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사태가 실패로 돌아간 이후 방첩사 간부에게 “방첩사의 가장 큰 리스크는 신병확보를 위한 명단 ...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17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정성우 방첩사 1처장은 비상계엄이 해제된 지난해 12월 5~6일 무렵 여 전 사령관이 말한 내용을 받아 적은 자필 메모에 대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에서 진술했다. 국방부 검찰단은 방첩사령부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해당 메모를 확보했다. 여 전 사령관의 발언은 비상계엄 선포 당시 방첩사의 ‘체포조 운영’ 정황을 뒷받침하는 진술이자 체포조의 ‘위헌성’을 뒷받침하는 정황이다. 해당 진술만 보면 여 전 사령관은 방첩사 내부에 신병확보를 위한 명단 작성을 지시하면서 위법성을 인지한 것으로 보인다. 체포조 존재 여부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이다. 여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당시 정치인을 비롯한 주요 인사 14명가량에 대한 체포조 운영을 주도한 혐의를 받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방첩사 정성우 “여인형, 계엄 해제 의결 후에도 ‘서버 확보’ 지시 철수 안 했다”12·3 비상계엄 사태 때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지시를 받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서버를 확보하려 한 혐의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방첩사 구금시설’ 없는 줄 몰랐던 여인형…윤 대통령 측 ‘홍장원 쪽지 탄핵 전략’ 무산되나12·3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 등 주요 인사 체포 시도를 주도한 혐의를 받는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처음엔 ‘방첩사에 구금시설이 없다’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여인형 11월 작성 메모에 “이석기, 최재영”12·3 비상계엄 당시 주요 인사 체포조 운영을 주도한 혐의를 받는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지난해 11월 초 작성한 휴대전화 메모에 이미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첩사 실장 '여인형 첫 지시, 군판사 4명 확인 요구'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의 '박정훈 대령 재판 군판사 사찰' 지시가 12.3 윤석열 내란 사태 당시 방첩사 신원보안실에 내려진 첫 지시였다는 진술을 검찰이 확보했다. 신원보안실은 군 고위 관계자의 세평이나 동향 등을 수집해 국방부, 나아가 대통령실에까지 보고할 수 있는 핵심 부서다. 가 7일 추미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2·3 비상계엄 당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체포 목적 은폐하려 가짜 메모 작성 지시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주요 인사 체포를 주도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계엄 해제 뒤 부하들에게 방첩사 활동에 관한 가짜 메모를 작성해 수사기관 압수수색에 대비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여 전 사령관이 방첩사의 체포조 활동이 위법하다는 사실을 알고 체포 목적을 은폐하려 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탄핵심판서 '특정 명단 위치 파악 요청' 인정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출석하여 '정치인 체포 명단'에 대한 질문에 형사재판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답변을 거부했다. 그러나 경찰에 '특정 명단' 위치 파악을 요청한 사실은 인정했다. 국회 측은 여 전 사령관의 증언을 통해 12·3 비상계엄 당시 발생한 사건의 진실을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