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일본 개황(개략적 현황)’에 일본의 과거사·역사교과서 왜곡 사례가 삭제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개정된 ‘2023 일본 개황’에는 기존 한·일관계 참고자료 부분에 ...
외교부 ‘일본 개황’에 일본의 과거사·역사교과서 왜곡 사례가 삭제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개정된 ‘2023 일본 개황’에는 기존 한·일관계 참고자료 부분에 기술된 일본의 ‘역사 왜곡 언급’ 사례가 통째로 빠졌다. 직전 판인 ‘2018 일본 개황’에는 1951~2018년 일본 정치인 등의 역사 왜곡 발언 177개가 표로 정리돼 있었다. 2007년 아베 신조 총리의 ‘위안부 강제성 부정’ 발언, 2014년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의 ‘독도 영유권’ 주장, 2014년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안중근 의사 범죄자·테러리스트’ 발언 등이 포함돼 있었다. 아울러 기존 개황에서 ‘한·일관계 최근 주요 현안’ 맨 앞에 있던 2001년 이래의 일본 우익 교과서 논란도 통째로 사라졌다. 2018년 이전 사례를 지워버린 것은 물론이고, 2018년 이후 사례는 아예 기록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매우 부적절하다.
외교부의 국가별 개황은 일반인이 볼 수 있게 홈페이지에 공개된 자료로, 특정 국가의 개요와 한국과의 관계가 정리돼 있다. 사실 위주로 정리돼 있지만, 어떤 내용을 넣고 빼느냐를 보면 정부가 해당국과의 관계에서 무엇을 중시하는지 알 수 있다. 문제의 일본 개황은 지난해 3월15일 게시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한·일관계 개선에 초점을 맞춘 3·1절 기념사를 한 뒤 전격 성사된 일본 방문을 하루 앞둔 때였다. 당시 윤 대통령의 일본 방문은 정부가 일제하 강제동원 배상 문제를 피해자 의사에 반해 제3자 변제 방식으로 우회해 일본에 면죄부를 줌으로써 가능했다. 가장 큰 문제는 윤 대통령의 대일 접근법이 국민적 공감대에 기반해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정부와 여당 내에서도 그런 접근법에 우려를 표하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묵살됐다. 정부는 그 후로도 일관되게, 일본에 대해 할 말을 자제하는 태도를 유지해왔다. 올 초 일본 군마현의 조선인 강제동원 추도비 철거, 최근 라인야후 지분 구조에 대한 일본 정부의 부적절한 개입 등에 대해 일본에 제대로 항의하지 않은 것이 잘 보여준다.
한·일관계가 중요하고 양국 협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역사를 통째로 지우면서까지 개선해야 하는 관계는 아니다. 그것은 국민이 용납하지 않는다. 과거에 벌어진 일들을 있는 그대로 기억하고, 똑같은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되새길 때 비로소 건강한 한·일관계로 나아갈 수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외교부 에서 ‘역사 왜곡 발언’ 사례 통째로 삭제외교부가 윤석열 정부 들어 발간한 에서 일본의 ‘역사 왜곡 및 과거사 반성’ 발언 사례를 통째로 삭제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일본 교과서의 역사왜곡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클뉴스] '종신고용' 끝내는 도시바, 경영위기에 4천명 감축 발표도시바 가와사키 건물 전경 (로이터) -150년 역사 - 일본 굴지 대기업이 되기까지 1875년 '다나카 제조소'란 이름으로 시작된 일본의 대표적인 기업 도시바.이후 합병을 거듭하며 1939년 '도쿄시바우라전기'란 회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중대사관, ‘취재 허가제’ 철회정재호 주중 한국대사(사진)의 ‘갑질’ 의혹으로 외교부 조사를 받았던 주중 한국대사관이 한국 언론사 특파원들을 상대로 이달 도입하려고 했던 ‘24시간 전 취재 신청·허가제’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월성원전 자료 삭제 공무원 무죄, 검찰·감사원 사과해야대법원이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 관련 자료를 삭제하고 감사원 감사를 방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들에게 9일 무죄를 확정했다. 대법원은 한발 더 나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정부 도운 한국 외교부 비판한 조선일보성호철 도쿄특파원 칼럼 "국익 훼손하면서까지 한일 관계 개선 기뻐할 수 없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교부 2차관, 일본 총괄공사에 “한국 기업 차별 안돼” 라인 사태 입장 전달강인선 외교부 2차관은 17일 미바에 타이스케 주한일본대사관 총괄공사(대사대리)와 만나 ‘네이버 라인 사태’와 관련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강 차관은 면담에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