31 01:4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