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울 1·2호기 운영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여파로 5~6년 늦어진 탓에 이미 발생한 경제적 손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세워진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 신한울 1호기는 2017년 4월, 2호기는 2018년 4월 준공이 목표였다. 만약 7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신한울 1·2호기를 예정대로 운영했다고 가정할 경우, 예상 누적 발전량은 1호기 5만8377GWh(지난해 가동 전까지), 2호기 6만1811GWh(내년 가동 전까지)로 집계됐다.
경북 울진의 신한울 1호기에 이어 2호기도 지난주 운영 허가를 받으면서 본격 가동에 다가섰다. 하지만 신한울 1·2호기 운영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여파로 5~6년 늦어진 탓에 이미 발생한 경제적 손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전 가동 대신 비싼 LNG 발전을 돌리면서 9조원 넘는 비용이 더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7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신한울 1·2호기를 예정대로 운영했다고 가정할 경우, 예상 누적 발전량은 1호기 5만8377GWh, 2호기 6만1811GWh로 집계됐다. 둘을 합쳐 12만GWh 넘는 발전량이 탈원전 정책에 따른 가동 지연으로 사실상 '제로'가 된 셈이다.이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드는 LNG 발전을 저렴한 원자력 발전으로 대체할 기회도 사라졌다. LNG의 연도별 평균 정산단가는 ㎾h당 135.12원으로 원전보다 약 76.9원 비쌌다. 이러한 차액을 대입했을 때 1호기가 공기 지연 없이 정상 운영됐다면 4조4892억원, 2호기는 4조7532억원의 전력 비용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1·2호기 운영 차질로 9조2424억원에 달하는 손해가 발생하는 셈이다.
그 밖의 경제·환경적 손실도 크다. 당초 목표대로 운전했을 경우와 비교하면 신한울 1호기는 2160만t, 2호기는 2287만t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사라질 것으로 추정됐다. '저탄소 전원'인 원전 가동이 늦어진 만큼 탄소 배출이 많은 화력발전소를 더 돌리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400조→340조’ 세수전망 무려 60조 펑크…3년 연속 ‘수십조 오차’기재부 세수오차 제도개선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00조→ 340조’ 세수전망 무려 60조 펑크…3년 연속 ‘수십조 오차’기재부 세수오차 제도개선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악마가 속삭였다, 싸우라고' 약 끊는 순간, 범죄자 몰리는 조현병[조현병, 혐오 대신 치료] 어떤 병이기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선관위 채용비리 353건 적발...부정 합격 의혹 58명'[앵커]선거관리위원회 채용 비리 실태에 대한 단독 전수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기 이 정도였어?…개인 보유비중 25% 국채 등장, 무슨 일이2019년 나온 20년 만기 국채 19-6 발행액 11조 중 개인이 2.7조 보유 금리하락땐 세금없이 매매차익 기대 큰손 이어 채권개미들 매수 행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