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 꼬박꼬박 점심 먹은 걸 올리는 친구가 있다. 서울 강북 도심의 한 빌딩에서 일하는 그는 매일 메뉴를 바꿔가며 먹는다. 더러는 전날 음주 상태에 따라 새로운 해장거리...
페이스북에 꼬박꼬박 점심 먹은 걸 올리는 친구가 있다. 서울 강북 도심의 한 빌딩에서 일하는 그는 매일 메뉴를 바꿔가며 먹는다. 더러는 전날 음주 상태에 따라 새로운 해장거리를 찾아다니기도 한다. 덕분에 서울 도심에 ‘이런 집이 있어?’ 할 정도로 깜짝 놀랄 만한 식당을 발견하곤 한다. 5000~6000원에 백반 한 상 차리고 찌개 올리고 돈가스도 주는 집 같은. 같이 식당을 하는 처지에서 당최 그 값에 어떻게 저런 음식을 차려내는지 놀랍다. 사실 원가에 밝은 내가 보면 짐작이 안 되는 것도 아니다. 송구한 말씀이지만 이른바 자기 착취다. 주인이 자기 이익을 상당 부분 녹여내어 반납하는 거다. 이런 식당에서 한 상 잘 받아먹은 손님은 뭔가 미안해져서 인사라도 해야 한다는 책무에 사로잡히게 마련이라 종내는 이런 대화가 오간다. “도대체 이 값이 가능한 겁니까.” “아휴, 그냥 하는 거죠, 남는 게 없어요. 뭐. 허허.
비교적 땅값이 싼 서울 변두리에서는 한 상에 5000~6000원 하는 밥집이 더러 없는 것도 아닌데 월세 비싸기로 소문난 도심에서 일어나는 일이니 이게 뭔가 싶다. 다동, 무교동, 장교동, 을지로, 종로 같은 데서 종종 이런 밥집을 발견한다. 한때 이 일대는 월급쟁이들이 너무도 많아 입에 밥을 제때 넣으려면 ‘오픈런’을 해야 했던 곳이다. 못된 주인은 손님 더 받으려고 좀 더디 먹는다 싶은 테이블을 가리키며 대기손님들에게 “여기 식사 다 하셨어요. 이리 오세요!” 하기도 해 분노를 치밀게 했다. 권리금이 몇억원이며, 장사가 잘돼 주인이 근처에 빌딩 올렸네 어쩌네 하는 식당의 신화가 있던 지역에서 시중 절반 값에 ‘반찬도 막 퍼주는’ 식당이 있다는 거다.
싼 식당이 있다는데 너는 뭐가 불만이냐 하겠지만 이게 그다지 흐뭇하지만은 않다. 싸게 팔아도 상가에 윤기도 없고 손님이 바글거리지 않는 건 이상하다. 그렇다. 도심 공동화의 예고다. 그런 식당이 입주한 건물에 가보면, 듬성듬성 이빨이 빠져 있다. 수십개 먹자식당이 빼곡하던 지하상가에 구멍이 나 있다. ‘임대’ 표시가 세입자를 기다리지만, 미구에 사라질 운명을 말하는 듯하다. 그래서 막 퍼줘도 손님은 별로 없고, 그나마 있던 가게들도 하나둘 접고 떠난다. 지방 소멸을 걱정하는 세상인데 도심이라고 그 운명에서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 사람이 없다. 인구 소멸은 곧 노동 인구의 소멸, 도심의 소멸을 의미한다.
서울 사무용 건물은 대체로 10% 이상 비어 있다고 뉴스에 나온다. 비어 있는 게 들킬까 봐 밤에 괜히 불 환히 켜놓은 건물도 부지기수다. 노동자 1인당 사무실 점유율도 과거보다 훨씬 높아졌다. 좁은 사무실에 수많은 직원이 복작거리던 풍경은 옛말이다. 그러니 이른바 먹자상가에 손님이 줄 수밖에 없다. 이런 현상은 더 가속화될 것이다. 간편식을 파는 편의점이 점심에 북적이고 찌개백반 대신 샐러드바 찾는 변화된 입맛을 가진 세대가 오피스의 주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식당이 끝나면얼마 전에 내가 지인과 함께 오래 운영하던 가게를 접었다. 구구한 변명은 의미없지만 밥장사, 술장사의 종말 시대가 온 것이 아닌가 여겨지기도 한다. 이익에 대한 희망은 없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가장 충격적 작품, 에스파 뮤비 속 비밀 코드그로테스크의 미학, 에스파 뮤직비디오 '아마겟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종각역 3-1 출구, 이 표지판을 지나치지 마세요[관람기] 도심 속에서 공평동 옛터를 만날 수 있는 공평도시유적전시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기차 주행거리 도심에선 600㎞ 육박1회 충전 도심 주행3년전보다 22% 길어져출시모델중 최고는 588㎞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충전 단 한번이면 돼요”…약점 극복한 ‘이 차’ 도심에서 더 강해졌다1회 충전 도심 주행 3년전보다 22% 길어져 출시모델중 최고는 588㎞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과 선에 담은 시간…론디노네, 단순함의 미학그는 시간의 흐름, 자연의 순환에 대한 성찰을 시적(詩的)인 감성으로 담아내는 작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작은 캔버스에 일몰과 일출의 풍경을 그린 삼색 수채화 ‘매티턱’(mattituck·작가가 거주하는 지역 이름) 연작도 그 중 하나다. 론디노네는 '어둠과 빛, 삶과 죽음 등 자연의 순환이 제 전시 전체에 녹아 있다'며 '도시에 미술관이 넘칠 정도로 많은 시대에 뮤지엄 산처럼 도시의 소음 없이, 매일 자연을 볼 수 있는 장소에서 전시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