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송의 강연 기획 동시 출간48가지 이야기 추려 해설 쓸모 과잉 시대 비판적으로 접근 철학적 사유·나다운 삶으로 안내
철학적 사유·나다운 삶으로 안내 철학자 강신주는 지난 23일부터 교육방송에서 ‘철학 대기획 강신주의 장자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지금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철학서가 ‘장자’라고 말한다. EBS북스 제공철학자 강신주가 다시 대중들 앞에 섰다. ‘거리의 철학자’로 불리며 대중들에게 ‘내 삶의 주인 되기’를 강조해온 그가 이번엔 ‘쓸모 있어야 한다’는 관념에 맞짱을 떴다. 그는 지난 23일부터 교육방송 프로그램 ‘철학 대기획 강신주의 장자수업’을 진행하면서 ‘강신주의 장자수업’이란 책을 함께 내놨다.
그가 보기엔 장자는 국가나 사회에 쓸모가 있어야 한다는 통념을 깨부수고 과연 그 ‘쓸모’가 누구를 위한 ‘쓸모’인지 묻는 혁신적인 사상가다. 장자가 살았던 2500년 전 중국 전국시대는 치열한 경쟁 시대였다. 군주들은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인재 등용에 혈안이었다. 당시 제자백가들은 자신의 말을 따르면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주장했고, 그들은 모두 ‘쓸모 있음’을 강조했다. 전국시대나 지금이나 ‘쓸모 있는 인재가 돼야 한다’는 논리는 비슷한 셈이다.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삶’이 아니라 ‘나의 욕망을 욕망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보는 저자는 무비판적으로 ‘쓸모 있음’만을 지향하다간 지배와 착취를 공고히 하는 지배 체제에 포섭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면서 고전 ‘장자’에 나오는 ‘황천 이야기’를 통해 ‘쓸모없음의 쓸모’를 역설한다. 내가 밟고 있는 쓸모 있는 땅을 제외하고 쓸모없는 땅을 지하 세계 황천까지 파내버린다면 결국 나는 수천, 수만 킬로미터 높이의 꼭대기에 서 있는 형국이 돼 황천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것. ‘쓸모’만을 최고 가치로 여기는 논리를 기가 막힌 비유로 깨버리니 독자는 통쾌함을 느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책&생각] “그자들은 우리 가슴에 증오를 심었어요”전성원의 길 위의 독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생각] 동유럽을 인종민족주의로 몰아붙인 ‘절멸’의 위협중동부 유럽 ‘작은 민족’들의 굴곡 많은 역사 제국 신민에서 민족 상상하고 국가 이뤄냈지만 배타적 이념인 인종주의와도 밀접하게 연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생각]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한반도 미술사의 한 조각재일조선인 3세의 ‘재일조선인미술사’ 해방 이후 60년대까지 미술가·미술 표현 작품집부터 일본 미술과의 교류까지 ‘테마 제작’ 등 정체성 찾기 위한 분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생각] 영원한 빛의 도시 로마의 그늘진 삶들줌파 라히리의 로마 배경 소설집 차별에 시달리는 이주민 애환 부각 라히리의 드문 정치적 목소리 담아 “로마는 여전히 천국과 지옥 사이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백두대간서 만난 자수정색 풍뎅이, 가을 산의 생명력[지리산 이야기] 백두대간 마루금인 운봉고원 수정봉 산행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대법,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교수 무죄 취지 파기환송대법원이 책 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명예훼손한 혐의로 재판에 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