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갈량은 낙성의 금안교(金雁橋) 부근에 갈대밭이 있는 것을 보고는 군사를 매복시킨 후, 자신이 장임을 유인하여 사로잡았습니다. 열사가 어찌 두 주인을 섬기는가 烈士豈甘從二主 장임의 충용은 죽어서 오히려 빛나노라 張君忠勇死猶生 고명함은 하늘가의 달과 같아서 高明正似天邊月 밤마다 빛을 뿌려 낙성을 비추노라 夜夜流光照雒城 모종강은 유비가 사로잡은 장임을 죽여 방통의 원수를 갚지 않은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했습니다. 장임 같은 사람은 참으로 단두장군(斷頭將軍)이라고 할 만하다.’ 제갈량은 낙성이 함락되자 성도의 코앞에 있는 면죽관을 진격할 방안을 상의했습니다.
장비는 엄안을 은의로 항복시킨 후, 서천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계책을 물었습니다. 그러자 엄안은 패전한 장수가 두터운 은혜를 입었으니 화살 한 대 쏘지 않고 곧장 진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엄안은 이르는 곳마다 모두 투항시켰습니다. 그러자 소문만 듣고도 귀순하여 한 차례의 싸움도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장비는 힘들이지 않고 낙성을 공략 중인 유비에게 왔습니다. 유비도 장비를 보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험한 산길을 군사들의 저항도 받지 않고 제갈량보다 먼저 왔기 때문입니다. 장비가 으쓱대며 말했습니다.장비가 엄안의 의기를 높이 사 준 일을 자세히 설명하고 인사를 시켰습니다. 유비는 즉시 자신이 입고 있던 황금쇄자갑을 벗어 엄안에게 주었습니다. 엄안은 유비에게 절하며 사례했습니다. 나관중본에는 장비가 낙성까지 오는 동안 조금도 힘들지 않았다는 말 뒤에 한 문장이 더 있습니다.엄안이 앞에서 군사들을 투항시키자 장비는 그다운 행동으로 아무 걱정 없이 낙성까지 왔던 것입니다.
제갈량은 낙성이 함락되자 성도의 코앞에 있는 면죽관을 진격할 방안을 상의했습니다. 법정이 인의로 굴복시키는 것이 좋으니 먼저 편지 한 통을 써서 유장으로 하여금 항복하게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제갈량은 법정의 편지를 성도의 유장에게 보냈습니다. 유장이 법정의 편지를 열어보았습니다.‘전에는 파견해 주심을 입어 형주와 우호관계를 맺었습니다. 뜻하지 않게 주공의 옆에는 있어야 할 만한 사람이 없어 이렇게 되었습니다. 지금 형주께서는 옛정을 그리워하고 일가 간의 정의를 잊지 않고 계십니다. 주공께서 만약 깨끗이 귀순하신다면 박대하지 않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곱새겨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유장은 크게 노해서 편지를 찢어버리고 편지를 가져온 사자는 성 밖으로 쫓아냈습니다. 처남인 비관에게 군사를 주어 면죽을 지키도록 했습니다. 익주태수 동화가 한중으로 사람을 보내 군사를 빌리라고 했습니다.비록 우리와 원수이기는 하지만 유비의 군사가 낙성까지 들어와 있어 형편이 매우 위급합니다.
한편 마초는 조조와의 싸움에서 지고 강족의 땅으로 들어가 2년 남짓 보내다가 강병과 손잡고 농서의 주군을 공격해서 모두 항복을 받았습니다. 오직 기성만 함락할 수 없었습니다. 양주자사 위강은 여러 번 하후연에게 구원을 요청했지만 조조의 허락을 받지 못해 감히 군사를 움직일 수 없었습니다. 그러자 위강은 마초에게 투항하고자 했습니다. 참군 양부가 반대했지만 위강은 마초에게 항복했습니다. 마초는 다급해지니까 항복한 것이라며 위강 등 40여 명을 목 베어 죽였습니다. 하지만 양부만큼은 ‘의를 지킨 것’이라며 살려주었습니다. 양부는 아내의 장례를 핑계로 휴가를 얻어 고종사촌이 있는 역성의 무이장군 강서를 만났습니다. 고모를 만나 주인의 원수를 갚기 위해 참고 있다면서 강서가 군사를 일으켜 마초를 공격하기를 바랐습니다. 강서의 모친이자 양부의 고모가 단호하게 말했습니다.
너는 빨리 도모하지 않고 다시 어느 때를 기다리겠느냐?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충의를 위하다 죽는다면 마땅히 죽을 자리에 죽는 것이니, 나 때문에 걱정은 하지 마라. 네가 만일 양부의 말을 듣지 않는다면 내가 먼저 죽어 너의 걱정을 덜어주겠다.강서는 즉시 마초를 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마초의 적수가 될 수 없었습니다. 하후연이 군사를 이끌고 공격하자 마초는 방덕, 마대와 함께 장로에게 의탁했습니다. 이때 유장의 참모인 황권이 장로에게 도움을 청하러 왔습니다. 장로는 처음에는 유장의 구원을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스무 고을을 사례로 주겠다고 하자 기꺼이 승낙했습니다. 장로가 유장을 지원하기로 맘먹자 한 장수가 나서서 유비를 사로잡아오겠다고 나섰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술술 읽는 삼국지](69) 낙봉파에서 죽은 방통, 엄안을 지혜로 항복시킨 장비방통이 재삼 재촉하자 유비는 군사를 이끌고 진군했습니다. 봉과 용이 나란히 一鳳幷一龍 서로 도우며 촉으로 가네 相將到蜀中 겨우 반쯤 왔건만 纔到半路裏 봉은 낙봉파 동쪽에서 죽네 鳳死落坡東 바람은 비를 몰아오고 비는 바람을 몰아오네 風送雨雨送風 한나라 일으키려면 촉도를 열어야 하는데 隆漢興時蜀道通 촉도가 열렸을 땐 용만 홀로 남았네 蜀道通時只有龍 방통이 죽은 유비군은 크게 패하고 부성으로 돌아왔습니다. 제갈량은 장비와 조운에게 군사를 떼어 별도로 출발하게 하고 자신도 군사를 이끌고 서천으로 출발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회숙의 음악으로 읽는 세상] 관료주의 풍자한 사티의 소나티네프랑스 작곡가 에릭 사티는 풍자와 해학을 즐겼다. ‘관료적인 소나티네’ ‘차가운 소곡집’ ‘엉성한 진짜 변주곡-개(犬)를 위하여’ ‘말의 옷차림으로’ ‘바싹 마른 태아(胎兒)’ ‘배(梨) 모양을 한 세 개의 곡’ ‘지나가 버린 한때’ 등 서로 모순되는 의미의 두 단어를 합쳐 놓거나 전혀 이미지가 연결되지 않는 단어를 합쳐 놓은 것이 많다. 이 곡은 외형적으로는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을 따른 것처럼 보이지만 곳곳에 이를 살짝 비튼 풍자와 해학이 숨어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홍범도 ‘국민 특사’ 조진웅 “목숨 걸고 지킨 땅에 우린 당당한가”유해 봉환 당시 국민 특사로 참여소신 발언에 “국민 배우 포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