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키아프 서울에 출품할 신작 '더 이상 거기에 없는 풍경'이 중앙에 자리 잡고 있었고 조금 전까지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 붓과 팔레트가 옆에 놓여 있었다. 2020년 금호터널 위로 보이는 철거 전 주택가 풍경과 철거 후 아무것도 없어진 모습을 그린 ‘더 이상 거기에 없는 풍경’은 그의 작품 세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이만나는 이번 키아프 서울에서 연작 ‘더 이상 거기에 없는 풍경’의 신작을 공개한다.
응집의 에너지. 작가 이만나의 그림에선 차분하게 꾹꾹 눌러 담은 듯한 힘이 느껴진다. 그의 그림은 언뜻 봤을 땐 빛바랜 사진 같기도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아주 작은 점을 하나하나 겹겹이 찍어 만들어낸 점묘화다. 작업 시간은 작품을 크기를 떠나 한 점을 완성하기까지 3개월에서 6개월이 걸린다. 이만나의 시간과 노동의 결집체다.지난 8월 21일 오전, 작업이 한창인 이만나 작가의 작업실에서 그를 만났다. 이번 키아프 서울에 출품할 신작 '더 이상 거기에 없는 풍경'이 중앙에 자리 잡고 있었고 조금 전까지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 붓과 팔레트가 옆에 놓여 있었다. 그는"아직 반도 못했어요"라며 웃었지만, 그림은 이미 꽉 찬 에너지로 완성돼 보였다.
사라진 풍경을 즐겨 그리는 이유가 있나요. “일상에서 만나는 공간들, 그런데 누구도 알아 봐주지 못했던 것들이 나에게 말을 건네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어요. 그럴 때 어떤 울림이 느껴져요. 모든 사물은 고유의 진동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그것이 개인이 처한 환경이나 생각과 맞아 떨어질 때 공명을 일으키는 것 같아요. 내 그림이 되는 풍경들은 우연히 나에게 발견됐고, 또 내 마음과 맞아 떨어져 가슴을 울렸던 것들입니다.” 그런 풍경을 발견하면 어떻게 기록하세요. "빨리 촬영해 놔요. 차 안에 있다면 잠시 신호에 걸렸을 때 한손으로 찰칵 빠르게 찍어요. 정성스럽게 찍진 않아요. 그렇다고 바로 그리는 것은 아니고, 사진첩에 넣어놨다가 시간이 오래 흐른 뒤에야 그리게 돼요."
그림을 보고 있으면 애잔한 감정이 느껴져요. "그 풍경을 바라보는 제 마음이 그래서 인 것 같아요. 누구도 알아봐 주지 않는 것들이 저에게 말을 건네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어요. 울림이죠. 대표적인 게 인사동 뒷골목의 담벼락이었어요. 정말 오래되고 보잘것없는 담이었는데, 갑자기 우주를 대면한 것 같은 그런 두려움과 경이로움이 느껴졌어요. 현실과 비현실 사이를 막 왔다 갔다 하는, 아슬아슬한 그런 감정이 있어요. 현기증 같은 것도 느껴지고요, 거기에 애잔함도 있죠. 눈길이 닫지 않는, 일반적인 시각에선 아름답지 않을 수 있는 일상의 풍경이 사라지고 나면 결국 추억이 되고 향수가 됩니다."이만나 작가가 20일 오전 경기 성남 상대원동 작업실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더 하이엔드] 도도새, 세르펜티 만났다...불가리와 협업 가방 만든 한국 작가 김선우상반기 서울 국제갤러리에서 세르펜티 75주년을 기념해 니키 드 생팔과 대표적인 한국 여성화가들의 대형 기획전을 열더니, 이번엔 한국 아티스트 김선우와 함께 협업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냈다. 2021년 9월 서울옥션에 출품한 작품 ‘모리셔스 섬의 일요일 오후’가 1억1500만원이라는 거액에 낙찰됐다. 신인상주의 미술을 대표하는 프랑스 화가 조르주 쇠라의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를 오마주한 그림으로, 쇠라의 그림을 단순화시키고 그림 속 사람들의 머리를 도도새 머리로 바꿔 그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 하이엔드] 앨범 내듯 미디어 작품 내고 싶어...작가 김웅현의 대단한 상상작가는 미디어를 통해 보도된 사회적 이슈나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게임이나 온라인 등 가상현실 요소를 조합한 뒤, 허구의 설정을 가미한다. 우리 세대가 윗세대와 단절이 일어난 첫 세대가 아닌가 생각했고, 1990년대 역사적 사실 중 ‘금 모으기 운동’이 이런 단절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990년대에 현실과 다른 온라인 세상이 펼쳐지면서, 우리 또래만 아는, 혹은 또래 중에서도 어떤 온라인 문화에 접한 세대만 아는 이야기들과 모두가 아는 이야기들을 병치해두었을 때 단절이 명확히 보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 하이엔드] “조각은 ‘압축 폴더’...해석하지 마세요” 작가 나점수의 시심한국을 대표하는 조각가 나점수(54)는 당혹스러울 만큼 비어있는, 그래서 낯설기도 한 추상 조각의 세계로 우리를 인도한다. 작가의 조각들은 어떤 의미를 지니기보다 자연의 상태에 집중한다. 30여 년 조각 작업을 해온 나 작가는 '어렸을 때는 펼쳐진 세상을 실제 그대로 옮기고 싶은 욕망이 컸지만 하다 보니 고스란히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의지를 갖추고 형태를 만들기보다, 나를 둘러싼 세상의 부분이나 전체를 유심히 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 하이엔드] 바닷속 생물이 '예술'이라 불러도 손색 없는 하이 주얼리로 태어났다186년 역사를 가진 주얼리 하우스 티파니(Tiffany & Co.)가 최근 공개한 올해의 블루 북(Blue book) 컬렉션 ‘아웃 오브 더 블루(Out of the Blue)’다. 저의 첫 번째 블루 북 컬렉션은 바닷속 생물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와 쟌 슐럼버제의 디자인 정신을 기리고 재해석했다'. 이번 하이 주얼리 컬렉션은 나탈리 베르드일이 디자인한 첫 번째 블루 북 컬렉션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000m까지 방수 가능한 시계가 있다…기술력 끝판왕 이 회사 [더 하이엔드]150m까지 방수 가능한 아쿠아 테라 시계의 다이얼은 햇볕이 내리쬐는 잔잔한 수면을 상징해 옅은 블루로 완성됐고, 6000m 방수 성능을 갖춘 울트라 딥 시계 다이얼은 심해를 연상시키듯 짙은 남색에 가까운 블루로 표현됐다. 이번 씨마스터 서머 블루 컬렉션에 속한 시계들은 제품마다 디자인과 성능에 차이가 있다. 1957년 탄생해 오메가의 상징적 컬렉션으로 자리한 씨마스터 300도 이번 서머 블루 컬렉션에 포함돼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 하이엔드] 라운드 컷 가고 하트 컷 왔다...가장 대담한 다이아몬드의 귀환다이아몬드는 사랑의 징표로 통용되는 만큼, 특히 웨딩 시장에서 하트 컷 다이아몬드의 주가가 올라가고 있다. 프랑스 모던 주얼리 프레드가 대표 브라이덜(웨딩) 라인으로 하트 컷의 ‘프리티 우먼 파르 아무르’ 컬렉션을 선보이는 이유다. 프레드의 프리티 우먼 파르 아무르 컬렉션은 존재감 있는 하트 모양 다이아몬드 외에도 눈길을 끄는 디자인 요소가 가득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