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삶]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후…어긋난 보통의 나날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후…어긋난 보통의 나날들 뉴스

[책과 삶]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후…어긋난 보통의 나날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4%
  • Publisher: 51%

서울 오아시스 김채원 지음 |문학과지성사 |266쪽 |1만6000원 동우, 석용, 성아는 친구 유림이 자살을 했다는 소식을 듣고 양철 광고...

202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김채원 작가의 첫 소설집 가 출간됐다. 문학과지성사동우, 석용, 성아는 친구 유림이 자살을 했다는 소식을 듣고 양철 광고판 앞에서 만나기로 약속한다. 그들이 만나기로 한 장소는 네 사람이 함께 유년 시절을 보냈던 동네다. 하지만 그들은 유림과의 기억을 떠올리거나 유림의 죽음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그저 같이 걸을 뿐이다. 기억들이 선명히 떠오를 만한 장소들은 일부러 피하는 듯도 하다. “농구대가 눈앞에 나타나면, 농구대의 둥근 테에 매달린 과거의 기억들을 새롭지 않게 떠올릴 수도 있을 것이었다. 탈구된 팔다리. 체육 시간. 푸른 뜰. 철봉들. 작은 아코디언. 배앓이. 식곤증. 포도당 알약들. 그러나 세 사람은 거기까지 걷지 않았다.” 이들은 유림이 살았던 원룸에 유품들을 정리하기 위해 역으로 가다가 누군가 예약해 둔 택시를 발견한다. 그리곤 우발적으로 택시를 빼앗아 타고 얼굴도 모르는 예약자가 설정해둔 목적지까지 가기로 한다.

202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김채원 소설가의 첫 소설집 가 출간됐다. 이 책에는 총 8편의 소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각 작품은 상실 혹은 누군가의 부재로 인해 어긋나 버린 세계의 감각을 섬세하게 탐구하고 있다. 각각 독립적인 작품으로 읽히지만, ‘상실’과 ‘부재’라는 소실집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로 연결돼 있어 연작소설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현관은 수국 뒤에 있다’는 자살한 친구의 부고를 들은 세 친구가 장례식장이 아닌 어딘가로 끊임없이 걸어가며 나누는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들의 대화는 어딘가 어긋난 듯 부조리하게 느껴진다. 독자는 그들의 미로 같은 동선과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따라가며 익숙한 독법으로 죽음의 원인이나 언어로 표현된 선명한 슬픔을 찾으려 한다. 그러나 소설이 전개될수록 독자가 마주하는 것은 자명한 서사가 아닌 상실의 슬픔이 세계를 비틀어 버리고 난 후 남겨진 감각 같은 것들이다. 세 사람은 서로에게 “너무 덥지 않아?” 같은 평소와 같은 질문들을 나눌 뿐 “어떻게 이런 상태를 계속 견딜 수 있는지. 한 번도 원해본 적 없는 시간이 뒤범벅된 얼굴로 온종일 난간에서 떨어지는 공상에 빠지면서도 어떻게 두 발을 움직여 아침부터 저녁까지 걸을 수 있는지” 같은 것들을 묻지 못한다.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동우, 석용, 성아가 나란히 걷는 뒷모습을 보기 위해 썼다.

상실과 부재를 다루는 이 소설집은 가까운 이의 상실을 경험한 인물들이 그 시간을 견디고 지속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슬픔이나 비통함의 정서가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고, 등장인물 간의 대화가 마치 배경음처럼 흘러가기에 소설을 읽어내려가는 게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역설적으로 상실과 부재로 세계가 어긋나버린 순간, 언어가 얼마나 무력해질 수 있는지를 예리하게 보여준다. 작가는 작가의 말을 통해 여덟 편의 소설에 대한 짧은 설명을 덧붙이며, 작품을 쓰는 과정에서 붙들고 있던 질문과 주제의식을 공유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문장과 묘사가 섬세하고 아름다워 어떤 부분은 시처럼 읽히기도 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책과 삶] 지구도 사람도 살리는 ‘똥’ 그 무궁한 이야기[책과 삶] 지구도 사람도 살리는 ‘똥’ 그 무궁한 이야기타인의 몸에서 배출된 물질에 대한 혐오는 생래적인 것이다. 그중에서도 ‘똥’은 더러움의 대명사다. 여러 언어에서 똥과 관련된 비속어를 찾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과 삶] 노벨 문학상·텍스트힙 집어삼킨 계엄…책에서 희망과 위안을 찾았다[책과 삶] 노벨 문학상·텍스트힙 집어삼킨 계엄…책에서 희망과 위안을 찾았다올해 한국 사회는 최고의 시간과 최악의 시간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정점에 올랐던 자긍심은 대통령의 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과 삶] 분명 내 이야기인데 낄 자리가 없다[책과 삶] 분명 내 이야기인데 낄 자리가 없다지난여름 문학계는 일명 ‘정지돈 사태’로 시끄러웠다. 소설가 정지돈씨가 전 연인 김현지씨와의 일화를 당사자와 상의 없이 인용했다는 의혹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과 삶] 지구도 사람도 살리는 ‘똥’···그 무궁한 이야기[책과 삶] 지구도 사람도 살리는 ‘똥’···그 무궁한 이야기타인의 몸에서 배출된 물질에 대한 혐오는 생래적인 것이다. 그 중에서도 ‘똥’은 더러움의 대명사다. 여러 언어에서 똥과 관련된 비속어를 찾...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과 삶] 진주만, 히로시마, 9·11···미국의 ‘전쟁 문화’가 만들어낸 보복의 부메랑[책과 삶] 진주만, 히로시마, 9·11···미국의 ‘전쟁 문화’가 만들어낸 보복의 부메랑2001년 9월11일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 알카에다 조직원들이 납치한 항공기 두 대가 뉴욕시 세계무역센터 빌딩과 충돌했다. 워싱턴에서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람을 안다는 것: 사람을 깊이 이해하는 능력사람을 안다는 것: 사람을 깊이 이해하는 능력데이비드 브룩스의 '사람을 안다는 것'은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타인을 이해하는 사회적 기술의 필요성을 제시합니다. 개인적인 성장과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핵심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5 18: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