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수 달 두 번째 화요일에 만나는 사람들이 있다. 주로 했던 일로 각자를 소개하자면 한 명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고, 또 다른 한 명은 브랜드 디자이너, 나는 서비스 기획자로 분류할 수 있겠다. 세 명 모두 각자의 분야에서 이미 성과와 명성을 쌓은 터라 맡은 직책들은 꽤나 무거웠다. 지난겨울, 한 커뮤니티 스타트업이 연말 모임을 열었다. 이 모임은 각자 자..
홀수 달 두 번째 화요일에 만나는 사람들이 있다. 주로 했던 일로 각자를 소개하자면 한 명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고, 또 다른 한 명은 브랜드 디자이너, 나는 서비스 기획자로 분류할 수 있겠다. 세 명 모두 각자의 분야에서 이미 성과와 명성을 쌓은 터라 맡은 직책들은 꽤나 무거웠다.
지난겨울, 한 커뮤니티 스타트업이 연말 모임을 열었다. 이 모임은 각자 자신만의 스토리를 가지고, 해당 분야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낸 사람들이 초대된 자리였다. 그날 우리 셋은 벽 근처에 기대어 있었다. 모퉁이에 서서 사람들을 가만히 지켜보는 것이 공간 한가운데에서 어울릴 타이밍을 재는 것보다 더 편한 사람들이었다. 우리는 시선을 서로에게 돌려 잔잔한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한 명이 디자인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을 모색하는 회사에 기술책임자로 합류했다고 소개했고, 우리는 유명한 창업가가 수조 원대 회사를 매각한 후 재창업한 그 회사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언젠가 회사에 초대할게요"라고 그가 말했고, 그 약속은 곧 실현됐다.
그렇게 다시 셋이 모였다. 점심시간을 이용해 만난 자리였다. 세 명 다 서로에게 크게 얽혀 있지 않아서 오히려 편안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대화는 느슨하게 이어졌고, 겹치는 지인은 굳이 묻지 않으며, 서로의 사적·공적 공간을 존중했다. 업에 대한 교집합은 있지만 관계에 대한 교집합이 없어서인지 내가 먼저 사업을 시작한 목적과 현재 겪고 있는 갈등에 대해 이야기를 꺼냈다. 사업의 목적은 선명했으나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들이 쌓였고, 한때 가까웠던 사람들의 배신과 돌변한 태도는 마음을 무겁게 만들고 있음을 고해성사하듯 말했다.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우리 셋 모두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었다. 일의 목적에 회의감을 느꼈던 순간들, 누군가의 배신과 갈등까지 더해져 무기력해졌던 시간들. 동일한 인물을 겪은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경험이 겹쳐 있었다. 15년 이상 일을 하다 보면 그 일 자체의 내용보다 결국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의미가 남는다. 뜻이 맞았던 사람들과 함께 성과를 이뤘을 때의 벅찬 감정은 한없이 따뜻하게 기억되지만 그와 반대로 갈등을 빚고 누군가 이탈하는 것은 성과를 무색하게 만든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데 있어 그 경험은 큰 원동력이 되거나 두려움으로 동작하기도 한다.삶은 비눗방울처럼 반짝이다가도 금방 터져버린다. 그러나 그 짧은 반짝임이 우리가 기억해야 할 전부일 수 있다. 원 없이 반짝이고, 그로 인해 사람들이 모이고 즐거웠다면 그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비눗방울 같은 한때를 겪었기에 또 다른 경험을 시작할 수도 있겠다.
우연히 만난 세 명이 나눈 지난 경험은 의외로 내게 다시 새로운 일을 할 동력을 주었다. 레너드 코언의 노래 중 이런 가사가 있다."There is a crack, a crack in everything, That's how the light gets in." 인생은 결국 정반합으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매경춘추] 동물농장몇 년 전 아는 분으로부터 조지 오웰이 쓴 소설 '동물농장'을 선물받은 적이 있었다. 사회활동을 하면서 책이나 조그만 물건을 선물로 자주 주고받기 때문에 그 책을 받는 것은 의례적일 뿐 특별한 이유가 없을 터였는데 하필 책이 '동물농장'이었다. '하필'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동물농장'이 초등학생 또는 중학생을 위한 '청소년 필독 권장도서'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마음의 문 열기누군가를 설득하는 것은 마음의 문을 여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물론 마음의 문을 열었다고 바로 설득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문을 연 이후에도 단계마다 수많은 거절을 겪을 수 있다. 설득을 잘하기 위해서는 '거절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하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경험으로 알고 있다. 영업도 일종의 설득의 행위로 볼 수 있다. 마음의 문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불법 담배 3惡젊었을 적 한때 담배를 피운 적이 있지만, 몸에 맞지 않아 끊은 지 오래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흡연에 의한 사망자는 하루 평균 159명(연간 약 6만명)에 이르며 전 세계에서는 매년 800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담배의 해악은 합법적으로 유통되는 담배도 크지만, 불법 유통 담배는 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크다. 우리나라에도 상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나이팅게일그야말로 인공지능(AI) 열풍이다. 챗GPT, 제미나이, 네이버 큐 등 AI 서비스가 매일같이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다. 덩달아 AI 반도체 대표 기업인 엔비디아의 주가가 치솟기도 했다. 최근 대전청사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청사아카데미 강연의 주제도 생성형 AI였다. AI가 제대로 구동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가 필수다. AI의 학습과 정확한 예측은 빅데이터 없..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규제과학은 내 운명2012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전신 식품의약품안전청 공무원이던 나는 당시 처음으로 '규제과학(Regulatory Science)'이라는 용어를 접했다. 식약처 소속 기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과 기능이 유사한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 도미나가 박사의 논문을 통해서다. 한일 간 국제 협력 업무를 하며 수차례 만나 임상시험, 규제 시스템 등 많은 토론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임플란트 선진화우리 어르신들에게 임플란트 보험 치료를 시작한 지 10년을 맞았다. 나는 2010년 초반부터 건강보험 정책 전문가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TFT에 참여하여 부분틀니와 임플란트 보험 등 치과 보철 치료의 보험 급여화에 함께했다. 2012년에는 완전틀니가 보험이 되고 그다음 해에는 부분틀니, 2014년에는 임플란트에 보험이 적용되었다. 적용 연령이 75세에서 70..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