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희와 그의 문학이 있어 우리 시대가 ‘연대라도 한 것처럼 잘 단결해’ 부끄러움에 아주 무감하지만은 않았을 것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 이수경 소설가가 쓴 조세희 선생 추모글 중에서newsvop
‘이 영토는 죽어 떠나온 영혼들이 살아있는 사람들과 함께 꿈꾸어 온 세상, 억울하게 죽는 이 없고, 노동하며 죽지 않고, 가난과 차별에 고통받지 않고, 무분별한 개발과 전쟁으로 자연과 인간을 파괴하지 않는 세상을 위해 존재할 것이다.’
뉴스도, 자주 가던 SNS도 보지 않고, 영혼들의 긴 이야기를 쓰고 있었다. 마석 모란공원 민족민주열사묘역으로 떠난 이들과 여기 남아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였다. 영혼의 말을 받아쓰고 나서 산 사람의 말을 쓰려고 잠시 숨을 고르고 있을 때, 동료작가에게서 연락이 왔다. 그도 ‘작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쓴 소설가였다. 말을 하지 않아도 늘 마음을 알아줄 것만 같은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이라서 내가 아무것도 모르고 있던 그 시간, 나에게 연락을 했을 것이다. 소설을 쓰는 사람인 내게 그분이 어떤 존재인지 그는 알고 있을 테니까.선생님 떠나고 나서야 고백한다
‘조세희 선생님이 돌아가셨다’고 그가 말했다. 2022년 12월 25일, 7시 무렵이었다고 했다. 3시간이 지나 친구의 연락을 받고서야 나는 선생이 세상을 떠나신 것을 알게 되었다.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후 그에게 메시지를 썼다. 심장이 아프다고. 마음 말고 진짜 심장이 아팠다. 그가 전해준 부고가 마음 까지 닿을 틈도 없이, ‘슬픔’이라는 언어를 떠올릴 새도 없이, 몸부터 아팠다. 아픈 곳에 손을 얹고 몸을 떨면서 우두커니 앉아 있던 20여 분이 세상에서 사라진 시간인 듯 현실감이 없었다. “나도 아파. 우리 선생님이잖아.” 그가 말했다. “그래, 우리 선생님······” 나도 그에게 말했다.한 번도 그분을 만난 적이 없었다. 멀리서 본 적도 없었다. 펜을 꺾어버린 손에 카메라를 들고 서 계셨을 노동자의 거리와 농민의 거리와 작은 사람들의 거리에서 한 번쯤은 마주쳤을지도 모르는데, 바람결에도 그분의 소식을 들은 적이 없었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이후의 긴 침묵과 그보다 더 긴 절필을 나는 사랑했다고 고백한다. ‘난장이 연작’과 같은 소설이 있었기에 나도 소설가가 되었다고 허름한 내 소설집 ‘작가의 말’에 쓴 적이 있지만, 그분의 침묵과 절필에서 문학에 대한 어떤 태도를 얻게 되었는지는 쓰지 못했다. 조세희 선생에게서 배운 바가 있었다면 이토록 함부로 글을 쓰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문학에 ‘난장이 연작’과 같은 작품이 있어 나도 소설을 쓸 수 있었다면, 이제 작가 조세희의 침묵에서 ‘진짜’ 소설가의 자세를 갖게 되길 바랐다고, 선생님 떠나고 나서야 고백한다. 좋은 글을 쓸 자신이 없어 일찍이 작가가 되기를 포기했으나 무시무시한 ‘유신 헌법’ 아래 칼의 시간에 작은 펜을 들고 그토록 담대한 이야기를 써나갔던, 어떤 시간에는 글쓰기에 대한 무서운 욕망을 견뎌내며 자신이 쓴 글을 지켜냈던 소설가 조세희는 ‘우리 선생님’이었다.
서둘러 마음을 꺼내놓고 보니 이제야 슬픔이 느껴진다. 영혼들의 이야기를 쓰고 있어서인지, 2년 전 초여름에 먼저 떠나신 작가 조해일 선생님의 영혼이 벗을 마중 오셨을 것만 같다. 나도 그 길목으로 가봐야겠다. 어떤 종류의 억압과 공포와 불공평도 없는, 맑은 햇빛과 나무와 풀과 사랑과 평화가 있는 나라로 ‘우리 선생님들’ 가시는 길에.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조세희 선생님, ‘난쏘공’ 공감받지 못하는 곳에서 행복하세요”“조세희 선생님은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건 소외받는 인간에 대한 지지와 격려라는 방향성을 안내해 준 깃발 같은 분이셨어요. 인권의 영역이 여성·성소수자 등 다양한 영역으로 퍼져있는 지금도 그 가르침은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난쏘공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리 모두는 난쟁이”…‘난쏘공’ 작가 조세희 잠들다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조세희 작가가 25일 저녁 7시께 별세했습니다. 향년 80.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낙연, ‘난쏘공’ 조세희 작가 별세에 “저희 세대 못남 자책”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25일 별세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조세희 작가와 대표적인 원로 진보 경제학자인 ‘학현(學峴)’ 변형윤 서울대 명예교수에 대해 “저희 세대의 못남을 자책한다”며 애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순에 쇠공 쏘고 떠나다…'난쏘공' 작가 조세희 별세1970년대 도시 빈민의 아픔을 그려낸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작가 조세희 씨가 어제 별세했습니다. 박재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조세희 작가가 지난 4월 코로나에 확진된 뒤 투병해오다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향년 80세로 별세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난쏘공’ 조세희 작가 별세, 그는 떠났지만 그의 질문은 그대로 남았다첫 시작, 시대적 아픔의 상징, 꺾이지 않는 고전, 인생의 전환점, 현재진행형…. ‘나에게 난쏘공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시민들은 저마다의 대답을 내놓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재인 전 대통령 “조세희 별세...‘난쏘공’은 우리 시대 최고 소설”문재인 전 대통령도 오전에 애도글을 남겼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