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강제동원 배상금 공탁 거부 광주지법, 정부 이의신청도 기각

대한민국 뉴스 뉴스

[속보] 강제동원 배상금 공탁 거부 광주지법, 정부 이의신청도 기각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3%

일제 강제노역 피해자 양금덕(94) 할머니를 대상으로 한 정부의 배상금 공탁을 거부한 법원이, 정부의 이의신청도 기각했습니다.

광주 동구 지산동에 있는 광주지방법원 전경.광주지법 누리집 갈무리 일제 강제노역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를 대상으로 한 정부의 배상금 공탁을 거부한 법원이, 정부의 이의신청도 기각했다. 광주지법은 5일 “정부가 제기한 양 할머니 배상금 공탁 ‘불수리’에 대한 이의신청에 대해 공탁관이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고 기각했다”고 밝혔다. 이에 공탁관은 이의신청서 기록을 담당 재판부에 송부했다. 공탁법 제13조 2항에는 ‘공탁관은 이의신청이 이유 없다고 인정하면 이의신청서를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이의신청서에 의견을 첨부하여 관할 지방법원에 송부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따라서 이 사건은 광주지법 민사44단독 강애란 판사가 맡는다.

해당 법 14조에는 ‘재판부가 이의신청에 대해 다시 판단해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면 공탁관은 공탁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나와 있다. 만약, 재판부에서도 기각하면 신청인은 항고할 수 있다. 앞서 광주지법은 지난 4일 정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양 할머니를 대상으로 낸 공탁서를 받지 않는 ‘불수리’ 결정을 내렸다. 공탁관은 양 할머니가 법률대리인을 통해 “제삼자 변제를 받을 의사가 없다”는 뜻을 표시한 상황에서 ‘이해관계가 없는 제삼자는 채무자의 의사에 반해 변제하지 못한다’는 민법 제469조 2항을 따른 결정이다. 공탁이란 피해자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때 가해자 쪽이 금전 등을 법원에 맡겨 채무를 면제받는 제도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관련기사 이슈강제동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배상금 공탁’ 불수리 광주지법 공탁관, 정부 ‘이의 신청’도 불수리‘배상금 공탁’ 불수리 광주지법 공탁관, 정부 ‘이의 신청’도 불수리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배상금 공탁 신청을 받지 않기로 한 광주지방법원 공탁관이 정부가 낸 이의신청도 받...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광주지법, 일제 강제동원 관련 정부 공탁 '수리 거부'광주지법, 일제 강제동원 관련 정부 공탁 '수리 거부'"당사자 거부 의사 명확"... 외교부 "강한 유감, 이의 절차 제기할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광주지법 공탁관, 정부 불수리 이의신청에 “이유없다”[속보] 광주지법 공탁관, 정부 불수리 이의신청에 “이유없다”정부가 일본 기업을 대신해 일제 강제동원 피해를 배상한다며 낸 공탁 신청을 광주지법 공탁관이 ‘불수리’ 결정하자 정부가 이의신청을 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광주지법 공탁관, 징용배상금 불수리 이의신청도 '불수용'(종합) | 연합뉴스광주지법 공탁관, 징용배상금 불수리 이의신청도 '불수용'(종합) | 연합뉴스(광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정부의 일부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금 공탁 신청을 불수리한 광주지방법원 공탁관이 정부의 이의신청도 '이유 없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13:2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