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장맛이 진짜가 아니라서

박찬일 뉴스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장맛이 진짜가 아니라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1%

얼마 전에 경기 이천의 한 식당에서 장독대 구경을 했다. 주인은 정작 자기가 만든 음식보다 옹기 내용물에 자부심이 더 커 보였다. 한 항아리를 열자 아주 달큼하고 미묘한 냄새...

한 항아리를 열자 아주 달큼하고 미묘한 냄새가 풍겼다. 어렸을 때 큰집 장독대에서 나던 그 냄새, 어쩌면 학교 앞 뽑기집에서 나던 설탕도 태우고 애도 타던 그 냄새처럼 캐러멜의 매력이 나오기도 했다. 주인 말씀이 “100년 넘은 씨간장”이란다. 친정집에서 한 독을 받아 그걸 더 익히고, 거기에 새 간장을 부어 가르고, 더하여 잘 숙성된 씨간장 맛을 지키고 있다는 얘기였다. 음식 맛이 보통 아니었던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아시아의 여러 나라는 간장과 된장, 어장을 담아 먹은 역사가 오래다. 문명은 장으로 시작되었다. 보통 북방지역인 베이징과 산둥 쪽은 된장, 더운 아래쪽 지방은 간장이 주력이었다. 그 북방의 된장이 바로 한국에 와서 짜장면의 원료인 춘장이 되었다. 어쨌든 ‘북된남간’이 표준인데 한반도는 된장도 간장도 각기 발전시켜왔다. 한국 어느 종가를 가든 남북 지역과 관계없이 된장과 간장이 다 있다. 한국의 맛이란 건 사실 장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다.진간장은 원래 우리 재래 간장의 한 종류였는데 시중에서는 대량생산한 공장 간장을 의미한다. 국가가 인증하는 한식조리사자격증 시험을 치려면 정해진 조리법을 따라야 한다. 이때 양념 배합은 진간장과 설탕으로 한다. 물론 그 진간장은 일본식에서 기원한 공장 제품 기준이다. 물론 우리가 일상적으로 양복 입고 살듯이, 음식도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가게 마련이고 어렵던 시절에 공장에서 만든 염가의 장이 우리 식탁을 지켜준 것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시장에서는 일방적으로 우리 장을 볼 수 없다. 슬픈 얘기다.

요즘 유튜브가 식당이나 집집의 맛을 ‘책임’지는 모양이다. 인기 있는 조리법을 보면 당연히 공장의 장을 기준으로 삼는다. 이뿐만이 아니라 굴소스며 ‘치킨스톡’ 넣는 것이 표준이 되었다. 염가로 만들어 손님 혀에 단 음식을 만들자면 도리 없는 일일까. 우리 혀는 이미 이러한 ‘황금비’ 조합에 절어 있다. 입에 맞으면 그만이라는 건 일종의 실용주의일 텐데, 획일화에 반대하여 복잡하고 어려운 음식을 지키고 그 재료를 보존하고 고생하는 일은 어쩌면 인류에게 닥친 ‘노아 방주’적인 숭고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런 행동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한 살림이나 여러 생활, 생산과 소비 조합 운동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그런 운동은 불행하게도 힘이 약하다.

우리 맛을 지키는 간장과 된장, 고추장이 사라진다는 건 아프지 않은가. 한글과 우리말을 지키자는 데는 기꺼이 비분강개하는 우리가 왜 우리 맛을 지키자면 외면하고 있는지 참 알 수 없는 일이다. 우리 장은 이제 민속박물관에 수장되거나 전시되는 운명에 처할 것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꿀통배추[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꿀통배추배추 파동 얘기는 지금 삼척동자도 안다. 단순히 배추값이 올라서 그런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올여름 혹독한 더위를 겪으면서(사실 가을인 지금도 덥다) 기후 문제, 나아가 지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슬로우워크: 진정한 성공의 비밀은 느린 생산성에 있다슬로우워크: 진정한 성공의 비밀은 느린 생산성에 있다'CSI:과학수사대'를 만든 앤서니 자이커처럼 '느림의 미학'을 통해 창의적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는 신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창간 기획]‘촌캉스’와 쉼의 미학···도시Z, 왜 시골에 가나[창간 기획]‘촌캉스’와 쉼의 미학···도시Z, 왜 시골에 가나‘요즘 유행’이라는 말에는 힘이 있다. 김미진씨(28)는 지난 7월 강원 삼척으로 여행을 가자는 친구의 제안을 받고 이 사실을 새삼 느꼈다. 친구는 “얘들아, 촌캉스(촌+바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모카세 1호’ 김미령 셰프의 ‘인생의 맛’ [플랫]‘이모카세 1호’ 김미령 셰프의 ‘인생의 맛’ [플랫]오후 5시. 손님이 가득 들어찬 가게가 잠시 조용해진다. “오늘 밑반찬 10가지와 김치를 제외하고 총 20~22가지 음식이 나옵니다. 신선한 제철 재료로 정성 들여 만드는 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인터뷰] ‘이모카세 1호’ 김미령 “캐비어보다 맛있는 김, 비결은요···”[단독인터뷰] ‘이모카세 1호’ 김미령 “캐비어보다 맛있는 김, 비결은요···”오후 5시. 손님이 가득 들어찬 가게가 잠시 조용해진다. “오늘 밑반찬 10가지와 김치를 제외하고 총 20~22가지 음식이 나옵니다. 신선한 제철 재료로 정성 들여 만드는 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금 가장 맛있는 고구마, 이건 또 별미네지금 가장 맛있는 고구마, 이건 또 별미네가을, 겨울이면 따뜻한 음식들이 생각난다. 역시 음식은 계절과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뜻한 국물이 깊게 배어 퉁퉁 불어 있는 꼬치어묵, 편의점에서 문 앞에서 빙글빙글 돌아가는 찐빵 그리고 겨울 간식의 대표격 붕어빵 (벌써 붕어빵을 개시한 곳도 있다). 날씨 좋은 가을에 캠핑 가는 가족들이 많을 것이다. 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07:5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