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이코노미스트 최신호는 ‘독일, 다시 유럽의 환자 되나’라는 기사에서 이를 독일병의 사례로 거론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출 비중이 독일 50.3%, 우리는 48.3%다. 독일 경제가 다시 ‘유럽의 환자’가 된 원인을 이코노미스트는 이렇게 분석한다.
이달 중순 일이다. 독일 외무장관이 자국 공군 항공기를 타고 호주·뉴질랜드·피지 순방에 나섰다가 중간 기착지인 아랍에미리트에서 귀국해야 했다. 노후 항공기가 고장 났는데 고칠 수가 없었다. 제조업 강국 독일이 망신을 당했다. 요즘 독일에선 열차 지연이 잦아 인접국인 스위스 철도망에서 독일 열차가 배제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최신호는 ‘독일, 다시 유럽의 환자 되나’라는 기사에서 이를 독일병의 사례로 거론했다.독일 경제는 우리와 많이 비슷하다. 둘 다 제조업 강국이고 수출 비중이 높다. 독일은 제조업 생산액 기준으로 중국·미국·일본에 이어 세계 4위, 우리는 인도와 5, 6위를 다툰다. 지난해 국내총생산 대비 수출 비중이 독일 50.3%, 우리는 48.3%다. 수출 주도 경제로는 주요 20개국에서 독일과 우리가 1, 2위다. 그만큼 중국과도 무역을 많이 했다.
독일 경제가 다시 ‘유럽의 환자’가 된 원인을 이코노미스트는 이렇게 분석한다. 제조업 성공에 취해 정보기술 투자를 게을리했다. 독일 GDP에서 IT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미국과 프랑스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창업 허가를 받는 데 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 평균의 두 배인 120일이나 걸릴 정도로 관료제 폐해가 심하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크다. 중국과의 무역액이 3140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대중 의존도가 높다. 제조업 특성상 에너지를 과소비하는데 이제는 저렴한 러시아 천연가스를 쓸 수 없다. 인구 고령화로 기술 인력은 점점 부족해졌다. 이런 골칫거리는 독일 얘기만이 아니다. 과도한 중국 의존과 지정학적 위험, 저탄소 경제에 어울리지 않는 에너지 과소비 체질, 인구 고령화는 정확히 우리 문제이기도 하다.
F4 진단이 맞았으면 좋겠지만 외환시장은 더 튼튼하게 대비할 필요가 있다. 올해 말 종료되는 국민연금의 외환시장 안정화 조치를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길 바란다. 환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뛰면 국민연금이 헤지를 위해 선물환을 매도하도록 하는 조치가 지난해 12월 마련됐다. 달러가 자동으로 시장에 쏟아지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정호의 시시각각] 암탉마저 울지 않았다면…무려 6000여 명의 조선인이 학살됐다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100년 전 대참사를 바로 견줄 순 없다. 문학평론가 김응교의 신간 『백년 동안의 증언』에 처음 완역된 일본 시인 쓰보이 시게지의 장시 ‘15엔 50전’의 한 구절을 보자. ‘당신들(조선인)을 죽인 것은 구경꾼이라고 할까?/ 구경꾼에게 죽창을 갖게 하고, 소방용 불갈구리를 쥐게 하고, 일본도를 휘두르게 한 자는 누구였던가?/ 나는 그것을 알고 있다.’ 물론 우리도 ‘그것’을, 또 지금껏 ‘그것’의 존재를 부정해 온 일본 정치권을 알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을은 생태적이고, 인간적이어야 한다[마을의 구조] 우리 전통 농촌마을에 모범답안이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中 '자원 무기화' 맞대응...첨단기술까지 꽁꽁 묶는다바이든 대통령은 회의 석상에서 우리 산업통상자원부 격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위험 줄고 기회 커질 것”…중대한 대외정책 사전 공론화 없이 ‘사후 설명’윤석열 대통령은 21일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 결과를 두고 “우리 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슈퍼 엔저' 수출 영향은 제한적...여행수지엔 찬물[앵커]기록적인 엔화 약세가 자칫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송성수의 우리 과학 이야기] ‘경술국치’ 84주년에 나온 세계 최초 256M D램 개발 소식1994년 8월 29일에 삼성전자는 256M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재미 과학자 강기동이 시작한 반도체 삼성그룹에서 반도체사업을 담당해 온 기업은 한국반도체(1974~78년), 삼성반도체(1978~80년), 삼성전자(1980~82년), 한국전자통신(1982년), 삼성반도체통신(1982~88년), 삼성전자(1988년 이후) 순으로 변천해 왔다. ‘밤 11시 회의’ 6개월 만에 64K D램 개발 삼성은 1983년 5월부터 64K D램을 개발하는 작업을 추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