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필요한 경우 의료진 검토·심의를 거쳐 추가 지원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인데, 후유증 치료가 계속될 수 있도록 실태 조사 등을 통한 체계적인 의료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태원참사 후유증 🔽 자세히 알아보기
“의료비 지원정책 변경 앞서 실태 조사부터” 지난해 10월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핼러윈 인명사고 현장에 사망자 이송을 위해 구급대원 등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4월 정부의 이태원 참사 의료비 지원이 일단락되는 가운데, 이태원 참사로 400명이 넘는 사람이 신체·정신적 치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필요한 경우 의료진 검토·심의를 거쳐 추가 지원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인데, 후유증 치료가 계속될 수 있도록 실태 조사 등을 통한 체계적인 의료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이태원 참사 사상자 의료비 지원’ 자료를 보면, 지난해 10월29일부터 2월23일까지 이뤄진 의료비 지원 건수는 439건이다. 월별 지원 건수는 지난해 10월 171건, 11월 208건, 12월 52건, 올해 1월 5건, 2월 3건 등이다.
전문가들은 참사 뒤 일상으로 회복되기까지 상당 시간 소요되는 만큼, 의료비 지원 정책 변경에 앞서 실태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2019∼2022년 산불·태풍·홍수 등에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국가중대재난 피해자들을 조사한 ‘2022년도 재난피해 회복수준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보면, 상해·질병 등 신체적 피해자 43.7%와 정신적 피해자 58.7%가 ‘모두 회복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모두 회복됐다’고 답한 이들도 신체적 피해자 46.3%와 정신적 피해자 48.6%는 6개월∼2년 이상 시간이 걸렸다고 답했다. 김덕진 10·29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대외협력팀장은 “재활이나 정신적인 치료를 받기에 6개월은 너무 짧다”며 “실제 계속 치료가 필요한 분이 얼마나 될지 확인해야 하는데, 시민대책회의 차원에선 정확히 몇분이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지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진상규명 15년' 일본 유가족들의 확신 '이태원 독립조사, 바로 해야 한다''진상규명 15년' 일본 유가족들의 확신 '이태원 독립조사, 바로 해야 한다' 이태원참사 책임자처벌 한국 진상규명 일본 조혜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란했던 집, 1년전부터 변해'…일가족 5명 참극 전 무슨 일이 | 중앙일보주민들에게 단란한 가정으로 기억되던 다섯 일가족의 비극이 세상에 드러났습니다.\r인천 가족 가족살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일부터 대중교통서 마스크 자율 착용...의료기관은 착용 계속 | 중앙일보마트 등 대형 시설 내 약국은 자율 착용이 가능해집니다.\r대중교통 마스크 \r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의힘 “방일 성과 트집”…민주당 “대통령의 굴종 외교”국민의힘이 한일정상회담을 ‘굴욕 외교’라고 지적한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반일 정서에 기댄 선동”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한 것은 “굴종외교”라며 “오므라이스 한 그릇에 국민의 자존심과 대한민국 이익을 갖다 바쳤다”고 맞받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0년만의 남부지방 최악의 봄 가뭄, 언제 해갈되나?50년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농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남부지방 농가마다 다음달은 지나야 가뭄이 해소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예보에 올 한해 농사 걱정이 태산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