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물질의 검사를 담당할 연구원 채용은 매우 어렵고 채용해도 이탈이 잦은 상황입니다.
환경부, 처우 개선 위해 수당 신설 등 노력통합관리사업장 사후관리를 맡은 전문연구원들은 굴뚝에 난 측정공까지 올라가 시료를 채취한다. 사진은 3월 A시에 위치한 한 소각장 굴뚝 측정공 높이에서 내려다본 모습. 오지혜 기자
B연구사는 발전소, 소각장, 철강·화학 공장 등 대형 사업장에서 기준치 이상의 대기오염물질이 나오는지 검사하는 일을 한다. 오염물질의 측정·분석을 위해 직접 굴뚝에 올라 시료를 채취하는 것도 그의 업무다. 그런데 무거운 장비를 안고 위험천만한 굴뚝을 오르내려야 하는 데다 처우도 열악해 함께 일하던 동료 여럿이 그만뒀다. B연구사도 원래 이 업무 담당자가 아니었지만, 인력 부족으로 손을 보탠 지 오래됐다. 관리해야 할 사업장은 크게 늘고 있지만, 오염물질의 검사를 담당할 연구원채용은 매우 어렵고 채용해도 이탈이 잦은 상황이다. 이는 열악한 처우와 노동 환경 때문이다. 계약직인 이들은 각 급에 따라 화학·화학공학·환경 등 관련 분야의 학위와 기사·환경측정분석사·산업기사 등 자격증이 필요하다. 둘 중 하나만 필요한 직급은 가장 낮은 '마'급뿐이다. 갖춰야 할 자격 수준이 높지만 수당을 뺀 월 보수는 200만~300만 원 정도다. C연구원은"박사 학위가 있어도 연봉이 3,500만 원 수준인데, 민간업체로 나가면 두 배씩 뛴다"면서"지원자가 없어 퇴사자보다 직급 수준을 낮춰 채용 공고를 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B연구사는"여성 한 명이 지나가기 힘들 정도로 계단이 좁고, 구조상 몸을 숙여 지나가야 하는 곳도 있었다"며"보통 35종 물질 분석 기준으로 한 사업장 채취에 2, 3일 정도 걸리는데 하루에 4, 5번씩 오르내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14번의 공고 끝에 채용한 D연구원은"부모님이 걱정하실까 봐 어떤 일을 하는지 설명을 안 했다. 출장을 많이 다닌다는 정도만 아신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뉴스라이더] '밀린 방값 주세요' 문 열어보니 날파리만 들끓었다[앵커]사진부터 보시죠.먹다 남은 컵라면과 과자 쓰레기가 널브러진 곳.어디인지 가늠도 안 되시죠?모텔방입니다.장기 투숙객에게 빌려줬는데, 방값이 밀려서 올라가 보니 이 상태였던 겁니다.1년 반 정도 장기 투숙한 이들, 두 달 전부터 방값이 밀리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일주일 전쯤부터는 두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동규 '李 시장 되면 10억 만들기로…포섭에 써'유동규 이재명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 선거를 준비할 당시 측근들이 10억원의 정치자금을 조성하기로 합의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산시, '유기물 함량 부적합' 토지개량 부숙토 업체 고발서산시, '유기물 함량 부적합' 토지개량 부숙토 업체 고발 서산시 형사고발 부적합부숙토 신영근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무나 채취할 수 없는, 천혜의 미역을 아십니까아무나 채취할 수 없는, 천혜의 미역을 아십니까 돌미역 창경바리 수확한창 진재중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굴뚝만 우뚝' 6만불 대기업 도시 울산 떠나는 젊은 여성, 왜 | 중앙일보'일자리가 다른 지방보다 충분하다지만...'\r울산 직장 도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