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보니 막부의 마지막 쇼군(將軍) 도쿠가와 요시노부(德川慶喜)에 대해 자주 쓰게 된다. 그에 대한 사료를 읽고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
어쩌다 보니 막부의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대해 자주 쓰게 된다. 그에 대한 사료를 읽고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요즘 워낙 정국이 어수선하다 보니 대정봉환-왕정복고 쿠데타로 이어진 정치 위기와 그 극복의 과정이 여러 가지를 생각나게 해서다.
1867년 11월9일 요시노부는 교토에 있던 각 번의 중신들을 니조성으로 불러 모아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래 약 270년간 행사해온 대권을 천황에게 돌려준다고 선언했다. 페리의 위협 아래 단행된 개항으로 촉발된 정정불안은 이미 극에 달했고, 막부는 수습 능력이 없어 보였다. 여론은 막부의 용단을 강력하게 요구했지만, 권력을 스스로 내려놓은 자는 드문 법, 실현될 거라 기대하는 자는 별로 없었다. 그런데 쇼군 요시노부가 정권이양을 전격 발표한 것이다. 여론은 환호했고, 정적이던 사쓰마번과 조슈번은 당황했다.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이튿날 천황에 제출한 대정봉환 상표문에 막부정치의 잘못에 대한 사과가 명시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정치가 마땅함을 잃은 점이 적지 않아 금일의 형세에 이른 것은 필경 박덕의 소치이니 부끄러움을 견디기 어렵습니다.” 정권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만도 대단한 일이니, 한껏 생색을 내도 좋았을 텐데 말이다.
최고 권력자의 파격적인 행동에 정국의 풍향은 완전히 바뀌었다. 대부분의 정치세력들이 천황 밑에 신정부를 세워 거국내각을 구성하고, 대결단을 내린 요시노부도 거기에 참여하는 구상에 동의했다. 궁지에 몰린 사쓰마는 결국 쿠데타라는 무리수를 강행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이미 요시노부가 정권을 반환한다고 한 마당에 새삼 쿠데타를 벌였으니 명분이 약할 수밖에 없었다. 사쓰마는 지지세를 얻고자 막부를 제외한 광범한 정치세력을 신정권에 끌어들였다. 그중에는 요시노부의 대정봉환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그들은 정치적 영단을 내린 그를 신정부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쓰마로서는 당혹스러운 사태 전개였다.
쿠데타를 당하고도 요시노부는 공순근신의 태도를 흐트러뜨리지 않았다. 사쓰마의 도발에 격앙한 병사들에게도 경거망동 말라고 강력히 경고했다. 그래도 불안했던지 쿠데타 사흘 만에 충돌을 피해 오사카로 내려갔다. 그가 30세를 갓 넘긴 젊은이었음을 생각하면 놀라운 자제력이었다. 이런 상황을 본 민심은 점점 요시노부로 기울고 시간이 갈수록 사쓰마는 조정에서도 소수파로 몰렸다. 요시노부의 재상경과 정부 참여는 시간문제인 듯했다. 그가 노린 게 이런 거였다면 기도 다카요시가 탄복한 대로 과연 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재림’이라 할 만했다. 위기에 빠진 사쓰마가 목 빠지게 기다린 게 있다. 바로 막부 측의 ‘경거망동’, 즉 군사도발이었다. 그것만이 요시노부의 사과를 무위로 돌리고 그를 조적으로 몰 수 있을 것이었다. 친막부 강경파 아이즈번이 그 덫에 걸려들었다. 1868년 1월27일 강경파들이 요시노부 재상경의 선발대로 교토 쪽으로 가다 사쓰마·조슈군과 충돌하고 말았다. 사쓰마·조슈군은 천황의 깃발인 금기를 내걸고 있었다. 영락없이 조적이 된 것이다. 이를 본 요시노부는 증기선을 타고 에도로 내려갔다. 천지분간 못하고 전투를 도발했던 강경파들도 요시노부를 따라 꽁무니 빠지게 사라졌다. 무책임의 극치였다. 여론의 허를 찌르는 지도자의 대담한 양보와 사과는, 대개 그에게 큰 정치적 이익을 가져다준다. 다만 큰 용기를 필요로 할 뿐이다. 강경파라는 그럴듯한 외피를 쓴 철부지들은 대개 목소리만 클 뿐 사태 파악을 못한다. 그리고 결정적 순간에는 책임지지 않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역사와 현실]자연재해마저도 수령의 책임유난히 오락가락하는 가을 날씨가 농민들 마음을 들었다 놨다 한다. 한창 붉게 물들어가야 할 사과가 며칠 비로 인해 푸르게 변했다는 소리가 농담처럼 들리지 않는다. 조금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작년에 비해 배추값은 여전히 고공행진이고, 쪽파김치라도 담그려 집어든 쪽파 한 단 가격이 작년 이맘때의 두 배도 더 되는 듯하다. 농업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조선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역사와 현실]영조의 개혁새 차도 몇 년 타면 고칠 곳이 생긴다. 관리를 잘하면 그 시기를 좀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리할 곳이 늘어난다. 사회를 구성하는 제도들도 다르지 않다. 어떤 제도나 특정한 시점의 사회적 필요와 조건에 의해 만들어진다. 세월이 흘러 필요와 조건이 달라지면 그 제도는 처음처럼 효율적이지 않게 되고 생각지도 못한 문제들을 일으킨다. 자동차처럼 제도도 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역사와 현실]역사 리터러시 규칙 제9조학부 1학년, 학문의 세계란 것이 새롭고 신기해 보이기만 하던 때, 교수님이 학술대회가 무엇인지, 어떤 분위기인지 설명하면서 재밌는 일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역사와 현실]역지사지의 달인이 되자입시철이 다가온다. 사학과를 지망한 학생들에게 “왜 역사공부를 하려고 하나요?”라고 묻는 경우가 있다. 다는 아니지만 이렇게 답하는 학생이 있다. “일본의 역사왜곡과 중국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유태 기자의 책에 대한 책] '서점에선 단 한 걸음만으로 지형, 지명, 시간이 바뀐다'현실과 현실 너머를 동시에 품는 서점에 관한 깊은 사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민·지방 예산 뺏어 '세수펑크' 메우는 정부...선 넘은 '돌려막기'에 여야 질타국무회의서 '지방시대 정부' 공언한 윤 대통령...야당, '예산 현실 알고 있나' 한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