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삶]기약과 기대

성현아 뉴스

[문화와 삶]기약과 기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68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0%
  • Publisher: 51%

추석 연휴에는 부모님이 계신 고향에 다녀왔다. 머무는 지역에서 멀고 일이 많아 바쁘다는 이유로 자주 찾아뵙지 못했기 때문에 더욱 반갑고 애틋했다. 모처럼 가족끼리 모여 앉아 ...

모처럼 가족끼리 모여 앉아 밥을 먹고 산책을 했다. 그때마다 나는 두 분이 가보지 못했지만 분명 좋아할 만한 곳들에 관해 이야기했다. 흥미로운 과학 전시를 관람했는데 아빠도 직접 보면 새로운 기분을 느끼게 될 거라고. 윌밍턴 바다에는 하얗고 동그란 조개껍질들이 많은데 반질반질한 표면을 손끝으로 문지르면 나까지 덩달아 간지러워진다고, 엄마가 분명 좋아할 거라고 한참을 떠들었다. 아직 가보지 않은 많은 곳에 겪어보지 못한 행복들이 마구마구 기다리고 있다고 알려주고 싶었나 보다.

집에 와서도 일에 치여 대부분의 시간을 컴퓨터 앞에 앉아 보낸 주제에 기약 없이 번지르르한 약속을 늘어놓기도 했다. 거짓말을 한 것은 아니다. 밝은 순간들만 오려 와서 잔뜩 안겨주고 싶은 마음에, 불투명한 미래가 때론 먼지를 뒤집어쓰고 캄캄해지기도 한다는 것을 모르는 체했을 뿐이다. 우리에게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사실만큼이나 우리가 함께 맞이할 즐거움이 무수하다는 사실도 중요하니까. 그런 기대가 우리를 지치지 않고 살아가게 하니까. 강우근의 시 ‘환한 집’에는 칙칙한 표정으로 “가족 모임에 불편하게 앉아” 있곤 하는 ‘나’와, 그런 ‘나’를 겁이 많아 바깥에 나가지 않는 만화 캐릭터 “부기 아저씨”와 닮았다는 이유로 좋아하는 어린 조카가 등장한다. 조카는 “하얀 집에 살고 싶”다며 자신이 스케치북에 그린 집을 보여준다. ‘나’는 그런 허술한 집에는 “여름에는 태풍이 오고” “겨울에는 폭설”이 칠 것이라고 걱정한다. ‘나’는 “하얀 집”이 금세 “검어질 것”을 경험적으로 아는 어른이기 때문이다. 삼촌은 어떤 집에 살고 싶냐는 조카의 물음에 “검은 집”을 떠올리는 ‘나’는 애써 말을 삼키고 “환한 집”이라고 대답한다.

조카와 함께 먹던 “생크림 케이크”에는 “검은 파리 한 마리가 죽어 있다”. 더럽혀지고야 말 조카의 하얀 집처럼, 좌절을 배워나갈 어린이들의 흔한 미래처럼, 새하얀 케이크 위로 불길한 그림자가 드리운다. 조카가 화장실에 간 사이, ‘나’는 황급히 케이크를 치우고 새로운 “생크림 케이크”를 테이블에 꺼내어 둔다. 불의와 배반, 부조리와 모욕에 지치어 얼룩지고 어두워질 바에야 차라리 검은 집을 택하는 심정을, 검게 물들지 않게 지켜내려다 안쪽에서 잠기고 만 순백의 마음을, 조카만큼은 모르길 바란다. “삼촌이 배가 고파서”라며 궁색한 핑계를 대는 ‘나’에게 조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이, 결코 훼손되지 않을 하얀 집, 하얀 케이크가 아님을 알려준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삼촌에게 추천해줄 케이크의 맛이 아주 많아.” 자주 어색해하고 불편해하는 ‘나’에게, 걱정과 두려움이 앞서는 ‘나’에게, 기어코 알아가야 할 달콤함이 많이 남아 있다고 가르쳐주는 것이다.

좋아한다는 마음만으로 누군가의 내밀한 그늘까지 말끔하게 지워줄 수는 없을 것이다. 홀로 감내해야 할 시련을 대신 물리쳐줄 수도 없을 것이다. 정다운 약속들이 때로는 다정한 다짐보다 미련한 오기에 가까워보일 때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보낼 날들을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예견된 기쁨에 대해 오래도록 대화하는 일은 서로의 마음을 포실하게 만든다. 당신을 환히 웃게 할 장소와 시간이, 만남과 얽힘이 도사리고 있다고, 그 미지의 빛을 믿어보라고 무한히 속삭일 수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문화와 삶]어떤 놀이의 결말[문화와 삶]어떤 놀이의 결말“아이들의 디지털 놀이터.” 한 시사프로의 진행자가 딥페이크 성범죄를 언급하면서 사용한 표현이다. 아이들의 놀이터에 딥페이크라는 새로운 장난감이 주어지면서 범죄까지 저지르게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화와 삶]짐작의 힘[문화와 삶]짐작의 힘상대의 낯빛을 살핀다. 밝은지 어두운지, 밝음과 어두움이 혼재되어 있는지. 사람의 몸에 빛과 그림자가 수시로 통과한다고 믿는 것이다. 그러곤 조심스럽게 말문을 여는 것이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화와 삶]화내는 여자, 싸우는 여자, 사랑하는 여자[문화와 삶]화내는 여자, 싸우는 여자, 사랑하는 여자밤길을 조심해야 한다. 묻지마 범죄를 당할 수도 있으니까. 화장실을 이용할 때 조심해야 한다. 몰카에 찍힐 수도 있으니까. 연애상대를 신중히 골라야 한다. 이별을 고했다가 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생들에게 “왜 친일 했는지 생각해 보자” 묻는 논란의 새 역사 교과서학생들에게 “왜 친일 했는지 생각해 보자” 묻는 논란의 새 역사 교과서‘위안부’ 피해는 본문에 단 한 줄, 그마저도 “끔찍한 삶” 두루뭉술한 표현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당신 여전히 최고' 불구 된 슈퍼맨을 살린 말'당신 여전히 최고' 불구 된 슈퍼맨을 살린 말명배우 크리스토퍼 리브 삶 다룬 다큐영화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7년 전 ‘타인의 삶’…그리고 지금, 달라진 나의, 삶17년 전 ‘타인의 삶’…그리고 지금, 달라진 나의, 삶개봉 당시 잔잔한 화제가 되었던 영화 ‘타인의 삶’(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감독, 2007)이 17년 만에 재개봉을 한다고 해서 기대를 잔뜩 모으고 있습니다. 좋은 영화는 극장에서 봐야죠. 하지만 기다리지 못하고 이번에도 역시 OTT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통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11:5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