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의 시시각각] 코리안 프로메테우스

대한민국 뉴스 뉴스

[박정호의 시시각각] 코리안 프로메테우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3%

영화의 원작은 2006년 퓰리처상을 받은 오펜하이머 평전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다. 왜 하나의 도그마에 자신을 가두려고 하죠?'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의 공저자인 카인 버드는 영화 각본집 서문에서 이렇게 말한다. 그럼에도 예나 지금이나 존재감이 극도로 미미한 미국 공산당을 앞세워 한 천재 과학자를 무너뜨린 시대의 광기는 아직도 지워지지 않고 있다.

영화 ‘오펜하이머’는 새롭고도 낯익다. 과학과 정치, 두 날개를 달았다. 오펜하이머가 책임지고 개발한 원자폭탄이 히로시마에 떨어지고, 일본이 마침내 항복하자 트루먼 대통령이 그를 불러 치하한다. 더 연구에 매진하라고 독려한다. 오펜하이머는 주저한다. “지금 제 손에 피가 묻은 느낌”이라고 대답한다. 트루먼이 반박한다. “누가 투하 명령을 내렸나요. 당신이 책임질 일이 아닙니다.” 그리고 지시한다. “징징대는 애들은 이 방에 들이지 마.” ‘오펜하이머’는 쉽지 않은 영화다. 양자역학, 미국·독일·소련의 원폭 경쟁, 오펜하이머의 일과 사랑 등이 세 시간 동안 빽빽하게 맞물린다. 그 한복판에 공산주의자 논쟁이 있다. 괴짜 물리학자 오펜하이머의 전기이자 그가 살았던 시대에 대한 진단서다. 영화를 본 뒤 각본집을 따로 읽으며 전체 흐름을 되짚어보기도 했다.

오펜하이머는 문제적 인간이었다. 과학자이면서도 스페인 내전의 공화파를 후원했고, 고대 인도경전 『바가바드 기타』를 산스크리트어로 읽었다. 피카소 그림을 좋아했고 T S 엘리엇의 ‘황무지’를 열독했다. 아내·동생 등이 미국 공산당에 적을 두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박제된 이념에 반대했다. 영화 초반 나오는 대사 한 토막.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선 자유로운 사고가 필요해요. 왜 하나의 도그마에 자신을 가두려고 하죠?” 일면 이해도 된다. 1950년대는 미·소 냉전이 본격화한 시기다. 자본주의 대 공산주의 대립이 극에 달했다. 한반도에서도 김일성의 남침에 따른 6·25 비극이 일어났다. 그럼에도 예나 지금이나 존재감이 극도로 미미한 미국 공산당을 앞세워 한 천재 과학자를 무너뜨린 시대의 광기는 아직도 지워지지 않고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원폭의 아버지’ 오펜하이머, 폭탄의 시대 선사하다‘원폭의 아버지’ 오펜하이머, 폭탄의 시대 선사하다‘인터스텔라’ 이후 놀란의 또 한번의 걸작인데, 놀란이야말로 세계 영화계의 프로메테우스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놀란 감독, 세계 영화계의 프로메테우스 원작에 대한 해석 능력이 뛰어 났다는 것, 쉽게 말해 원작을 줄이고 늘이며, 몇 개의 에피소드를 합치거나 한 개를 몇 개로 나누거나 하는 과정에서 그럴듯한 윤색으로 원작을 재창작하는 것을 자유자재로, 능수능란하게 해냈다는 것은 몇 가지 대목에서 추출돼 나온다. 이쯤에서 오펜하이머와 당대를 같이 했던 에드거 로렌스 닥터로우의 분석은 오펜하이머에 대해, 더 나아가 놀란의 영화 ‘오펜하이머’에 대해, 더욱더 나아가 카이 버드&마틴 셔윈의 1천페이지 짜리 평서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무는 시대에 소환된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저무는 시대에 소환된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한겨레S] 손희정의 영화담(談) 오펜하이머미국의 패권 장악과 무력 경쟁‘착한 사마리아인’ 미국적 환상 ‘피 묻힌’ 윤리적 딜레마 그려반성? 도덕적 선택 향한 향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럼에도 영화 ‘오펜하이머’는 대량살상에 관대했다그럼에도 영화 ‘오펜하이머’는 대량살상에 관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망 직원 장례식서 '병 숨겼지?'...유가족 울린 코스트코 대표 막말 | 중앙일보사망 직원 장례식서 '병 숨겼지?'...유가족 울린 코스트코 대표 막말 | 중앙일보'대표이사는 빈소에 와 '병 있지, 병 있지. 있는데 숨기고 입사했지'라고 말하더라'\r코스트코 대표 막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요즘 젊은 것들은 버릇 없어’…2천년 반복된 ‘착각’, 데이터로 확인“요즘 젊은 것들은 버릇이 없어.” 기성세대 상당수는 과거 이런 말을 들으면서 성장기를 보냈을 것입니다. 갤럽이 발표한 도덕적 가치관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83%는 미국의 도덕성이 악화하고 있다고 답변하기도 했는데요. 이런 느낌은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는 걸까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22:4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