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연 72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

대한민국 뉴스 뉴스

[스프] 연 72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SBS8news
  • ⏱ Reading Time:
  • 71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2%
  • Publisher: 63%

연 72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 SBS뉴스

황사가 물러간 자리에, 서울에서 1922년 이래 두 번째로 일찍 벚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반가울 법도 하지만 마냥 좋지는 않았습니다. 온화한 날씨에 벚꽃만 빨리 피는 게 아니라 모기 같은 달갑지 않은 손님도 빨리 찾아올 테니 말입니다.지난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21일 제주, 22일 부산 지역에서 올 들어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최근 날씨가 따뜻했지만 아직 서울에서 모기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계절입니다. 조금 이르다 싶은 생각에 확인해 보니 지난해보다는 19일 빠르고, 2021년보다는 하루 늦었습니다. 질병관리청이 배포한 보도참고자료를 살펴보면 최근 10년 간의 주의보 발령일이 나와있는데 조금씩 앞당겨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2012~2014년까진 4월 하순에 주의보가 내려졌지만 이후 5년 동안엔 4월 상순, 2020년에는 3월까지 앞당겨졌습니다.

해외 유입을 제외한, 국내에서 발생한 말라리아도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닙니다. 말라리아는 일본뇌염과 다르게, '얼룩날개모기'가 옮기는 감염병입니다. 국내에 토착화된 말라리아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삼일열 말라리아'입니다. 삼일열 말라리아를 옮길 수 있는 중국얼룩날개모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환자는 주로 인천, 경기 북부, 강원도 휴전선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우리는 모기를 귀찮은 존재로 생각하지 위험한 존재로는 생각하지 않는 편입니다. 그러나 해외에서 바라보는 모기는 조금 다른 존재입니다. 지난 2014년 빌 게이츠는 지구상에서 '가장 치명적인 동물'로 모기를 꼽았습니다. 각각의 동물 집단이 한 해 몇 명을 숨지게 하느냐로 판단했을 때 상어가 10명, 뱀이 5만 명이라면, 모기는 72만 5천 명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이 숫자로 보면, 모기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군 가운데 사람에게 가장 위험한 동물이 맞습니다. 2016년 WHO 통계에 따르면 상어가 100년 동안 숨지게 한 사람의 숫자가 1,035명으로, 모기가 하루 만에 숨지게 한 사람 1,470명보다 적었습니다. 모기가 위험한 건 치명적인 열대열 말라리아, 뎅기열 등 각종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이기 때문입니다. 2020년 기준, 말라리아는 2억 4,100만 건 발생했고, 62만 7천 명이 말라리아로 숨졌습니다.

문제는 이들 감염병을 매개하는 대표적인 모기 두 종류 중 흰줄숲모기가 국내에 서식하고 있다는 겁니다. 해외유입 사례가 계속 늘고, 모기 서식 기간이 길어진다면 국내에서도 감염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2014년 일본 도쿄에서는 요요기 공원에서 흰줄숲모기를 통해 160명이 감염되는 사례가 나왔습니다. 뎅기열 유행지역에 다녀온 여행자들을 통해 유입된 바이러스가 모기를 통해 전파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근 스페인 보건당국도 지난해 해외에서 유입된 뎅기열 바이러스가 자국 내에서 전파된 사례가 두 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2021년 세계적인 의학 저널 'Lancet'에 게재된 논문에는 기후 변화가 모기 매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포함됐습니다. 연구팀은 글로벌 이동성과 도시화, 그리고 기후 변화가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증가시키는 주요 동인이라고 지적합니다. 뎅기의 기초 재생산지수, 즉 확진자 한 명이 주변의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보여주는 수치도 커지고 있습니다. 2020년의 기초 재생산지수는 1950~1954년 평균 대비 13%, 7% 늘었습니다. 13% 증가한 건 이집트숲모기에 의한 감염이고, 7% 늘어난 건 흰줄숲모기에 의한 감염입니다. 연구팀은 숲모기의 지속적인 지리적 확장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SBS8news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잭슨하이츠, 뉴욕의 DNA를 느낄 수 있는 곳 - BBC News 코리아잭슨하이츠, 뉴욕의 DNA를 느낄 수 있는 곳 - BBC News 코리아뉴욕: 잭슨하이츠, 160여 개 문화를 만날 수 있는 곳 뉴욕 퀸스의 한 지역인 잭슨하이츠는 세계에서 가장 다양성이 넘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종수 신임 국수본부장 '일선에 대한 수사지도 강화할 것'우종수 신임 국수본부장 '일선에 대한 수사지도 강화할 것'제2대 신임 국가수사본부장으로 임명된 우종수 경기남부경찰청장은 '경찰 수사에 대한 국민의 높아진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3만 5천여 명의 수사 경찰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100만 년 전 변화를 알기 위해 꼭 필요한 것들[스프] 100만 년 전 변화를 알기 위해 꼭 필요한 것들지구상에서 가장 북쪽과 남쪽 끝 극단적인 곳에서 극한 체험하면서 연구하는 '극적인 사람들'. 보통 사람들은 일생에 한 번 가기도 힘든 남극과 북극을 수시로 오가며 연구 활동을 펼치는 극지연구소 사람들과 스프의 콜라보 프로젝트! 기후 변화의 최전선에 있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글: 이주한 극지연구소 미래기술개발부 책임연구원) 극지과학 연구는 대부분의 과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첨단 기술의 개입과 도움을 필요로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대전환 조정훈 의원은 왜 엉뚱한 법 발의했나시대전환 조정훈 의원은 왜 엉뚱한 법 발의했나시대전환 조정훈 의원은 왜 엉뚱한 법 발의했나 외국인_노동자 경력_단절 가사_노동 최저임금 조정훈 신필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장하준 “‘주69시간’은 시대착오적···문제는 생산성이지 노동시간 아니다”장하준 “‘주69시간’은 시대착오적···문제는 생산성이지 노동시간 아니다”장하준 런던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현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에 대해 쓴소리를 쏟아냈다. 장하준은 10년 만에 낸 신작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부키) 출간을 기념해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늘 최대 100만 원 소액생계비 대출 상품 출시오늘 최대 100만 원 소액생계비 대출 상품 출시최고 연 15.9% 금리로 100만 원까지 빌려주는 소액 생계비 대출 상품이 오늘(27일) 출시됩니다.금융위원회는 소액 자금을 구하지 못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저소득·저신용 차주가 없도록 신청 당일 돈을 빌려주는 제도라고 설명했습니다.지원 대상은 만 19세 이상 성인으로 신용 평점 하위 20% 이하이면서 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7 21: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